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변화] 주체사상의 한계와 선군정치

 1  [북한변화] 주체사상의 한계와 선군정치-1
 2  [북한변화] 주체사상의 한계와 선군정치-2
 3  [북한변화] 주체사상의 한계와 선군정치-3
 4  [북한변화] 주체사상의 한계와 선군정치-4
 5  [북한변화] 주체사상의 한계와 선군정치-5
 6  [북한변화] 주체사상의 한계와 선군정치-6
 7  [북한변화] 주체사상의 한계와 선군정치-7
 8  [북한변화] 주체사상의 한계와 선군정치-8
 9  [북한변화] 주체사상의 한계와 선군정치-9
 10  [북한변화] 주체사상의 한계와 선군정치-10
 11  [북한변화] 주체사상의 한계와 선군정치-11
 12  [북한변화] 주체사상의 한계와 선군정치-12
 13  [북한변화] 주체사상의 한계와 선군정치-13
 14  [북한변화] 주체사상의 한계와 선군정치-14
 15  [북한변화] 주체사상의 한계와 선군정치-1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북한변화] 주체사상의 한계와 선군정치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주체사상의 성립과 변화
2. 주체사상의 한계와 위기에서의 변화
3. 선군사상의 등장 및 김정은 후계체제

Ⅲ. 결 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 론

"北, 김정은 초상화 배포 준비" 얼마 전 미디어를 통해 전달 된 이 소식은, 북한 내 부에서 김정은을 후계자로서 우상화 하는 작업에 돌입했다는 의미를 우리에게 전했다. 우리는 그 소식의 진위여부를 정확히 판가름 할 수는 없다. 하지만 적어도 북한 내부에 변화의 조짐이 있다는 것은 사실이라고 간주할 수 있다. 또한 그것이 남한에게도 일부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것에 누구라도 동조할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소식에도 불구하 고, 여전히 우리에게 북한은 잘 알려지지 않은 미지의 섬나라 같은 존재라는 것 역시 부인 할 수 없다.
김정일의 건강이 위태롭다고 알려진 현재부터 앞으로 몇 년, 남․북한 사이에 일어날 수 있는 일들은 우리의 상상을 초월할 수도 있다. 그 변화에 대한 충격을 최소화 하려면 우리는 그에 대하여 만반의 준비를 갖춰야만 한다. 우리가 한반도의 미래에 대하여 주 체적인 결정권을 갖기 위해서는, 수많은 이유와 의문들을 차치하고, 북한에 대한 전반 적인 정보의 수준과 이해를 높이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우리는 이 연구를 통해 북한에 대한 전반적 이해 도모를 달성코자 북한의 정치적, 사상 적, 체제적 근간인 주체사상과 선군정치(사상)의 각각의 변화 과정을 분석하는 것을 통 해 북한체제의 기본적 구조를 이해하는 것에 도움을 얻고자 한다. 구체적으로는 첫째, 주체사상의 등장 배경 및 변화 과정을 살펴보면서 그 과정 속에서 김일성에서 김정일로 이어지는 후계체제의 성립 과정을 함께 살펴 볼 것 이다. 둘째, 북한체제 속에서의 주 체사상이 극복할 수 없었던 한계성에 주목하는 것으로 북한의 기본 이념이 선군정치(사 상)로 변화하는 그 필연성을 이야기 하고 또한 위기 속에서 새롭게 제시된 사상들을 살 펴보는 것으로써 당시 북한 내 상황을 알아볼 것 이다. 마지막으로 새로이 등장한 선군 정치에 대해서 주체사상과 같이 북한의 근간이 되어 체제의 기본이념으로서 인정받아 김정은 후계체제의 통치이념이 될 수 있을 것인가에 관한 조심스러운 예측을 더해보려 한다.

Ⅱ. 본 론

1. 주체사상의 성립과 변화

주체사상은 북한체제를 정당화시키고 합리화시키는 통치 이데올로기이다. 또한 북한 주민의 생활과 사고방식까지 규정하는 생활규범으로 전 국가적 영역에서 영향력을 파 급시킨다. 북한에서 주체성에 대한 논의가 활발해지기 시작한 것은 1950년대 중반이 라고 할 수 있다. 1955년 '사상에서의 주체'를 시작으로, 1956년 '경제에서의 자립', 1957년 정치(내정)에서의 자주'. 1962년 '국방에서의 자위', 그리고 1966년 '정치(외 교)에서의 자주'를 표명하면서 주체사상은 그 이론적 체계화를 시도하였다. 통일부 통일교육원, 북한이해 2009, p.23~54.(서울, 통일부 통일교육원)
그렇다면 왜 김일성은 주체의 필요성을 느낀 것 일까?
참고문헌


이승열, 김정일의 선택, 2009, 서울, 도서출판 시대정신
정창현, CEO of DPRK 김정일 , 2007, 서울, 중앙북스(주)
윤대규(엮), 북한체제전화의 전개과정과 발전조건, 2008, 서울, 도서출판 한울
김경호, 북한의 이해, 2006, 부산, 동아대학교 출판부
통일부 통일교육원, 북한 이해, 2009, 서울, 통일부 통일교육원



시사저널



김근식, 김정일 시대 북한의 당 ․ 정 ․ 군 관계변화
오경섭, 북한 권력승계의 특징과 3대세습체제의 지속가능성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