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교육사] 조선 과거제도 과목의 실효성과 현대의 대학 수학능력 시험 과목의 실요성에 관한 분석

 1  [한국교육사] 조선 과거제도 과목의 실효성과 현대의 대학 수학능력 시험 과목의 실요성에 관한 분석-1
 2  [한국교육사] 조선 과거제도 과목의 실효성과 현대의 대학 수학능력 시험 과목의 실요성에 관한 분석-2
 3  [한국교육사] 조선 과거제도 과목의 실효성과 현대의 대학 수학능력 시험 과목의 실요성에 관한 분석-3
 4  [한국교육사] 조선 과거제도 과목의 실효성과 현대의 대학 수학능력 시험 과목의 실요성에 관한 분석-4
 5  [한국교육사] 조선 과거제도 과목의 실효성과 현대의 대학 수학능력 시험 과목의 실요성에 관한 분석-5
 6  [한국교육사] 조선 과거제도 과목의 실효성과 현대의 대학 수학능력 시험 과목의 실요성에 관한 분석-6
 7  [한국교육사] 조선 과거제도 과목의 실효성과 현대의 대학 수학능력 시험 과목의 실요성에 관한 분석-7
 8  [한국교육사] 조선 과거제도 과목의 실효성과 현대의 대학 수학능력 시험 과목의 실요성에 관한 분석-8
 9  [한국교육사] 조선 과거제도 과목의 실효성과 현대의 대학 수학능력 시험 과목의 실요성에 관한 분석-9
 10  [한국교육사] 조선 과거제도 과목의 실효성과 현대의 대학 수학능력 시험 과목의 실요성에 관한 분석-10
 11  [한국교육사] 조선 과거제도 과목의 실효성과 현대의 대학 수학능력 시험 과목의 실요성에 관한 분석-11
 12  [한국교육사] 조선 과거제도 과목의 실효성과 현대의 대학 수학능력 시험 과목의 실요성에 관한 분석-12
 13  [한국교육사] 조선 과거제도 과목의 실효성과 현대의 대학 수학능력 시험 과목의 실요성에 관한 분석-13
 14  [한국교육사] 조선 과거제도 과목의 실효성과 현대의 대학 수학능력 시험 과목의 실요성에 관한 분석-14
 15  [한국교육사] 조선 과거제도 과목의 실효성과 현대의 대학 수학능력 시험 과목의 실요성에 관한 분석-15
 16  [한국교육사] 조선 과거제도 과목의 실효성과 현대의 대학 수학능력 시험 과목의 실요성에 관한 분석-16
 17  [한국교육사] 조선 과거제도 과목의 실효성과 현대의 대학 수학능력 시험 과목의 실요성에 관한 분석-17
 18  [한국교육사] 조선 과거제도 과목의 실효성과 현대의 대학 수학능력 시험 과목의 실요성에 관한 분석-18
 19  [한국교육사] 조선 과거제도 과목의 실효성과 현대의 대학 수학능력 시험 과목의 실요성에 관한 분석-19
 20  [한국교육사] 조선 과거제도 과목의 실효성과 현대의 대학 수학능력 시험 과목의 실요성에 관한 분석-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교육사] 조선 과거제도 과목의 실효성과 현대의 대학 수학능력 시험 과목의 실요성에 관한 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과거의 과목과 진로
1) 과거제의 과목
(1) 문과
(2) 무과
(3) 잡과
2) 과거급제자의 진로
(1) 문과
(2) 무과
(3) 잡과

2. 과거제도 과목의 실효성 문제
1) 긍정적 입장
2) 부정적 입장

3. 대학수학능력시험 과목의 실효성

Ⅲ.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1. 과거의 과목과 진로

1) 과거제의 과목
(1) 문과
과거시험이란 선인들의 유교와 관련된 서적을 중심으로, 그 의미를 파악하고 이를 응용하여 문장을 얼마나 수월하게 짓느냐를 평가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문과에서는 특히 대학, 논어, 맹자, 중용의 4서와 예기, 춘추, 시, 서, 역의 5경을 중심으로 문제가 출제되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주어진 과제를 얼마나 적합하게 유교적으로 풀어내느냐를 중점으로 삼았다. 그중에서 먼저 사서의 내용에 대해서 알아보겠다.
사서란 유학을 대표하는 네 가지의 경서로서, 로 이루어진다. 사서야 말로 공자의 사상과 도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경전으로, 한국에는 오경과 함께 중국의 고전 및 문화의 상징으로 대표된다.

①대학(大學)
은 전통적으로 공자의 제자인 증자가 지은 것으로 전승돼 왔으나, 확실한 증거는 없다. 대개 공자가 진술한 것을 증자가 정리하고 증자의 제자들이 해설을 붙인 것으로 추정된다. 은 유가의 주요 사상을 체계적으로 설명하고 있는데, 이는 결국 ‘자기를 수양하고 남을 다스리는 것’(修己治人)으로 요약된다. 그 중심 내용은 한 마디로 ‘삼강령’과 ‘팔조목’이라고 할 수 있다.
삼강령은 밝은 덕을 밝히고, 백성을 새롭게 하며, 지극한 선에 머무는 것을 말한다. ‘밝은 덕을 밝힌다’는 것은 인간은 누구나 밝은 덕 즉, 이상적 존재로 완성될 가능성을 타고났으나 세속적 욕망에 가려 그것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므로, 때와 먼지를 벗겨내듯 자신의 밝은 덕을 드러내야 한다는 것이다. ‘백성을 새롭게 한다’는 것은 타고난 밝은 덕을 밝혀 인격완성을 향해 나아가는 것이 자기 한 사람에게서 그치면 안 된다는 것이다. 끊임없는 자기수양과 더불어 쉬지 않고 타인을 이끌어 함께 나아가려 하는 사회적 책임과 사명을 가져야 한다는 말이다. ‘지극한 선에 머문다’는 것은 언제 어디서나 가장 합당하게 행동하고, 인류의 보편적 가치인 선을 추구하고 행함으로써, 늘 선에서 떠나지 않는 생활을 하는 것을 말한다.
팔조목은 사물의 이치를 탐구하고, 앎을 극치에 이르게 하며, 뜻을 성실하게 하고, 마음을 바르게 하며, 자신을 수양하고, 집안을 바로잡으며, 나라를 다스리고, 온 세상을 평화롭게 하는 것을 말한다.
이 중 삼강령의 ‘밝은 덕을 밝힌다’ 관련 부분을 인용하자면 이렇다.

밝은 덕을 밝힘에 대하여
『서』에 말했다. “훌륭히 덕을 밝혀야 한다”
『서』에 말했다. “하늘이 부여한 밝은 덕을 늘 돌아보셨다.”
『서』에 말했다. “훌륭히 큰 덕을 밝히셨다.”
이 모두는 스스로 자신의 덕을 밝힌 것이다.
참고문헌
김판석 ․ 윤주희, 「고려와 조선왕조의 관리등용제도 -과거제도의 재해석-」, 『한국 사회와 행정 연구』 제11권 제2호, 2000
서울대대학교교육연구소, 《한국교육사》, 교육과학사, 1997
석동신 ․ 유덕조, 《한글로 읽는 사서》, 다시, 2005
정해은, 「조선후기 무과급제자 연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학대학원, 2002
「조선후기 무과 연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학대학원, 19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