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텔산업]특급호텔과 중저가호텔 서비스 분석

 1  [호텔산업]특급호텔과 중저가호텔 서비스 분석-1
 2  [호텔산업]특급호텔과 중저가호텔 서비스 분석-2
 3  [호텔산업]특급호텔과 중저가호텔 서비스 분석-3
 4  [호텔산업]특급호텔과 중저가호텔 서비스 분석-4
 5  [호텔산업]특급호텔과 중저가호텔 서비스 분석-5
 6  [호텔산업]특급호텔과 중저가호텔 서비스 분석-6
 7  [호텔산업]특급호텔과 중저가호텔 서비스 분석-7
 8  [호텔산업]특급호텔과 중저가호텔 서비스 분석-8
 9  [호텔산업]특급호텔과 중저가호텔 서비스 분석-9
 10  [호텔산업]특급호텔과 중저가호텔 서비스 분석-10
 11  [호텔산업]특급호텔과 중저가호텔 서비스 분석-11
 12  [호텔산업]특급호텔과 중저가호텔 서비스 분석-12
 13  [호텔산업]특급호텔과 중저가호텔 서비스 분석-13
 14  [호텔산업]특급호텔과 중저가호텔 서비스 분석-14
 15  [호텔산업]특급호텔과 중저가호텔 서비스 분석-15
 16  [호텔산업]특급호텔과 중저가호텔 서비스 분석-16
 17  [호텔산업]특급호텔과 중저가호텔 서비스 분석-17
 18  [호텔산업]특급호텔과 중저가호텔 서비스 분석-18
 19  [호텔산업]특급호텔과 중저가호텔 서비스 분석-19
 20  [호텔산업]특급호텔과 중저가호텔 서비스 분석-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호텔산업]특급호텔과 중저가호텔 서비스 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한국 관광-호텔산업의 변화 및 현황
(1)
아시아 호텔산업의 현재
(2)
한국 호텔산업의 변화 추이
(3)
한국 호텔산업의 현황 - 중저가호텔의 부상
(4)
최근 호텔산업의 정부정책 변화 - 중저가 호텔 및 지방호텔 지원정책
2. 한국 호텔산업의 문제점 ; 서울, 그리고 특급호텔
(1)
호텔산업의 서울 집중현상, 양극화.
(2)
특급호텔의 편중 및 수익성 악화
3. 중.저가 호텔의 개념
4. 국내의 중저가 호텔의 현황
(1)
중저가호텔의 현황
(2)
중저가호텔의 객실이용률 및 내․외국인 비율 현황
(3)
중저가 호텔의 사업 현실
(4)
한국 중저가 호텔의 문제점
5. 해외 중저가 호텔의 현황
(1)
미국의 중저가호텔
(2)
프랑스의 중저가호텔
(3)
영국의 중저가호텔
6. 새로이 도입되는 중저가 비즈니스 호텔체인
(1)
세계적 중저가 체인호텔 ‘베스트 웨스턴
(2)
유럽 최대 ‘budget’ 호텔 'ibis'
7. 국내기반 중저가 비즈니스호텔 체인
(1)
'롯데시티호텔’
(2)
한국형관광호텔 ‘베니키아’
8. 국내 중저가 호텔의 발전 방향 제언
Ⅲ.
결 론
Ⅳ.
참 고 문 헌

본문내용
2. 한국 호텔산업의 문제점 ; 서울, 그리고 특급호텔

(1) 호텔산업의 서울 집중현상, 양극화

한국 호텔산업의 서울 ‘쏠림현상’은 현재 매우 심각한 상황이다. 실제로 해외에서 대규모 방한단이 수도권 이외의 지방을 방문할 경우 해당 지역에 숙박 가능한 대형호텔이 없어 대도시로 옮겨 숙박하는 경우를 종종 볼 수 있다. 게다가 특급호텔 중에서도 최고급으로 꼽는 특1급 호텔은 전국의 53개소 가운데 서울에 17개가 포진해 있어, 국제적인 행사시 VIP들의 숙박을 고려하면 모든 컨벤션, 문화산업의 개최지로 서울을 선택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이러한 반면 지방 호텔들은 수익성 악화에 따른 투자 미비로 최근에는 모텔보다 시설이 열악한 경우가 많아 생존 자체를 위협받고 있으며, 관광지인 부산과 제주의 특급호텔 일부만이 여름 성수기에 특수를 누리는 형편이다. 위의 표1을 살펴보면, 전국 저가 호텔들의 숙박료는 3만 7천원 선으로 서울 특급호텔의 숙박료와 비교시 1/10에 해당하는 가격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숙박객 수는 매년 줄어드는 형국이고, 고급화된 시설과 서비스를 원하는 이용객들의 니즈를 쉽게 만족시키지 못하는 악순환이 일어나는 것이다.
이렇듯 서울에 집중된 특급호텔로 인해 호텔을 통한 대규모 행사는 대부분 서울에서 치러지고 있어서 이에 대해 호텔산업의 ‘빈익빈부익부’ 현상을 가져오는데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높다. 현재 국내 호텔 업체 수는 지난해 말 기준 총 591업체로 이중 125개 업체가 서울에 몰려 있으며 이는 전체의 약 21%에 해당한다. 객실 수에서도 총 65,343실 중 21,692실로 약 34%에 달하는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런 사정은 특1급과 특2급 호텔만 놓고 봤을 때 더욱 심각하다. 전국의 119개 특급호텔 중 39개 특급호텔, 14,328실이 서울에 집중돼 있다. 서울집중 현상은 호텔뿐만 아니라 관광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한국관광공사가 발표한 지난해 ‘외래관광객 실태조사’를 보면 외국인 관광객이 가장 많이 방문하는 곳은 서울(73.4%)이 차지하고 있다. 서울 다음으로는 인천(19.1%), 부산(18.8%), 제주도(13.8%) 순으로 방문했다. 매년 실시되는 외래관광객 실태조사의 ‘한국여행 중 방문지’를 보면 2004년 80.9%에서 2007년 73.4%로 감소하고 있기는 하나 여전히 다른 지역에 비해 압도적으로 높은 방문비율을 나타내고 있다.

(2) 특급호텔의 편중 및 수익성 악화

우리나라에서는 1990년대 중반부터 중저가형 숙박시설에 대한 정책적 관심이 대두되기 시작했다. 2007년 기준 국내 관광호텔 등록 현황은 특1등급 53개, 특2등급 74개, 1등급 186개, 2등급 119개, 3등급 66개, 등급미정 92업체로 총 590여 개 업체가 등록돼 있다. 이제 호텔 산업은 규모나 경영면에서 현대화, 대형화, 과학화되어 여타의 선진국의 어느 호텔 산업과도 어깨를 견줄 만한 위치로까지 발돋움하게 되었으며, 우리나라 관광산업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기에 이르렀다.
그러나 전국 호텔의 보유 객실수의 1/4, 서울 객실 수의 1/3에 이르는 고비용의 특1급 호텔 편중현상은 높은 가격과 함께 외래 관광객들의 부담을 증가시키는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대부분의 선진관광대국은 소수의 고급호텔과 다수의 중저가 호텔로 이뤄진 삼각형형태를 이루나 국내 호텔산업은 역삼각형 형태를 이루고 있다. 또한 대부분의 숙박시설 대책은 장기적이고 종합부담을육성측면에서 정책추진하기 보다는 주요들의 행사를 수용하기 위해 객실 수를 늘리는데 중점을 두어 특수시기에 호텔의 양적 팽창만을 가져옴으로써 이후 수요·공급의 불균형을 초래하는 원인이 됐다. 실제로 우리나라에서 외국을 여행하는 대학생, 혹은 젊은 층은 숙박업소로 저가호텔이나 유스호스텔을 찾는다. 이에 대한 상세한 비교 역시 매우들쉬우며, 커뮤니티와 예약시스템 역시 뛰어난 접근성을 주고 있다. 하지만 서울 내공급의그러한 저가 호텔을 찾기가 쉽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서울 내 중저가호텔의 건설 확충을 위해서는 우ä선진시설 건설에 필요한 각종 인허가 절뤨나라대폭 간소화해야 수의필요가 있다. 또한 다양하고 수준 높은 중저가 숙박공급을 효율적으로 확대하기 위해서 몇 개 호텔의 경영효율개선이나 신규호텔 건축에 국한하지 않고 중저가 호텔의 고급화, 체인화 전략을 적극 추진해야 하는 상황이다.
실제 중저가 호텔의 수요는 현재에도 충분한 상황이다. 이는 아래와 같은 자료에서도 알 수 있다. 2007년 외국인의 한국 방문 목적은 ‘여가, 위락, 휴가'(44.4%)가 가장 많았고, ‘사업 또는 전문활동’(39.3%)이 그 뒤를 이었다. 그 다음은 ‘친구, 친지 방문’(10.4%), ‘종교 및 순례’(1.1%), ‘건강 및 치료’(0.1%) 순이었다. ‘2007년 상반기 외래 관광객 실태조사’, 한국관광공사.
연도별 한국 방문 목적을 살펴보면 2006년 상반기에는 ‘여가, 위락, 휴가’비율과 ‘사업 또는 전문 활동’비율이 거의 동일한 수준이었으나. 2007년 상반기는‘여가, 위락, 휴가’(44.4%) 비율은 전년 수준을 유지한데 반해,‘ 사업 또는 전문 활동’(39.3%) 비율은 다소 감소 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행 전 한국과 함께 방문을 검토한 국가들을 살펴보면 ‘일본’이 32.6%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중국’(19.1%), ‘태국’(11.4%), ‘홍콩’(8.6%) 등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관광객 10명 중 7명 정도는 ‘동반자와 함께’(69.1%) 한국을 방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한국을 방문한 외래객의 평균 체재기간은 6박으로 조사되었다. 체재 기간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2박’(27.8%)의 비율이 가장 높아 단기간의 여행이 주를 이루었고, 그 다음으로 ‘3박’(16.6%), ‘4박’(12.4%)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장기간 체재에 속하는 ‘11~60박’은 10.6%에 달하였고, 이 때 방한 외래객이 주로 이용한 숙박시설은 ‘호텔’(80.0%)이 가장 많이 꼽혔다. 또한 여행 총지출경비에서 숙박비가 차지하는 비율이 두 번째로 높은 것으로 나타난 것은 호텔업계가 주목해야 할 대목이다. 숙박에 있어서 고비용으로 인한 부담이 타국에 비하여 더 큰 수준인 것이다. 이것은 유럽과 미주를 여행하는 한국인의 숙박 선택과응 크게 차이나는 부분으로서, 우리가 중저가 비즈니스호텔의 확대로 인한 여행객 증가를 노려볼 수 있는 이유이다.

3. 중저가 호텔의 개념

참고문헌
- 김근종. 한국중저가호텔에 관한 연구.여행학연구 제10호.한국여행학회, 1999
- 레져산업진흥연구소. 호텔용어사전. 백산출판사, 2003
- 문화관광부. 관광법규집. 경기도관광협회, 2000
          중저가 관광숙박시설 활성화 추진. 문화관광부, 1998. 5
            2007년도 관광동향에 관한 연차보고서. 한국관광연구원, 2007.12
- 장택호. 중저가호텔 상품화 및 마케팅전략개발에 관한 연구: 가격전략을 중심으로. 세종대
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3.
- 강신겸. IMF시대 저비용 여가시설의 개발방안. 삼성경제연구소, 1998
- 조의영 .중저가호텔의 마케팅전략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8.
- 박상철. 미국의 호텔산업. 월간 호텔․레스토랑, 2002
- 신국철 외 3인. 중저가HOTEL개발 사업계획서. 한국관광공사, 1997.
- 이정자. 버젯호텔에 관한 연구: 그 개념과 특성 및 역할. 호텔경영학연구 제2호. 호텔경영 학회, 19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