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사회] 대안학교

 1  [교육사회] 대안학교-1
 2  [교육사회] 대안학교-2
 3  [교육사회] 대안학교-3
 4  [교육사회] 대안학교-4
 5  [교육사회] 대안학교-5
 6  [교육사회] 대안학교-6
 7  [교육사회] 대안학교-7
 8  [교육사회] 대안학교-8
 9  [교육사회] 대안학교-9
 10  [교육사회] 대안학교-10
 11  [교육사회] 대안학교-11
 12  [교육사회] 대안학교-12
 13  [교육사회] 대안학교-13
 14  [교육사회] 대안학교-14
 15  [교육사회] 대안학교-15
 16  [교육사회] 대안학교-16
 17  [교육사회] 대안학교-17
 18  [교육사회] 대안학교-18
 19  [교육사회] 대안학교-19
 20  [교육사회] 대안학교-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교육사회] 대안학교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대안학교의 개념
1-1. 대안학교란?
1-2. 대안학교의 유래
1-3. 대안교육의 이념적 지향
1-4. 대안교육의 공통적 특성


2. 대안학교의 유형
2-1. 자유학교형
2-2. 생태학교형
2-3. 재적응학교형
2-4. 고유이념 추구형


3. 문제제기 및 시사점


4, 대응방안 및 해결방안


5. 결론 및 제언

본문내용
1. 대안학교의 개념
1-1. 대안학교란?
공교육제도의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만들어진 종래의 학교교육과는 다른 학교로 그 특징은 ① 작은 학급에 의한 인간성 회복 ② 아동․학생의 수업계획에의 적극적인 참여 ③ 능력주의․경쟁주의 원리의 약화 ④ 시민의 광범휘한 지원 등으로, 의무교육을 중심으로 한 학교교육을 근본적으로 부정하는 일리치의 탈학교교육론 형식적인 학교교육은 제도의 경직성, 빈부와 지역적 격차, 지식교육 강조 등으로 학교 본래의 기능인 자유롭고 참된 인간의 성장에 기여하지 못하고 오히려 소외, 지배구조의 현상유지 등을 낳고 있기 때문에 형식적인 학교교육의 제도를 지양하고 비공식적이고 실질적인 교육을 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원래 신부였던 일리치는 멕시코에 설립한 그의 연구소 시닥(CEDOC)에서 세계 각국에서 온 교육비판가들과 약 6주간의 세미나 과정을 마련하고 탈학교론을 주장하였다. 1970년에 출판한 《탈학교사회》는 학교교육의 모순을 시정하고 새로운 대안을 모색하는 1970년대와 1980년대의 교육개혁운동에 세계적으로 영향을 주었다. 그가 이러한 주장을 하게 된 배경에는 남미의 보수적인 여러 나라에서 학교가 사회계층구조를 유지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으로 이용되고 있다고 생각한 데 있다. 탈학교사회에서 학교에 가지 못한 사람은 그 사회에서뿐만 아니라 국제적으로 하층계급이 되고, 반대로 대학졸업자들은 지배계층이 됨으로써 학교는 국제적인 계급제도를 형성하고 있다고 비난하였다.
일리치와 함께 E.라이머, J.홀트, P.프레이리 등은 탈학교론자들로 유명하다. 특히 라이머는 푸에르토리코 등의 남미에서 교육사업을 하면서 《학교는 죽었다》라는 저서를 통하여 학교의 사회계층적 성격을 비판하고 있다. 탈학교론의 주장은 현대사회의 제도권 학교가 가지고 있는 모순성과 불평등성, 비인간적인 측면을 공격함으로써 인간적인 학교의 대안을 모색하는 데 기여했지만, 그들의 주장이 현실적으로 실현될 가능성은 극단적인 것이다. 따라서 탈학교론은 학교를 완전히 폐지하자고 하는 주장이라기보다 학교교육의 모순을 지적하고 그 대안을 모색해야 한다는 뜻으로 보아야 한다는 견해가 많다. 이러한 학교에 대한 대안으로서 학교체제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혁신을 모색하는 온건한 주장은 1970년대 이후 개방학교 ․자유학교 ․비공식학교 ․사회교육 ․평생교육 등으로 나타났다.
과는 다르다. 백과사전에서의 정의

대안 교육이란 현행 학교 교육의 문제를 비판하고 그 대안을 찾는 움직임이라고 할 수 있다. 쿠퍼(B. S. Cooper)는 교육백과사전에서 대안 학교를 “표준적인 ‘공립학교들’이 제공하는 ‘전통적인’ 것과는 다른 경험을 추구하는 아동과 학부모들을 위하여 특별한 교수법과 프로그램, 활동, 여건 등을 제공할 수 있도록 고안된 학교”라고 정의하고 있다.
대안 교육으로 지칭되는 것들을 크게 두 가지 범주로 나눈다면, 기존의 학교 교육의 변형된 형태로서 대안적인 것을 찾으려는 것과 기존 학교 교육의 형식과 내용 자체를 뛰어 넘으려는 것으로 구분할 수 있다.

1-2. 대안교육 유래
대안교육은 19∼20세기에 개발 중심의 근대적 가치가 생존경쟁의 가치, 적자생존의 가치로서 인간간의 유대를 단절하고, 공동체를 와해시키고, 자연환경과의 친화력을 약화시키고, 인간성을 비인간화하는 교육에 대한 반기로 나타난 운동이다.
1919년 설립돼 초. 중. 고교 구분 없이 함께 배우고 익히는 독일의 '발도로프 학교' 는 적자생존의 가치가 강조되고 기존 질서를 일방적으로 주입시키는 학교에 반기를 든 것이었고 1921년 설립된 영국의 써머힐도 산업화과정에서 기계부속품으로 변하는 인간성을 자연 그대로 회복하려는 대안이었다.
특히 산업화의 후유증으로 인간 소외문제가 심각히 대두된 60년대 이후 대안학교 설립 붐이 일었다.
참고문헌
사단법인 한국 슈타이너교육 협회 http://www.waldorf.or.kr/
sbs스페셜 (발도르프 교육관련) http://tv.sbs.co.kr/sbsspecial/
영산성지고등학교 http://www.yssj.hs.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