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교육개론] 기독교 교육의 장과 하위영역

 1  [기독교교육개론] 기독교 교육의 장과 하위영역-1
 2  [기독교교육개론] 기독교 교육의 장과 하위영역-2
 3  [기독교교육개론] 기독교 교육의 장과 하위영역-3
 4  [기독교교육개론] 기독교 교육의 장과 하위영역-4
 5  [기독교교육개론] 기독교 교육의 장과 하위영역-5
 6  [기독교교육개론] 기독교 교육의 장과 하위영역-6
 7  [기독교교육개론] 기독교 교육의 장과 하위영역-7
 8  [기독교교육개론] 기독교 교육의 장과 하위영역-8
 9  [기독교교육개론] 기독교 교육의 장과 하위영역-9
 10  [기독교교육개론] 기독교 교육의 장과 하위영역-10
 11  [기독교교육개론] 기독교 교육의 장과 하위영역-11
 12  [기독교교육개론] 기독교 교육의 장과 하위영역-12
 13  [기독교교육개론] 기독교 교육의 장과 하위영역-13
 14  [기독교교육개론] 기독교 교육의 장과 하위영역-14
 15  [기독교교육개론] 기독교 교육의 장과 하위영역-15
 16  [기독교교육개론] 기독교 교육의 장과 하위영역-16
 17  [기독교교육개론] 기독교 교육의 장과 하위영역-17
 18  [기독교교육개론] 기독교 교육의 장과 하위영역-1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기독교교육개론] 기독교 교육의 장과 하위영역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기독교 교육의 장 - 어디에서 교육하는가?

1. 들어가는 말

2. 교회

3. 가정

4. 학교

5. 사회

6. 기독교교육의 장- 미디어(media, 매체)

7. 결언

기독교교육학의 하위 영역

(1) 기독교육학이 교육학의 학문적 성격에 따른 구분

(2) 기독교교육학의 하위영역 분류

결언

본문내용
7장. 기독교 교육의 장 - 어디에서 교육하는가?


1. 들어가는 말

기독교교육의 장이란 기독교육이 이루어지는 현장(context)을 의미하며, 영역(field)을 의미한다. 기독교 교육이 하나님의 은혜로 말미암아 초월적인 변화가 일어나는 것을 포함하지만, 역사적인 현실 속에서 구체적인 인간의 삶이 변화되는 것이기에 시간적인 역사성은 물론이고 물리적 공간 안에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기독교교육이 일어나는 장에 대해 살펴보자.

2. 교회

교회를 기독교교육의 장으로 바라보았을 때 '교회학교'(Sunday School)와 '교육목회'(Educational Ministry) 이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1)교회학교
로버트 레익스(Robert Raikes)가 1780년에 영국 글로체스터에서 시작한 주일학교는 영국은 물론, 미국과 전 세계에 퍼지면서 기독교교육의 확고한 장으로 자리매김 되었다. 처음 시작한 주일학교는 주일 오전 10시에서 12시까지 진행되었고 후에 오후 1시부터 5시까지로 연장되었는데, 교육내용으로는 '읽기' '찬송' '교리교육' '성서연구' '영어공부'등의 사회적 교육적 차원에서의 교육 이었다.
이러한 영국의 주일학교 운동은 미국으로 전파되어 확산되는 1790년에는 미국 필라델피아에서 처음 주일학교협의회가 조직된다. 미국에서의 주일학교운동은 영국에서의 사회교육적 성격과는 달리 '복음전도의 수단'으로서 사용되었다. 1824년에는 미국주일학교연합회가 결성되었고, 1872년에는 만국통일공과를 출판하게 되었고, 1940년대 이후에는 종교교육협의회(Religious Education Association)의 영향으로 주일학교라는 이름 대신에 경험주의적이고 과학적인 입장을 보다 강조하는 교회학교(Church School)라는 이름을 갖게 된다.
한국에서의 주일학교 또는 교회학교의 발전은 이러한 미국의 주일학교 운동이 선교사들을 통해 한국에 전파된 결과이며, 1907년 평양대부흥운동을 통해 전국적으로 확산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물론 한국에서 기독교교육의 시작은 1885년 아펜젤러(H. G. Appenzeller)에 의해 설립된 배재학당이라는 기독교학교로부터이지만, 새문안교회를 비롯한 교회가 세워지면서 활발하게 주일학교가 태동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주일학교 또는 교회학교는 기독교교육의 장으로서 중요한 논쟁을 유발시키게 되는데, 가장 대표적인 것이 주일학교, 또는 교회학교라고 하는 '학교성' 지니는 문제이다. '교회 학교' 또는 '주일학교'라는 명칭을 지니고 있을 뿐만 아니라, 교장, 교사, 분반, 공과, 그리고 교사대학 등 거의 모든 교육활동을 학교교육과 동일시하는 경향이 있다. 웨스트호프는 이러한 점을 비판하고 교육과 학교형 교육을 구별하고 있다. '참 의미에서의 교육은 학교형 교육으로부터 구별되어야 한다....따라서 전인적인 종교교육의 흐름은 가정, 학교, 지역 사회, 종교문학, 교회생활 등 모든 영역과 연관된 것이다.' 웨스트호프는 학교-수업형 패러다임을 대신할 수 있는 대안적 모델로서 '신앙공동체-문화화 패러다임'(a community of faith-enculturation paradigm)을 제시했다. 그는 신앙공동체가 다음의 몇 가지 특성을 지니고 있다고 말한다. 첫째는 공통적인 기억 혹은 전승, 곧 삶에 대한 공통의 이해와 삶의 방식, 그리고 공통의 목적과 의지를 공유하고 있다. 둘째, 신앙공동체는 상호작용을 유지할 수 있는 소규모이어야 한다. 셋째, 신앙공동체는 세 세대(generations)의 사람들이 함께 존재하고 그 사이에서 상호작용이 있어야 한다. 이러한 신앙공동체 안에서 이루어지는 의식(ritual), 경험(experience), 그리고 활동들(activities)을 기독교교육이 이루어지는 중요한 터전으로 보았으며, 이를 통해 신앙이 형성되어 간다고 본 것이다.
중요한 것은 명칭이나 구호가 아니라 내면적으로 학교식 구조의 한계를 극복하고 교사와 학생, 학생 상호간의 만남과 관계가 심화되는 '공동체적 관계'의 회복이 필요한 것이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