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태공학]Phytoremediation을 이용한 제2연화광산 주변 오염지역 토양의 생물학적 복원 설계

 1  [생태공학]Phytoremediation을 이용한 제2연화광산 주변 오염지역 토양의 생물학적 복원 설계-1
 2  [생태공학]Phytoremediation을 이용한 제2연화광산 주변 오염지역 토양의 생물학적 복원 설계-2
 3  [생태공학]Phytoremediation을 이용한 제2연화광산 주변 오염지역 토양의 생물학적 복원 설계-3
 4  [생태공학]Phytoremediation을 이용한 제2연화광산 주변 오염지역 토양의 생물학적 복원 설계-4
 5  [생태공학]Phytoremediation을 이용한 제2연화광산 주변 오염지역 토양의 생물학적 복원 설계-5
 6  [생태공학]Phytoremediation을 이용한 제2연화광산 주변 오염지역 토양의 생물학적 복원 설계-6
 7  [생태공학]Phytoremediation을 이용한 제2연화광산 주변 오염지역 토양의 생물학적 복원 설계-7
 8  [생태공학]Phytoremediation을 이용한 제2연화광산 주변 오염지역 토양의 생물학적 복원 설계-8
 9  [생태공학]Phytoremediation을 이용한 제2연화광산 주변 오염지역 토양의 생물학적 복원 설계-9
 10  [생태공학]Phytoremediation을 이용한 제2연화광산 주변 오염지역 토양의 생물학적 복원 설계-10
 11  [생태공학]Phytoremediation을 이용한 제2연화광산 주변 오염지역 토양의 생물학적 복원 설계-11
 12  [생태공학]Phytoremediation을 이용한 제2연화광산 주변 오염지역 토양의 생물학적 복원 설계-12
 13  [생태공학]Phytoremediation을 이용한 제2연화광산 주변 오염지역 토양의 생물학적 복원 설계-13
 14  [생태공학]Phytoremediation을 이용한 제2연화광산 주변 오염지역 토양의 생물학적 복원 설계-14
 15  [생태공학]Phytoremediation을 이용한 제2연화광산 주변 오염지역 토양의 생물학적 복원 설계-15
 16  [생태공학]Phytoremediation을 이용한 제2연화광산 주변 오염지역 토양의 생물학적 복원 설계-16
 17  [생태공학]Phytoremediation을 이용한 제2연화광산 주변 오염지역 토양의 생물학적 복원 설계-17
 18  [생태공학]Phytoremediation을 이용한 제2연화광산 주변 오염지역 토양의 생물학적 복원 설계-18
 19  [생태공학]Phytoremediation을 이용한 제2연화광산 주변 오염지역 토양의 생물학적 복원 설계-19
 20  [생태공학]Phytoremediation을 이용한 제2연화광산 주변 오염지역 토양의 생물학적 복원 설계-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생태공학]Phytoremediation을 이용한 제2연화광산 주변 오염지역 토양의 생물학적 복원 설계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설계배경
2. 지역선정
3. 지역현황
3-1. 토지이용
3-2. 인구
3-3. 기온
3-4. 강수량
3-5. 주변하천
3-6. 오염도

Ⅱ. 본론
1. 설계적용범위
2. 범위기초조사
2-1. 토양현황
2-2. 수질현황
2-3. 식생현황
3. 설계개요 및 사례분석
3-1. 토양세척법 (Soil washing)
3-2. 식물상 정화기법 (Phytoremediation)
4. 설계세부과정
4-1. 토양세척법 설계과정
4-2. 식물상 정화기법 설계과정

Ⅲ. 결론
1. 설계결과
2. 검토 및 고찰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1. 설계배경
우리나라 폐광산의 현실
광산은 광복 이후 우리나라의 산업화의 원동력이 되었다. 당시 우리 국민들은 중요한 삶의 터전으로서 광산을 선택하였다. 그러나 국민소득이 증가하면서 80년대 중ㆍ후반 대부분의 광산들이 자동 폐기되었다. 이에 따라 한때는 산업화의 원동력이었으나 지금은 각종 후유증으로 애물단지가 된 폐광산에 대한 복원사업이 시급히 진행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는 2000여개 이상의 크고 작은 폐광산이 전국 곳곳에 산재해 있다. 존재하는 대부분의 폐광산에서는 비소, 카드뮴, 납, 수은 등 중금속의 오염이 기준치를 넘는 수치를 보이고 있으며, 또한 폐수ㆍ폐석에 하천유입으로 인하여 하천수와 지하수, 갱내수가 적정수질 기준을 초과한 것으로 드러나고 있다.

이 결과 주변 토양, 수질오염에 심각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그 지역에 사는 인구 및 동식물들과 주변 환경에 치명적일 수 있다.

2. 지역선정
위에서 언급한 우리나라 폐광산의 현실을 바탕으로 광산을 한 곳 지정하여 설계를 하려고 한다. 우리가 선택한 곳은 강원도 삼척시 가곡면에 위치한 ‘제2연화 광업소’이다.

‘제2연화 광업소‘는 지난 69년부터 채광을 시작해 28개 광구에서 연, 아연, 동 등 3만8000 ton을 생산, 86년 가행당시 568명의 광원이 종사한 규모가 큰 광업소로, 87년 3월 폐광 후 2003년 태풍 ‘매미’로 인해 광미 댐 시설물이 기능을 상실하면서 가곡천 상류에 각종 폐석이 유실되고 직내골 광미장 앞 계곡 약 1㎞ 구간에 황갈색 침전물과 지반침하 등 광해가 발생했다.

환경부가 발표한 전국 100개 폐금속 광산 주변 토양 및 수질오염실태 정밀 조사 결과에 따르면 ‘제2연화 광업소’는 아연 제련 후 남은 찌꺼기인 광미가 300만㎥, 폐석이 10만㎥, 갱내수가 대량 존재하는 등 오염원이 많고 하류 농경지를 포함해 오염 면적이 넓어 복원 사업이 시급한 1등급 폐광산 판정을 받았다.
참고문헌
• 구글어스 (http://earth.google.com)
• 기상청 (http://www.kma.go.kr)
• 한국광해관리공단 (http://www.mireco.or.kr)
• 환경컨설팅 메뉴얼 개발 및 시범적용, 2009. 9, 한국환경컨설팅협회
• 홍선화, 조경숙, 오염 토양의 식물상 복원효율에 미치는 식물, 근권세균 및 물리 화학적 인자의 영향, 2007, 이화여자대학교
• 백경화 외 3명, 카드뮴 오염 토양에 Phytoremediation의 적용 가능성 연구, 2002, 이화 여자대학교 생명과학과, 광운대학교 환경공학과, 경원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허선희, 식물재배정화법을 이용한 폐광산 토양 내 중금속 제거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2008
• 김인, 도시해석, 2006, 푸른길
• 김준호, 수종 초본식물의 중금속 내성에 대한 연구, Korean J. Ecol, 1995, pp. 147~156
• 정명채, 삼보 Pb-Zn 광산 주변 지구화학적 환경의 중금속 오염, 1998
• 김조규 외 4명, 휴·폐광산 지역 오염토양의 phytoremediation을 위한 식물자원 검색, 1999
• 윤정옥 외 1명, 식물의 납과 아연의 내성에 관한 유전현상, 1992
• 강창수, 폐광산 토양, 유출수 및 식물의 중금속 오염과 phytoremediation을 위한 식물, 2007, 경희대학교 대학원
• 정명채 외 1명, 삼보 연-아연광산 주변 농경지에서의 중금속함량의 계절적 변화와 환경 오염, 1998
• 옥용식 외 5명, 광산 인근 토양의 중금속 오염에 따른 식물정화기술의 적용성 탐색, 2003
• 정기채 외 2명, 아연광산 인근지역 야생식물중의 중금속 함량 조사, 1993
• 임길재, 폐탄광 광산배수 자연정화시설 정화효율성평가 사례연구, 2002, 한국자원공학회지 Vol. 30, No.2, pp. 112-118
• 정용호, 폐광지역 생태적 복구방안, 2008 광해방지심포지엄
• 서상우 외 3명, 폐광산 주변 토양의 Zn, Cu, Pb의 함량 및 식물체내 축적, 2005)
• 조도순 외 1명, 수종 초본식물의 중금속 내성에 대한 연구, Korean J. Ecol, pp. 147~156, 19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