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교육사] 조선 과거제도 과목의 실효성과 현대의 대학 수학능력 시험 과목의 실요성에 관한 분석

 1  [한국교육사] 조선 과거제도 과목의 실효성과 현대의 대학 수학능력 시험 과목의 실요성에 관한 분석-1
 2  [한국교육사] 조선 과거제도 과목의 실효성과 현대의 대학 수학능력 시험 과목의 실요성에 관한 분석-2
 3  [한국교육사] 조선 과거제도 과목의 실효성과 현대의 대학 수학능력 시험 과목의 실요성에 관한 분석-3
 4  [한국교육사] 조선 과거제도 과목의 실효성과 현대의 대학 수학능력 시험 과목의 실요성에 관한 분석-4
 5  [한국교육사] 조선 과거제도 과목의 실효성과 현대의 대학 수학능력 시험 과목의 실요성에 관한 분석-5
 6  [한국교육사] 조선 과거제도 과목의 실효성과 현대의 대학 수학능력 시험 과목의 실요성에 관한 분석-6
 7  [한국교육사] 조선 과거제도 과목의 실효성과 현대의 대학 수학능력 시험 과목의 실요성에 관한 분석-7
 8  [한국교육사] 조선 과거제도 과목의 실효성과 현대의 대학 수학능력 시험 과목의 실요성에 관한 분석-8
 9  [한국교육사] 조선 과거제도 과목의 실효성과 현대의 대학 수학능력 시험 과목의 실요성에 관한 분석-9
 10  [한국교육사] 조선 과거제도 과목의 실효성과 현대의 대학 수학능력 시험 과목의 실요성에 관한 분석-10
 11  [한국교육사] 조선 과거제도 과목의 실효성과 현대의 대학 수학능력 시험 과목의 실요성에 관한 분석-11
 12  [한국교육사] 조선 과거제도 과목의 실효성과 현대의 대학 수학능력 시험 과목의 실요성에 관한 분석-12
 13  [한국교육사] 조선 과거제도 과목의 실효성과 현대의 대학 수학능력 시험 과목의 실요성에 관한 분석-13
 14  [한국교육사] 조선 과거제도 과목의 실효성과 현대의 대학 수학능력 시험 과목의 실요성에 관한 분석-14
 15  [한국교육사] 조선 과거제도 과목의 실효성과 현대의 대학 수학능력 시험 과목의 실요성에 관한 분석-15
 16  [한국교육사] 조선 과거제도 과목의 실효성과 현대의 대학 수학능력 시험 과목의 실요성에 관한 분석-16
 17  [한국교육사] 조선 과거제도 과목의 실효성과 현대의 대학 수학능력 시험 과목의 실요성에 관한 분석-17
 18  [한국교육사] 조선 과거제도 과목의 실효성과 현대의 대학 수학능력 시험 과목의 실요성에 관한 분석-18
 19  [한국교육사] 조선 과거제도 과목의 실효성과 현대의 대학 수학능력 시험 과목의 실요성에 관한 분석-19
 20  [한국교육사] 조선 과거제도 과목의 실효성과 현대의 대학 수학능력 시험 과목의 실요성에 관한 분석-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교육사] 조선 과거제도 과목의 실효성과 현대의 대학 수학능력 시험 과목의 실요성에 관한 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문과의 과목과 진로
2.무과의 과목과 진로
3.잡과의 과목과 진로
4.실효성의 문제
5.수능시험의 실효성
6.토론주제
본문내용
대학(大學)
밝은 덕을 밝힘에 대하여
『서』에 말했다. “훌륭히 덕을 밝혀야 한다”
『서』에 말했다. “하늘이 부여한 밝은 덕을 늘 돌아보셨다.”
『서』에 말했다. “훌륭히 큰 덕을 밝히셨다.”
이 모두는 스스로 자신의 덕을 밝힌 것이다.

삼강령三綱領 : 在明明德, 在新民, 在止於至善
팔조목八條目 : 格物 致知 誠意 正心 修身 齊家 治國  平天下

논어(論語)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인에 머무르는 것이 아름답다.
인을 택하여 살지 않으면, 어찌 지혜롭다 하겠는가?
오직 어진 사람만이 진정으로 사람을 좋아할 수도 있고,
진정으로 사람을 미워할 수도 있다.”
“군자는 세상일에 있어 꼭 해야 할 것도 없고,
결코 하지 말아야 할 것도 없다.
오직 의에 따를 뿐이다.
군자는 의에 밝고, 소인은 이익에 밝다.
덕이 있는 사람은 외롭지 않다. 반드시 이웃이 있다.”


중용(中庸)
天命之謂性이오 率性之謂道요 修道之謂敎니라.
道也者는 不可須臾離也니 可離면 非道也니라.
是故로 君子는 戒愼乎其所不睹하며 恐懼乎其所不聞이니라.
莫見乎隱이며 莫顯乎微니 故로 君子愼其獨也니라.  

하늘이 명한 것을 성(性)이라 하고, 성에 따르는 것을 도(道)라하고, 도를 닦는 것을 교(敎)라 한다.
도라는 것은 잠시도 떠날 수 없는 것이니, 떠날 수 있다면 도가 아니다.
 그러므로 군자는 보이지 않는 바를 조심하고 삼가며, 들리지 않는 곳을 두려워하는 것이다.
숨겨진 것보다 더 잘 드러나는 것은 없으며, 작은 것 보다 더 잘 나타나는 것은 없다.
그러므로 군자는 홀로 있을 때 삼가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