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고대사-광개토대왕비

 1  한국고대사-광개토대왕비-1
 2  한국고대사-광개토대왕비-2
 3  한국고대사-광개토대왕비-3
 4  한국고대사-광개토대왕비-4
 5  한국고대사-광개토대왕비-5
 6  한국고대사-광개토대왕비-6
 7  한국고대사-광개토대왕비-7
 8  한국고대사-광개토대왕비-8
 9  한국고대사-광개토대왕비-9
 10  한국고대사-광개토대왕비-10
 11  한국고대사-광개토대왕비-11
 12  한국고대사-광개토대왕비-12
 13  한국고대사-광개토대왕비-13
 14  한국고대사-광개토대왕비-14
 15  한국고대사-광개토대왕비-15
 16  한국고대사-광개토대왕비-16
 17  한국고대사-광개토대왕비-17
 18  한국고대사-광개토대왕비-18
 19  한국고대사-광개토대왕비-19
 20  한국고대사-광개토대왕비-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고대사-광개토대왕비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1. 비문의 소개
- 능비 건립 시기
- 외관 특징
- 능비 건립 목적

2. 광개토대왕 전후 시기 동방제국의 국제관계

Ⅱ.본 론

1. 건국신화
2. 영토확장
3. 신묘년기사
4. 수묘인연호
5. 천하관


Ⅲ. 결 론
본문내용
Ⅰ. 서 론

1. 비문의 소개


1-1. 능비 건립 시기

광개토왕비는 광개토왕 (고구려 제19대 임금) 의 아들 장수왕이 광개토왕 사후 3년간의 상을 지내고 갑인년 9월 29일 을유에 아버지의 망해를 능묘에 매장했고 그 옆에 세운 비이다. 이 비문 속 광개토왕의 정식 시호는 ‘國岡上廣開土境平安好太王’이다. 우리가 흔히 부르는 ‘광개토왕’이란 이름은 삼국사기, 고구려본기에 보이는 왕명이다. 유독 긴 시호는 여러 뜻과 상징을 담고 있다. ‘國岡上’은 왕의 무덤이 위치한 지명에서 따왔다. 이는 당시까지 고구려 왕호를 짓는 일반적인 방식이었다. 다음 ‘廣開土境’은 영토를 널리 개척한 업적을 강조한 명칭이다. ‘平安’은 왕의 태평성대에 대한 칭송인 듯하고, ‘好太王’은 그런 위대한 업적을 쌓은 왕에 대한 최대한의 존칭이라고 할 수 있다. ‘好太王’은 광개토대왕뿐만 아니라 고구려 왕들에게 일반적으로 부여되는 미칭이었다. 이런 식의 시호를 받은 왕은 광개토왕이 처음이다. 기록에 의하면, 광개토왕은 삼국사기에는 이름이 담덕(談德)으로, 중국 기록에는 안(安)으로 되어 있다. 고구려 제 18대 고국양왕의 아들로 재위기간은 392년 5월에 즉위하여 재위 22년 째 되던 413년 10월까지이다. 삼국사기에서 “나면서부터 체격이 뛰어나게 크고, 활달한 뜻을 가졌다.” 라고 광개토왕을 묘사하고 있다. 광개토왕은 백제 진사왕이 “담덕(광개토대왕)이 용병에 능하다.”는 말을 듣고는 나가서 대항하지 못하여 한강 북쪽의 부락을 많이 빼앗겼다.“라고 했을 정도로 군사적 능력이 탁월한 군주였다. 또한 항시 은혜와 자비를 발휘하여 용서하는 따뜻한 덕화 군주로의 모습으로 기록되어있다.



1-2. 외관 특징

현재 남아 있는 우리 민족이 만든 비석 가운데 가장 연대가 오래된 광개토왕릉비는 높이는 6.39m이며, 무게로 따진다면 약 37t이나 된다. 능비의 모양을 보면 불규칙한 長方形기둥 모양으로 되어 있는데, 윗면과 아랫면은 약간 넓고 허리 부분은 약간 좁은 편이다. 그리고 이 비의 4면에 당시 유행하던 연서체로 1,775자 ( 동남 1면 11행 449자, 서남향 2면 10행 387자, 서북향 3면 14행 574자, 동북향 4면 9행 369자 ) 에 달하는 비문을 새겨 넣은 것이다. 글자의 규격은 크기가 고르지 못하여 큰 것은 길이가 16cm, 작은 것은 약 11cm 정도인데 일반적으로 14-15cm 정도 크기의 글자로 구성되어 있다.
참고문헌
광개토대왕릉비문 연구. 손영종

고대로부터의 통신. 박혜숙. 한국역사연구회 고대사 분과. 푸른역사. 2004

광개토대왕 훈적비와 고구려. 송동건. 신아사. 2004

광개토왕비문의 세계 권오염. 제이앤씨. 2007

고구려 역사문제 연구 논문집. 김정배. 고구려 연구재단. 2005

공개토대왕비의 건립목적에 관한 시론. 이성시 저. 류미나역 한국고대사연구. 발행기관: 한국고대사학회 pp. 173~ 191

다시 보는 고구려사. 김용덕. 동북아역사재단편. 2004

광개토왕의 정복활동. 천관우. 한국사시민강좌 제 3집. 일조각. 1988

광개토왕비의 국연과 간연 ( 4.5세기 고구려 대민편제의 일례). 임기환

광개토왕비문의 천하구성. 권오염

광개토왕비에 보이는 고구려의 동아시아 인식. 이용현

광개토왕릉비문의 사상적 배경. 이도학

광개토왕릉비문의 수사방식과 세계관. 서철원

임나일본부설의 현재상황
http://www.segye.com/Articles/News/Opinion/Article.asp?aid=20100325004285&cid=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003255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