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학입문] 한국사회의 계급계층 불평등(부르디외 문화자본을 중심으로)

 1  [사회학입문] 한국사회의 계급계층 불평등(부르디외 문화자본을 중심으로)-1
 2  [사회학입문] 한국사회의 계급계층 불평등(부르디외 문화자본을 중심으로)-2
 3  [사회학입문] 한국사회의 계급계층 불평등(부르디외 문화자본을 중심으로)-3
 4  [사회학입문] 한국사회의 계급계층 불평등(부르디외 문화자본을 중심으로)-4
 5  [사회학입문] 한국사회의 계급계층 불평등(부르디외 문화자본을 중심으로)-5
 6  [사회학입문] 한국사회의 계급계층 불평등(부르디외 문화자본을 중심으로)-6
 7  [사회학입문] 한국사회의 계급계층 불평등(부르디외 문화자본을 중심으로)-7
 8  [사회학입문] 한국사회의 계급계층 불평등(부르디외 문화자본을 중심으로)-8
 9  [사회학입문] 한국사회의 계급계층 불평등(부르디외 문화자본을 중심으로)-9
 10  [사회학입문] 한국사회의 계급계층 불평등(부르디외 문화자본을 중심으로)-10
 11  [사회학입문] 한국사회의 계급계층 불평등(부르디외 문화자본을 중심으로)-11
 12  [사회학입문] 한국사회의 계급계층 불평등(부르디외 문화자본을 중심으로)-12
 13  [사회학입문] 한국사회의 계급계층 불평등(부르디외 문화자본을 중심으로)-13
 14  [사회학입문] 한국사회의 계급계층 불평등(부르디외 문화자본을 중심으로)-14
 15  [사회학입문] 한국사회의 계급계층 불평등(부르디외 문화자본을 중심으로)-15
 16  [사회학입문] 한국사회의 계급계층 불평등(부르디외 문화자본을 중심으로)-1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사회학입문] 한국사회의 계급계층 불평등(부르디외 문화자본을 중심으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계급,계층,불평등에 대한 전반적 개념
1.1 계층과 계급
1.2 현대 서구사회에서의 계급 구분
1.3 사회이동

2. 조사목적

3. 부르디외의 문화자본
3.1 부르디외의 문제의식과 한국사회에서의 중요성
3.2 문화자본과 아비투스
3.3 문화자본의 계급이론에의 적용과 한계

4. 기존연구 검토
4.1 가족배경, 문화자본, 성적
4.2 한국사회에서의 학업성취에 대한 문화자본의 영향
4.3 종합

5. 비판적 문제제기
5.1 문화자본의 개념에 대한 광범위한 정의 필요.
5.2 한국교육제도와 계급재생산고착화에 있어 문화자본의 기여도 증가
5.3 사회의 변화에 따른 체화된 문화자본의 중요성 증가 - 질의 감별과 관련하여

6. 결론
6.1 요약
6.2 좀 더 평등해지기 위하여
본문내용
3.2 문화자본과 아비투스
부르디외는 사회를 여러 장(場, Field)들로 구성되어 있다고 생각하고 각 장들(경제적 장, 문화적 장, 정치적 장)에서 통용되는 교환가치가 있다고 생각했고 그 가치를 문화자본으로 설명하였다. 또한 부르디외는 자본에 대해 4가지 분류를 하였는데 먼저 경제자본은 흔히 사용되는 물질적 자원이다. 문화자본은 체화된 취향 같은 형태, 문화적 가치가 있는 대상의 소유, 주로 공식적인 교육과 훈련에 의해 얻어지는 것을 일컫는다. 사회자본은 사회 연결망 속에서 동원할 수 있는 잠재된 자본의 형태이다. 마지막으로 상징자본은 위의 세 자본들이 합쳐져서 변형된 명성이나 명예의 형태를 말한다.
이러한 자본들의 분배가 계급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로써 아비투스의 형태로 계급재생산을 만든다는 것이 부르디외의 이론이다. 아비투스는 한 개인의 문화적 취향을 통틀어 일컫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아비투스는 교육, 사회화의 과정에서 은밀하게 자손에게 ‘상속’되기 때문에, 얼핏 보면 개인적인 산물로 보이나 그 자신의 계급적, 계층적 토대를 반영한다. 결론적으로 아비투스는 개인의 영역이 아니라 집단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다.

3.3 문화자본의 계급이론에의 적용과 한계
부르디외는 문화적 취향을 정당한 취향, 중류층 취향, 대중적 취향으로 분류한다. 각 취향들은 누리는 문화가 사회에서 고급이냐 아니냐에 따라 나누어지고 정당한 취향은 교육수준이 높은 상류층에서 나타나고 대중적 취향은 노동계급에서 나타난다. 이러한 문화의 차이는 지위의 차이를 만들어낸다. 문화의 차이가 어떻게 정당한 지위의 차이로 발전하는가는 ‘체계적 오인’이라는 개념으로 설명된다. 체계적 오인은 아비투스의 특성상, 의(衣)문화, 식(食)문화, 예술취향 등을 계급적 구조에서 비롯되는 것이 아니라 개인의 성취나 재능으로 보이게 만들기 때문에 하류계급은 이런 문화적 차이가 정당하다고 생각하면서 현 계급체제를 정당화하는데 일조하는 행동을 보인다는 것이다. 특히 교육은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교육은 제도적인 차원에서 계급적인 차이를 교묘하게 개인의 성취, 재능으로 둔갑시켜 사회적으로 계급의 차이를 정당화한다.
부르디외의 이론은 계급을 단순하게 생산수단의 소유로만 파악한 맑스의 이론에서 더 나아가 문화요소를 고려하여 계급체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하부구조와 상부구조에서 인식되던 경제와 문화가 복합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하지만 부르디외의 이론에서 개인은 사회변동의 주체가 되지못하고 수동적인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계급의 변동을 설명하는 부분이 없다는 점이 한계로 지적된다.
참고문헌
- 앤서니 기든스
옮긴이 김미숙, 김용학, 송호근, 을유문화사, 2009.02.25 발간
- 삐에르 부르디외
옮긴이 최종철, 새물결 출판사, 2005년
- 장미혜(Chang Mi-Hye)
한국사회학회, 한국사회학 제35집 3호, 2001. 6, pp. 51 ~ 81 (31pages)
- 조돈문(Donmoon Cho)
한국사회학회, 한국사회학 제39집 2호, 2005. 4, pp. 1 ~ 33 (33pages)
- 장상수(Chang Sang-soo)
한국사회학회, 한국사회학 제42집 3호, 2008. 6, pp. 63 ~ 85 (23pages)
- 최샛별(Choi SetByol)
한국문화사회학회, 학술저널, 문화와 사회 1권 2006. 10, pp. 7~266 pp. 123~158(38 pages)
- 장미혜(Chang Mi-Hye)
한국사회학회, 한국사회학 제36집 4호, 2002. 8, pp. 223 ~ 251 (29pages)
- 김동춘
실천문학사, 실천문학 1998년 겨울호(통권 52호), 1998. 11, pp. 28 ~ 44 (17pages)
- 김경근, 변수용
교육사회학연구 Korean Journal of Sociology of Education, 제 17권 제 1호, 2007, pp.23-51
- http://www.lll.or.kr/
- http://www.culture.go.kr/culture_portal/theme/theme_main.jsp?pCtg=11
- http://www.hani.co.kr/arti/opinion/column/370343.html
- http://www.hani.co.kr/arti/opinion/column/361668.html
- Robert J. Sternberg and Todd I. Lubart
Yale University
- Andre P. Walton
University of Nevada, Reno, Nevada, USA
- Robert J. Sternberg
Tufts University, Creativity Research Journal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