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발전론] 한국의 신 성장 동력 친환경 산업의 발전방향

 1  [경제발전론] 한국의 신 성장 동력 친환경 산업의 발전방향-1
 2  [경제발전론] 한국의 신 성장 동력 친환경 산업의 발전방향-2
 3  [경제발전론] 한국의 신 성장 동력 친환경 산업의 발전방향-3
 4  [경제발전론] 한국의 신 성장 동력 친환경 산업의 발전방향-4
 5  [경제발전론] 한국의 신 성장 동력 친환경 산업의 발전방향-5
 6  [경제발전론] 한국의 신 성장 동력 친환경 산업의 발전방향-6
 7  [경제발전론] 한국의 신 성장 동력 친환경 산업의 발전방향-7
 8  [경제발전론] 한국의 신 성장 동력 친환경 산업의 발전방향-8
 9  [경제발전론] 한국의 신 성장 동력 친환경 산업의 발전방향-9
 10  [경제발전론] 한국의 신 성장 동력 친환경 산업의 발전방향-10
 11  [경제발전론] 한국의 신 성장 동력 친환경 산업의 발전방향-11
 12  [경제발전론] 한국의 신 성장 동력 친환경 산업의 발전방향-12
 13  [경제발전론] 한국의 신 성장 동력 친환경 산업의 발전방향-13
 14  [경제발전론] 한국의 신 성장 동력 친환경 산업의 발전방향-14
 15  [경제발전론] 한국의 신 성장 동력 친환경 산업의 발전방향-15
 16  [경제발전론] 한국의 신 성장 동력 친환경 산업의 발전방향-16
 17  [경제발전론] 한국의 신 성장 동력 친환경 산업의 발전방향-17
 18  [경제발전론] 한국의 신 성장 동력 친환경 산업의 발전방향-18
 19  [경제발전론] 한국의 신 성장 동력 친환경 산업의 발전방향-19
 20  [경제발전론] 한국의 신 성장 동력 친환경 산업의 발전방향-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경제발전론] 한국의 신 성장 동력 친환경 산업의 발전방향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연구배경 및 초점

2. 친환경 산업의 정의

3. 친환경 산업의 선진국 사례

4. 친환경 산업의 우리나라 실정

5. 현 정부의 녹색성장정책의 문제점 및 대안

6. 결론

7. 요약
본문내용
1. 연구배경 및 초점
(1) 연구 배경 : “지구온난화를 막기 위해 각국이 당장 매년 국내총생산(GDP)의 1%를 쓰지 않으면, 앞으로 GDP의 20%에 해당하는 경제적 손실을 각오해야 한다.”는 영국 경제학자 니컬러스 스턴 경의 지구온난화 보고서가 나온 후 이에 대응하기 위해 각국은 친환경 정책을 의미하는 ‘그린(Green)’을 화두로 삼고 앞 다투어 새로운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국제사회의 움직임에 따라 각국의 기업들도 앞으로 생존을 위해 친환경 경영 전략을 채택하고 있다. 글로벌 기업들은 이미 그린 비즈니스를 새로운 성장 동력 전략으로 채택, 가장 대표적인 기업이 미국의 GE그룹이다. GE는 가전업종을 매각하고 대신 친환경·에너지 분야 진출을 통해 도약의 발판을 마련한다는 ‘에코메지네이션 (Ecomagination: 환경+상상력)’ 전략을 추진해왔다. 일본의 마쓰시타 그룹도 전 제품의 ‘그린 상품화’를 추진하고 있다. 미국의 IBM도 그린 이노베이션을 통한 환경문제 해결을 슬로건으로 내걸었고, 독일의 지멘스는 요즘 풍력 발전에 대대적인 투자를 하고 있다.
친환경 산업의 활성화로 ‘그린칼라’가 새로운 유망 직종으로 뜨고 있다. 그린칼라는 에너지 절약 전문가나 대체 에너지 전문가, 환경 컨설턴트, 친환경 건축 설계사, 환경전문 변호사, 연료절약형 자동차 제조업 종사자, 유기농 제품 생산업자, 생태학 교육자 등을 말한다. 친환경 산업이 급부상 하면서 그만큼 그린칼라에 대한 수요가 늘고 있고 이들의 연봉 또한 계속 늘고 있는 추세이다. 이렇게 그린칼라에서 고수익 일자리가 창출되면서 자연스레 청년실업도 개선될 전망이다.

(2) 연구초점 : 친환경산업의 일맥으로 우리나라도 그와 관련한 녹색성장정책을 펴고 있다. 하지만 정책을 수립하고 시행한 지 1년밖에 지나지 않아 아직 보완해야 할 점이 많다. 따라서 현재 시행 중에 있는 친환경 산업의 실태를 파악한다. 또한 외국 사례와의 비교를 통해 우리나라의 정책 개선방안의 제안을 연구초점으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