[문학사] 사상과 작품을 중심으로 본 김만중과 조성기

 1  [문학사] 사상과 작품을 중심으로 본 김만중과 조성기-1
 2  [문학사] 사상과 작품을 중심으로 본 김만중과 조성기-2
 3  [문학사] 사상과 작품을 중심으로 본 김만중과 조성기-3
 4  [문학사] 사상과 작품을 중심으로 본 김만중과 조성기-4
 5  [문학사] 사상과 작품을 중심으로 본 김만중과 조성기-5
 6  [문학사] 사상과 작품을 중심으로 본 김만중과 조성기-6
 7  [문학사] 사상과 작품을 중심으로 본 김만중과 조성기-7
 8  [문학사] 사상과 작품을 중심으로 본 김만중과 조성기-8
 9  [문학사] 사상과 작품을 중심으로 본 김만중과 조성기-9
 10  [문학사] 사상과 작품을 중심으로 본 김만중과 조성기-10
 11  [문학사] 사상과 작품을 중심으로 본 김만중과 조성기-11
 12  [문학사] 사상과 작품을 중심으로 본 김만중과 조성기-12
 13  [문학사] 사상과 작품을 중심으로 본 김만중과 조성기-1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문학사] 사상과 작품을 중심으로 본 김만중과 조성기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김만중과 조성기의 역사적 배경과 인물탐구
2. 김만중과 조성기의 사상
2.1. 김만중의 사상
2.1. 조성기의 사상
3. 가문소설과 작품 -〈사씨남정기〉와〈창선감의록〉을 중심으로
3.1.〈사씨남정기>
3.2.
3.3〈사씨남정기〉와〈창선감의록〉에 드러난 작가의 사상
4. 우리들의 생각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Ⅱ.본론

1. 김만중과 조성기의 역사적 배경과 인물탐구

김만중과 조성기가 활동하던 시기는 대외적으로는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경험하였으며, 대내적으로는 사림세력이 성장하여 붕당정치를 펼치던 시기였다. 이런 와중에 상하계급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던 조선 사회가 대외적 혼란과 더불어 지배 세력의 도덕성과 권위가 실추되며 심각한 균열을 보이자 집권양반층과 실권양반층간의 갈등, 서민들의 각성, 주리파와 주기파 등의 파벌의식 등으로 피폐된 사회는 혼란과 분열이 가중되었다. 이 상황에서 사대부 계급은 균열된 지배 체제를 되돌려 놓기 위해 이념적·정치적·사회적 측면에서 국면 전환을 시도한다. 이른바 예학의 발달이 그것이다. 예학은 예질서의 재건을 시대적 과제로 인식한 산림들에 의해 더욱 발달하였는데 이 상황에서 수적으로 증가한 사대부 계급이 그 자체 내에서 권력 투쟁을 벌여나가면서 당파적 혹은 가문적 결속을 강화시키게 되고, 붕당정치의 극성과 맞물려서 예송을 불러일으키기도 하였다. 이렇듯 대내외적인 진통을 겪은 17세기 조선의 혼란스러운 시대에 등장한 두 문장가가 바로 김만중과 조성기였다.
김만중은 이러한 시대의 아픔을 안고 태어난 이로, 병자호란이 끝나던 해인 1637년 피난 중의 배 위에서 태어난다. 병자호란은 그가 태어나던 해에 종결되었지만 앞서 언급하였던 것처럼 그것이 남긴 국가적·사회적·정신적 충격은 막대하였다. 이는 그의 성장과정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 효종과 당대의 세도를 담당한 산림들은 이를 적극적으로 극복하고자 하여 북벌운동을 전개하였는데, 기호계의 서인계 산림들이 그 주축을 이루고 있었다. 원래 기호학파는 율곡 이이를 중심으로 하여 김만중의 증조부인 김장생과 조부인 김집으로 이어지고 이가 송시열, 송준길, 이유태 등에게로 전수되었는데, 북벌운동의 주역이 바로 김집을 필두로 한 이들 산림들이었다. 이후 북벌운동은 효종의 죽음으로 무산되었지만, 그의 사상적 경향이 이러한 서인계 인물들과 무관하지 않음을 짐작해 볼 수 있다.
참고문헌

단행본

이승수, 『졸수재집 - 천년 뒤 知己를 기다리다』, 박이정, 2001
정출헌 외 3명,『고전문학사의 라이벌』,한겨레 출판, 2009
조근태,『사씨남정기』, 현암사, 2004

논문

김나영, 「의 주요 등장인물 분석-이기성정론에 입각하여」,『돈암어문학』, 15집, 돈암어문학회, 2002
김영인,「17세기 후반 조성기의 事功 중심 사유와 경세사상」,『한국사론』,54권,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2008
박영희, 「장편가문소설의 향유집단 연구」,문학과 사회집단, 1995
박일용,「〈사씨남정기〉의 이념과 미학」,『고소설연구』6권, 한국고소설학회, 1998
박일용,「〈창선감의록〉의 구성 원리와 미학적 특징」,『고전문학연구』, 18권, 한국고전문학회, 2000
이상일,「〈사씨남정기〉에 나타난 선악 대립 구조와 비평적 가치화 방법」,『국어교육연구』, 제 42집, 국어교육학회, 2008
이향배,「졸수재 조성기 문론 연구」,『한문교육연구』, 15권, 한국한문교육학회, 2000
정무룡,「조성기의 공부론」,『인문과학논총』, 제2집,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999
조광국,「17세기 후반 김만중의 현실인식에 관한 연구」,『고전문학연구』, 20권, 한국고전문학회, 2001
조현우,「〈사씨남정기〉의 악녀 형상과 그 소설사적 의미」,『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13권,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06
최용례, 「조성기의 삶과 의 사상」,『어문논집』30, 중앙어문학회, 2002
한기범,「서포 김만중의 관료활동과 경세사상」,『한국사상과문화』, 25권, 한국사상문화학회,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