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동생리학] BMI차이에 따른 저압환경 적응능력 비교 분석

 1  [운동생리학] BMI차이에 따른 저압환경 적응능력 비교 분석-1
 2  [운동생리학] BMI차이에 따른 저압환경 적응능력 비교 분석-2
 3  [운동생리학] BMI차이에 따른 저압환경 적응능력 비교 분석-3
 4  [운동생리학] BMI차이에 따른 저압환경 적응능력 비교 분석-4
 5  [운동생리학] BMI차이에 따른 저압환경 적응능력 비교 분석-5
 6  [운동생리학] BMI차이에 따른 저압환경 적응능력 비교 분석-6
 7  [운동생리학] BMI차이에 따른 저압환경 적응능력 비교 분석-7
 8  [운동생리학] BMI차이에 따른 저압환경 적응능력 비교 분석-8
 9  [운동생리학] BMI차이에 따른 저압환경 적응능력 비교 분석-9
 10  [운동생리학] BMI차이에 따른 저압환경 적응능력 비교 분석-10
 11  [운동생리학] BMI차이에 따른 저압환경 적응능력 비교 분석-11
 12  [운동생리학] BMI차이에 따른 저압환경 적응능력 비교 분석-12
 13  [운동생리학] BMI차이에 따른 저압환경 적응능력 비교 분석-13
 14  [운동생리학] BMI차이에 따른 저압환경 적응능력 비교 분석-14
 15  [운동생리학] BMI차이에 따른 저압환경 적응능력 비교 분석-1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운동생리학] BMI차이에 따른 저압환경 적응능력 비교 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 목적
3. 연구 가설
4. 연구의 제한점

Ⅱ. 연구 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진행 일정
3. 연구설계
4. 측정 항목 및 도구
5. 측정 방법
6. 자료처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Ⅴ.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BMI는 신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를 나타내는 말로 비만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체중kg단위를 신장 m 단위의 제곱으로 나누어 계산한다. 체질량지수는 질병의 이환율 및 사망률의 상대위험도를 반영한다. 즉 체질량지수가 높을수록 심혈관질환, 암 발생 위험이 높고, 조기 사망 가능성이 높아진다. 일반적으로 WHO에서는 25~29.9 kg/m² 일때 과체중으로 정의하며 30 kg/m² 일때 비만으로 정의한다. 하지만 동일한 성, 연령, 체질량지수임에도 불구하고 동서양인의 체지방량에 차이가 있어 동양인의 경우 체질량지수가 25 kg/m² 이상에서도 다양한 만성질환이 나타나고 있어 서양인에게서는 체질량지수 30 kg/m²을 비만의 기준으로 삼지만 한국을 비롯한 동양인은 25 kg/m² 을 비만의 기준으로 삼고 있다.2006년 보건복지가족부의 비만 심포지엄에서도 한국인의 비만 기준을 체질량지수 25 kg/m² 이상으로 정의하였다. 키가 작거나 근육이 많은 사람은 비만하지 않더라도 체질량지수가 높게 나온다는 단점이 있지만 BMI는 운동수행능력과 연관을 갖는다. BMI는 만성질환이나 건강장애를 발생시킬 가능성을 나타내는 평가지표로 이용되고 있기 때문에(Rikli & Jones, 1998) 체력에 관련한 주요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에는 심폐지구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유산소 운동과 관련된 다향한 응용방법들이 소개 되고 있는데, 그 중에서 평압 및 저압·저산소 환경장치를 이용한 고지훈련에 관한 연구가 운동선수들을 중심으로 다양하게 실시되고 있는데(선우 섭 등, 2004), 저압ㆍ저산소 환경은 저기압 상태로 저산소 분압을 의미하며, 해수면 수준에서 생활하던 사람이 2,000m 이상의 고지대에 노출되면 특별한 생물학적 적응변화를 일으키게 되는데 고지 및 저압ㆍ저산소 환경에서 운동을 하면, 산소분압(PO2)과 동맥혈 산소포화도(%SaO2)의 감소에 따라 폐포산소분압(PAO2)과 동맥혈 산소함유량(CaO2), 동ㆍ정맥 산소함량차이(a-VO2diff)가 감소되어 근육세포로의 산소공급이 제한된다(선우 섭과 황경식,2003). 이에 3,000m 고도에서의 유산소성 운동능력이 평지에서의 유산소성 운동능력보다 낮게 측정된다는 사실이 많은 연구를 통해 밝혀졌으며, 이러한 생리적인 변화를 이용하여 고지 및 저압ㆍ저산소 트레이닝을 통해 유산소성 운동능력의 향상을 기대하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유산소성 운동능력을 향상시키는 고지 훈련의 과학적인 원리는 고지 환경이 흡입산소분압과 동맥혈의 산소분압을 감소시키는데, 이것은 결국 적혈구(erythrocyte: RBC), 혈색소(hemoglobin: HB) 농도, 적혈구 용적(hematocrit: Hct)을 증가(Ingjer & Myhre, 1992; Chapman et al,. 1998) 시키는 적혈구조혈인자 (erythropoietin: EPO)의 방출을 자극한다(Berglund, 1992). 이러한 혈액학적 적응에 더하여, 고지 훈련의 결과로서, 골격근의 모세혈관의 밀도, 마이오글로빈 농도, 미토콘드리아의산화적 효소 활동, 미토콘드리아 밀도의 증가, 그리고 젖산과 수소 이온 완충 능력을 향상시키는 변화가 일어날 수 있는데 (Terrados et al,. 1988; Favier er al., 1995; Hahn & Gore, 2001), 그 결과 산소 이용 능력이 증가하게 된다(Wilber, 2004).
참고문헌
1. 양인옥(2007). 고령여성의 BMI 수준에 따른 일상생활체력의 비교. 경희대학교 체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장지연(2009). 체질량지수에 따른 비만치료에 대한 인식도. 경희대학교 대학원 가정의학과. 석사학위논문

3. 정영호(2008). 평압 및 저압 저산소 훈련이 남자 대학생들의 심폐지구력과 혈액 변인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Powers, Scott K.(2008). 파워 운동 생리학. 라이프사이언스

5. 고기환(2003). 체육 측청 평가의 응용. 보경문화사

6. 임연주(2006). 3,000m 상당고도에서의 간헐적인 저압․저산소 노출이 핀수영선수의 저압․저산소 노출이 핀수영선수의 혈중 산소운반능력과 유산소성 운동능력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함주호(2009). 3,000m 상당고도의 저압․저산소 환경에서 4주간의 간헐적인 스프린트 훈련이 무산소성 에너지대사 운동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