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소설교육] 교과서의 비판적 검토와 수업지도안

 1  [현대소설교육] 교과서의 비판적 검토와 수업지도안-1
 2  [현대소설교육] 교과서의 비판적 검토와 수업지도안-2
 3  [현대소설교육] 교과서의 비판적 검토와 수업지도안-3
 4  [현대소설교육] 교과서의 비판적 검토와 수업지도안-4
 5  [현대소설교육] 교과서의 비판적 검토와 수업지도안-5
 6  [현대소설교육] 교과서의 비판적 검토와 수업지도안-6
 7  [현대소설교육] 교과서의 비판적 검토와 수업지도안-7
 8  [현대소설교육] 교과서의 비판적 검토와 수업지도안-8
 9  [현대소설교육] 교과서의 비판적 검토와 수업지도안-9
 10  [현대소설교육] 교과서의 비판적 검토와 수업지도안-10
 11  [현대소설교육] 교과서의 비판적 검토와 수업지도안-11
 12  [현대소설교육] 교과서의 비판적 검토와 수업지도안-12
 13  [현대소설교육] 교과서의 비판적 검토와 수업지도안-13
 14  [현대소설교육] 교과서의 비판적 검토와 수업지도안-14
 15  [현대소설교육] 교과서의 비판적 검토와 수업지도안-15
 16  [현대소설교육] 교과서의 비판적 검토와 수업지도안-16
 17  [현대소설교육] 교과서의 비판적 검토와 수업지도안-17
 18  [현대소설교육] 교과서의 비판적 검토와 수업지도안-1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현대소설교육] 교과서의 비판적 검토와 수업지도안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소설교육의 연구사
Ⅲ. 교과서 비판 및 검토
Ⅳ. 수업지도안
Ⅴ. 결론
Ⅵ.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본 조는 현대소설교육 관련 연구사를 살펴보고, 교과서를 비판하기 위해 형설 출판사의 문학 (상) 교과서 4-3단원 삶의 애환과 죽음에서 네 번째 수록 작품인 「탈출기」와 「환상 수첩」을 선택하였다. 교과서를 분석한 결과 이 단원에 많은 문제점이 있다고 판단하여 텍스트 자체와 학습활동과 관련하여 비판해 보는 등 교과서를 비판․검토하고, 이러한 비판을 토대로 7차 교육과정의 맥락에 맞추어 수정을 가하여 수업지도안을 만들어 보았다.



Ⅱ. 소설교육의 연구사
1. 현대소설교육의 연구사 총론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중요한 영역을 차지하고 있는 현대소설교육의 연구사를 크게 시기별로 나눈 연구사와 연구자 중심으로 살펴본 현대소설로 나누어 살펴보기로 한다.
우선 시기별로 나눠본 연구사는 교수요목시기부터 현재 진행되고 있는 7차 교육과정까지의 연구동향을 보고, 연구자 중심으로 본 현대소설교육은 연구자의 논문과 이론 중심으로 전개할 것이다.

1) 현대소설교육의 연구사
현대소설의 시작은 개화기 이후부터 본격적으로 등장하기 시작하였다. 이광수가 등장하면서 우리나라의 현대소설의 역사는 두터워졌고,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소설의 분야가 넓어지고 문학의 중심이 되면서 현대소설의 방법론도 연구되기 시작했다.
지금까지의 소설교육 연구는 그 어떤 문학의 갈래보다 풍부하게 이루어져 왔다. 역사적 연구와 함께 현상을 분석하는 연구가 있었으며, 새로운 방법론에 더하여 이론적 모색을 거듭한 연구도 있었다.

(1) 시기별로 살펴본 소설 연구사
우리나라에서는 1915년, 보통학교 조선어 급 한문독본, 1923년 보통학교 조선어독본에 실린 소설들은 식민지교육의 일환이기 때문에 우리 국어교육사라 하기 힘들다. 하지만 이것은 소설교육의 사적으로 의미가 있다고 볼 수 있다.
우리나라 최초의 소설교육으로 볼 수 있는 시기는 46년 미군정 기에 발행한 초등국어교육과 중등국어교육교본에 의해 실시되었다. 이를 시작으로 소설교육의 진행이 빠르게 시작되었으며, 교수요목시기 시절부터 현재 개정7차 교육과정에 이르기까지 이론적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었다. 지금부터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한 현대소설교육의 모습과 연구 이론을 통한 연구사를 살펴보기로 하겠다.
참고문헌
- 경규진, 「반응중심 문학교육의 방법 연구」, 서울대 박사논문, 1993
- 구인환 외, 『문학교육론(제5판)』, 삼지원, 2007.
- 김근호, 「문학 문화론적 실천으로서 소설교육의 한 방법」, ≪문학교육학≫제24호, 한국문학교육학회, 2007.
- 김근호, 「‘영화 대 영화’ 형(型)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미디어 서사교육적 연구」,
≪문학교육학≫제16호, 한국문학교육학회, 2005.
- 김대행 외, 『문학교육원론』, 서울대출판부, 2000.
- 김동환, 『문학연구와 문학교육』, 한성대출판부, 2004.
- 김동환, 「소설교육에 있어서 언어의 문제」, 서울대 사대논총 44·45호, 1992.
- 김동환, 「소설의 다성성과 소설교육」,『소설교육론』 (우한용 외), 평민사, 1998.
- 김상욱, 『소설교육의 방법 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1999.
- 김상욱, 「현실주의론의 소설교육적 적용 연구」, 서울대 석사논문, 1992.
- 김중신, 「서사텍스트의 심미적 체험의 구조와 유형에 관한 연구」, 서울대 박사논문, 1994.
- 김중신, 『소설감상방법론 연구』, 서울대출판부, 1996.
- 박은화, 「중등학교 현대소설교육의 현황과 지도 방안」, 동국대 석사논문, 2003.
- 우한용, 「리얼리즘 소설의 문학교육적 해석」,『국어국문학』, 114호, 1994.
- 우한용 외, 『창작교육, 어떻게 할 것인가』, 푸른사상, 2001.
- 이향숙, 「소설교육의 방법 연구」, 서울대 석사, 1988.
- 임경순, 「국어교육학과 서사교육론」, 한국문화사, 2004.
- 정재찬, 『문학교육의 현상과 인식』, 역락, 2004.
- 최순열, 「문학교육론 연구」, 동국대 박사논문, 1987.
- 최용석 외, 『소설 쓰기 수업』, 나라말, 2006.
- 최인자, 「작중 인물의 의미화를 통한 소설교육 연구」, 서울대 석사논문, 1993.
- 최현섭, 「소설교육의 사적 고찰」, 성균관대 박사논문, 1988.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