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학원론]국가관에 대한 철학적, 정치학적, 역사적 접근 및 국가혁신의 의미 도출

 1  [정책학원론]국가관에 대한 철학적, 정치학적, 역사적 접근 및 국가혁신의 의미 도출-1
 2  [정책학원론]국가관에 대한 철학적, 정치학적, 역사적 접근 및 국가혁신의 의미 도출-2
 3  [정책학원론]국가관에 대한 철학적, 정치학적, 역사적 접근 및 국가혁신의 의미 도출-3
 4  [정책학원론]국가관에 대한 철학적, 정치학적, 역사적 접근 및 국가혁신의 의미 도출-4
 5  [정책학원론]국가관에 대한 철학적, 정치학적, 역사적 접근 및 국가혁신의 의미 도출-5
 6  [정책학원론]국가관에 대한 철학적, 정치학적, 역사적 접근 및 국가혁신의 의미 도출-6
 7  [정책학원론]국가관에 대한 철학적, 정치학적, 역사적 접근 및 국가혁신의 의미 도출-7
 8  [정책학원론]국가관에 대한 철학적, 정치학적, 역사적 접근 및 국가혁신의 의미 도출-8
 9  [정책학원론]국가관에 대한 철학적, 정치학적, 역사적 접근 및 국가혁신의 의미 도출-9
 10  [정책학원론]국가관에 대한 철학적, 정치학적, 역사적 접근 및 국가혁신의 의미 도출-10
 11  [정책학원론]국가관에 대한 철학적, 정치학적, 역사적 접근 및 국가혁신의 의미 도출-11
 12  [정책학원론]국가관에 대한 철학적, 정치학적, 역사적 접근 및 국가혁신의 의미 도출-12
 13  [정책학원론]국가관에 대한 철학적, 정치학적, 역사적 접근 및 국가혁신의 의미 도출-13
 14  [정책학원론]국가관에 대한 철학적, 정치학적, 역사적 접근 및 국가혁신의 의미 도출-14
 15  [정책학원론]국가관에 대한 철학적, 정치학적, 역사적 접근 및 국가혁신의 의미 도출-15
 16  [정책학원론]국가관에 대한 철학적, 정치학적, 역사적 접근 및 국가혁신의 의미 도출-16
 17  [정책학원론]국가관에 대한 철학적, 정치학적, 역사적 접근 및 국가혁신의 의미 도출-17
 18  [정책학원론]국가관에 대한 철학적, 정치학적, 역사적 접근 및 국가혁신의 의미 도출-18
 19  [정책학원론]국가관에 대한 철학적, 정치학적, 역사적 접근 및 국가혁신의 의미 도출-19
 20  [정책학원론]국가관에 대한 철학적, 정치학적, 역사적 접근 및 국가혁신의 의미 도출-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정책학원론]국가관에 대한 철학적, 정치학적, 역사적 접근 및 국가혁신의 의미 도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철학적 접근
Ⅱ. 정치학적 접근
Ⅲ. 역사적 접근
Ⅳ. Lasswell의 민주주의 정책학
Ⅴ. 국가관 및 국가혁신의 연계점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철학적 접근

1) 플라톤
지식의 대상에게 그 진실을 제공해 주고 아는 자에게 아는 힘을 주는 것이 선의 이데아이다.
이것이 바로 지식과 진리의 원인이라고 보아야 한다.


- 국가론
:『국가』 에서 정의로운 도시의 건설은 다음의 세 단계로 이루어진다. (1) 건강한 도시, 즉돼지들의 도시 (2) 정화된 도시, 즉 군대 같은 도시 (3) 아름다운 도시(City of Beauty), 즉 철인에 의해 통치되는 도시가 그것이다. 자연에 뜻에 맞춰 건설된 도시에서 지혜는 통치자들에게 그리고 오직 통치자들에게만 있다. 어느 도시에서나 지혜로운 사람들이란 원래 소수이며, 또한 그 도시의 방향키를 지혜로운 자들만이 갖도록 하지 않는다면 도시에게도 역시 좋은 일이 못된다. 정의로운 도시에서 용기는 전사 계급에 있는데, 왜냐하면 야만적인 용기와 구분되는 정치적 용기는 오직 선천적으로 타고난 사람들에게 교육을 통하여 생기는 것이기 때문이다. 정의로운 사회의 특정적 제도로는 절대적 공유제, 양성평등, 철인의 지배가 존재한다. 정의는 모든 인간들이 관습이 명하는 바와 관계없이 선천적으로 자신에 가장 잘 맞는 (남녀 구분 할 것 없이) 일을 할 것을 요구한다. "국가"의 정의로운 도시에선 혈통이 아닌 천부적인 재능이 그의 계급을 일차적으로 결정한다(스트라우스, 1992)
『국가』에서 제시되고 있는 철인정치론은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구성된다. 인간의 심성은 이성, 기재, 욕구 등, 세 가지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이 세 가지 요소들은 세 가지 덕목과 각각 연결되는데, 이성은 지혜를 추구하는 권능이고 기개는 용기를 가능하게 만드는 권능이며 욕구는 권능이 있기 때문에 그것을 상황과 경우에 맞추어 적절히 조절할 수 있는 절제가 하나의 덕목이 된다. 세 권능 중 어떤 요소가 가장 승한지에 따라 인간은 세 가지 부류로 나누어지며 그 구분을 다시 사회적 분업으로 연결된다. 이성이 가장 승한 부류는 그 무엇보다도 올바른 판단력이 그 특징이므로 전사들의 무력을 바른 방향으로 이끄는 기능 즉 정치가의 역할을 맡는 것이 당연하다고 한다 (장동진, 2004).

참고문헌
『이상 국가론 동양과 서양』(2004), 장동진 외, 연세대 출판부
『서양정치철학사3』(1992), 레오 스트라우스 , 인간사랑,
『서양 정치 철학사1』(2007), 김남국, 레오스트라우스 ,인간사랑
「맹자 왕도사상의 형성과 전개」(2009), 이기호, 한남대 대학원
네이버 백과사전
『정치학』, 아리스토텔레스, 도서출판 숲
『사회계약론』, 장자크 루소, 홍신문화사
『공산단 선언』, 칽 맑스, 이진우 옮김
『한나 아렌트의 정치이론과 정치철학』, Phillip Hansen , 삼우사
『하버마스의 사상 : 주요 주제와 쟁점들』, 김재현 등저, 나남출판
『조선의 마에스트로 대왕세종』(2008), 이수광, 샘터 290-292p, 194p
『세종대왕의 정치철학』(2001), 조남욱, 부산대학교출판부, 161-168p, 174p
『나는 조선이다, 세종』(2007), 이한, 청아출판사, 169p, 184-186p
『한국 사상가 10人, 율곡이이』(2002), 황의동, 예문서원, 135p-137p
「율곡의 10만양병론:군사적 함의와 교훈」, 김강녕, 한국군사학회 군사논단 제61호, 88p, 97p
『어느 서양철학자의 퇴계연구 30년, 퇴계이황』(2001), 신귀현, 예문서원, 150p
『한국 사상가 10人, 퇴계이황』, 윤사순, 예문서원, 212p, 216p
「퇴계의 군주론 연구」, (2003), 전세영, 한국정치학회, 한국정치학회보
『정암조광조의 도학사상』, 이상성, 심산, 149-152p, 170-179p,
『정약용과 실천의 철학』(2001), 장승구, 서광사, 301-306p
『한국철학사상사』(2003), 김문용 외, 예문서원, 313p,
실사구시 부분 http://100.naver.com/100.nhn?docid=102762
여전제 부분 http://blog.daum.net/kehwadidrnlql/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