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억심리학] 트라우마가 재인과 오기억에 미치는 영향

 1  [기억심리학] 트라우마가 재인과 오기억에 미치는 영향-1
 2  [기억심리학] 트라우마가 재인과 오기억에 미치는 영향-2
 3  [기억심리학] 트라우마가 재인과 오기억에 미치는 영향-3
 4  [기억심리학] 트라우마가 재인과 오기억에 미치는 영향-4
 5  [기억심리학] 트라우마가 재인과 오기억에 미치는 영향-5
 6  [기억심리학] 트라우마가 재인과 오기억에 미치는 영향-6
 7  [기억심리학] 트라우마가 재인과 오기억에 미치는 영향-7
 8  [기억심리학] 트라우마가 재인과 오기억에 미치는 영향-8
 9  [기억심리학] 트라우마가 재인과 오기억에 미치는 영향-9
 10  [기억심리학] 트라우마가 재인과 오기억에 미치는 영향-1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기억심리학] 트라우마가 재인과 오기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가설설정


Ⅳ. 실험설계 / 결과


Ⅴ. 논의 / 한계점


* 참고논문

본문내용
■ 서 론

‘트라우마’는 정신적 외상을 뜻하는 정신 의학 용어로 과거의 충격이 현재까지 미치는 것을 말하는데, PTSD, 충격 후 스트레스 장애, 외상성 스트레스 장애라고도 하며, 전쟁, 천재지변, 화재, 신체적 폭행, 강간, 자동차, 비행기, 기차 등에 의한 사고에 의해 발생하거나 생명을 위협하는 신체적, 정신적 충격을 경험한 후 발생한다. 트라우마의 증세는 개인에 따라 충격 후 즉시 나타나거나 충격이 있고 수일에서 수년이 지난 후에 나타날 수도 있다. 급성의 경우에는 비교적 예후가 좋지만 만성의 경우 후유증이 심해서 환자의 30% 정도만 회복되고, 40% 정도는 가벼운 증세, 나머지는 중등도의 증세와 함께 사회적 복귀가 어려운 상태가 된다. 트라우마의 증상은 크게 과민반응, 충격의 재경험, 감정회피 또는 마비로 나눌 수 있다. 과민반응의 환자는 늘 불안스러워 하고, 주위를 경계하며, 잠을 잘 이루지 못하는 증세를 보이고, 충격을 다시 경험하는 환자의 경우에는 사건 당시와 같은 강도로 느끼는 기억, 꿈, 환각이 재연될 수 있다. 감정회피 또는 마비를 나타내는 환자는 충격이 일어났을 때의 감정, 생각, 상황 등의 기억을 피하려고 노력하며, 정상적인 감정반응은 소실된다. 트라우마 환자들 대부분의 감정은 비현실적이고, 타락, 분노, 피해의식, 수치심을 잘 느끼게 된다. 어린이의 경우에는 경험 자체에 대한 꿈 대신에 악몽을 꾸는 경향이 있고, 위통, 두통, 학교공포, 외부인 공포로 나타날 수 있다. 또한 알코올이나 약물남용, 자해적 행동과 자살 시도, 직업적 무능력, 대인관계 장애가 나타날 수도 있다. 정서적으로도 불안하여 뚜렷한 자율신경계 장애가 나타나며, 착각 또는 환각현상 등이 나타나기도 한다. 합병증으로 해리증세나 공황발작을 동반하기도 한다. 치료방법으로는 정신과적 치료, 최면치료, 그룹요법, 약물치료, 신경차단 치료요법 등이 있다. 이러한 트라우마로 인해 야기되는 증상과 심리적 불안현상을 미국 정신의학협회의 DSM-4에서는 공황장애, 공포증(광장공포증, 사회공포증, 단순공포증), 강박장애, 외상후 스트레스장애, 범불안장애로 분류 하고 치료를 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치료는 현재 정서적인 치료 및 대인관계의 회복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이러한 삼담치료의 순기능을 극대화하기 위한 상담기법의 연구에 주력하고 있는 현실이다. 본 실험은 트라우마 집단의 기억수행능력에 미치는 상담치료의 영향을 다른 시각에서 접근해보려 하였다. 상담치료과정에서 발생한 사건에 대한 기억의 객관화와 트라우마 집단의 재인과 오기억 수행 능력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자 노력하였다.
참고문헌
프로그램 무드가 광고태도와 기억에 미치는 영향: 감정모호성의 중재효과와 각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양병화
영화에 의해서 유발된 감정과 PPL 배치의 돌출성(Prominence)이 PPL 브랜드 기억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 김수진
강박사고 유형에 따른 오 기억 및 기억 확신의 차이 중앙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MOMORY OF INFANT TRAUMA JANE PALEY
RECOLLECTION REJECTION: FALSE-MEMORY EDITING IN CHILDREN AND ADULTS C.J. BRAINERD
최혜숙・이현림(2003), 또래 집단 상담이 학교생활 부적응 학생의 자아개념과 학교적응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한국심리학회지』상담 및 심리치료, 제 15권 2호, 201~216
이선미・김정희(2001), 버스사고 피해자의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에 대한 인지 - 행동 집단치료의 효과, 한국심리학회,『한국심리학회지』상담 및 심리치료, 제 13권 3호, 225~245
김바라・안현의(2009), 외상경험이 기억 억제 과정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한국심리학회지』상담 및 심리치료, 제 21권 1호, 229~ 245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