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케이션 조사] 여성들이 `TV에서 재현되는 여성의 몸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1  [커뮤니케이션 조사] 여성들이 `TV에서 재현되는 여성의 몸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1
 2  [커뮤니케이션 조사] 여성들이 `TV에서 재현되는 여성의 몸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2
 3  [커뮤니케이션 조사] 여성들이 `TV에서 재현되는 여성의 몸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3
 4  [커뮤니케이션 조사] 여성들이 `TV에서 재현되는 여성의 몸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4
 5  [커뮤니케이션 조사] 여성들이 `TV에서 재현되는 여성의 몸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5
 6  [커뮤니케이션 조사] 여성들이 `TV에서 재현되는 여성의 몸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6
 7  [커뮤니케이션 조사] 여성들이 `TV에서 재현되는 여성의 몸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7
 8  [커뮤니케이션 조사] 여성들이 `TV에서 재현되는 여성의 몸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8
 9  [커뮤니케이션 조사] 여성들이 `TV에서 재현되는 여성의 몸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9
 10  [커뮤니케이션 조사] 여성들이 `TV에서 재현되는 여성의 몸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10
 11  [커뮤니케이션 조사] 여성들이 `TV에서 재현되는 여성의 몸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11
 12  [커뮤니케이션 조사] 여성들이 `TV에서 재현되는 여성의 몸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12
 13  [커뮤니케이션 조사] 여성들이 `TV에서 재현되는 여성의 몸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13
 14  [커뮤니케이션 조사] 여성들이 `TV에서 재현되는 여성의 몸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14
 15  [커뮤니케이션 조사] 여성들이 `TV에서 재현되는 여성의 몸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15
 16  [커뮤니케이션 조사] 여성들이 `TV에서 재현되는 여성의 몸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16
 17  [커뮤니케이션 조사] 여성들이 `TV에서 재현되는 여성의 몸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17
 18  [커뮤니케이션 조사] 여성들이 `TV에서 재현되는 여성의 몸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18
 19  [커뮤니케이션 조사] 여성들이 `TV에서 재현되는 여성의 몸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19
 20  [커뮤니케이션 조사] 여성들이 `TV에서 재현되는 여성의 몸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커뮤니케이션 조사] 여성들이 `TV에서 재현되는 여성의 몸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Ⅰ. 서 론

Ⅱ. 본 론

Ⅱ-1. 포커스 그룹 면접

Ⅱ-2. 컨텐츠 분석

< 컨텐츠 분석 총평 >

Ⅱ-3. Intensive Interview

1) 스스로의 체형에 대한 생각

① 여성에게 적당한 체형이란 뭐라고 생각하시나요?

② 자신의 체형에 대해 어떻게 생각 하시나요?

2) ‘다이어트가 필요하다’고 느끼는 인식의 정도

① 본인에게 다이어트가 필요하다고 생각하시나요? 왜 필요하다고 생각하시나요?

② 언제 다이어트의 필요성을 강하게 느끼시나요?

③ 평소 TV를 얼마나, 언제부터 보았나요?

④ 왜 스스로의 몸을 인식할 때 TV 매체에 영향을 많이 받나요?

3) 다이어트를 실천으로 옮기는 행위

① 다이어트를 시행 해본 적이 있나요? 왜 다이어트를 하게 되었나요?

② 다이어트를 해보았다면 어떻게 했었나요?

③ 다이어트를 해서 얻게 된 좋은 점은?

< Intensive Interview 조사 총평 >

Ⅱ-4. 설문내용 분석 ( Survey / SPSS )

1) Survey 결과 분석

① TV가 얼마나 여성의 몸에 대해 많이 다루는지에 대한 질문


② TV 속 (대우받고/ 칭찬받는) 날씬한 여성에 대한 이미지를 보면서 여성 시청자에게 촉발하는 감정과 생각은 어떠한지에 대한 질문

③ 요즘, 20代 여성들의 ‘보통’ 체형에 대한 기준은 어떠한지에 대한 질문(엄격성 여부)

④ ‘나’의 몸매에 대한 인식과 다이어트에 대한 생각에 대한 질문 (응답자 전원 여성)

⑤ 연구문제 분석을 위한 설문지 내 질문들의 흐름

2) SPSS 분석 결과

Ⅱ-5. Intensive Interview, Contents Analysis, Survey Results 상관관계 분석

Ⅲ. 결 론
Ⅳ. 참 고 문 헌
설문지

본문내용
Ⅰ. 서 론



2006년 영국의 런던 대학의 조사 결과, 비만도로 볼 때 세계 최저 수준인 한국 여대생의 살빼기 노력은 세계 최고 수준임이 밝혀졌다. 굳이 조사 결과를 언급하지 않아도, 주위를 둘러보면 ‘다이어트 중’인 여성들을 찾는 건 어려운 일이 아니다. 여성들이 주로 회원으로 가입되어 있는 인터넷 커뮤니티 등에는 자신의 키와 몸무게 등의 ‘스펙’을 올려놓고 ‘몇 kg까지 감량해야 예뻐 보일 수 있는지’를 묻는 글도 심심치 않게 보인다. 이렇게 한국 여성들이 너나없이 다이어트를 시도하고 있다는 것은, 그만큼 여성들이 자신의 몸에 만족스럽지 못한 부분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할 것이다. 그렇다면 왜 여성들이 이와 같은 생각을 가지게 되는 것인가? 여성들의 자신의 몸에 대한 특정한 인식 뒤에는 어떤 것들이 영향을 끼치고 있는가?

우리는 TV에서 재현되는 여성의 이미지에 주목해 보았다. TV에서 재현되는 여성의 몸은 날씬한 것이 대부분이다. 일부 그렇지 않은 여성의 몸은 희화화되거나, 무성적인 것으로 치부된다. 이러한 이미지의 재현은 지속적으로 반복되어 나타난다. 여기에서 우리는 “이렇게 반복적으로 노출되는 TV에서의 여성 재현 양상이 실제 여성의 삶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까?”라는 문제의식을 갖게 되었다.

이번 연구에 사용될 이론적 배경으로서, 매스 미디어가 인간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이론인 “문화계발효과이론(the Cultivation theory)”가 있다. 이는 간단히 말해서 “매스미디어는 현실세계에 대한 인간들의 상(象) 내지 관념을 구성해 주는 중대한 효과를 갖고 있다”는 요지의 이론이다. George Gerbner 등에 의해 제창된 이 이론은 ‘침묵의 와선이론’등의 이른바 매스미디어의 ‘강효과이론’들과 함께 1970년대에 대두되어 각광을 받았다. 차배근, 『매스 커뮤니케이션 효과 이론』 제 2판, 나남출판, 2004, p.415


Gerbner와 Gross는 1976년에 발표한 그들의 논문 George Gerbner and Larry Gross, TV Violence Profire 8 : Trends in Network Television Drama and Viewer Concptions of Social Reality (Philadelphia : Annenberg School of Communication, University of Philadelphia, 1976).
에서 “텔레비전에의 주된 기능은 사회적 양식을 전파하고 안정시키며, 변화가 아니라 그 변화에 대한 저항성을 계발하는 것이다. 텔레비전은 대부분의 인간들로 하여금 표준화된 역할과 행동을 하도록 사회화(社會化)하는 미디엄이다. 한 마디로 말해서 텔레비전의 기능은 문화계발(Cultivation)이다” Ibid., p.175
라고 말하며, 기존에 이루어졌던 효과 연구들이 일회성의 효과나 행동 변화 등에만 주목했던 것을 전면적으로 비판했다. 다시 말해 텔레비전이 수용자들에게 지엽적인 행동의 변화만을 촉발시키는 것이 아니라 장기적으로 영향을 형성한다는 것을 주장한 것이다. 그들은 텔레비전이 대중에게 가장 효과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매체며, 사회화의 도구라는 것에 주목했다. 즉, 결론적으로 텔레비전이 “현대사회에서 가장 강력한 문화적 무기로서 문화를 계발시켜 주고 있다는 것이 문화계발이론의 핵심적 가정이다.”
참고문헌

차배근. 『매스 커뮤니케이션 효과 이론』 제 2판, 나남출판, 2004, p.415
George Gerbner and Larry Gross. TV Violence Profire 8 : Trends in Network Television Drama and Viewer Concptions of Social Reality (Philadelphia : Annenberg School of Communication, University of Philadelphia, 1976).
Ibid. p.175
차배근. op. cit. p.427
Laura Mulvey. Visual Pleasure and Narrative Cinema, Screen 16(3): 6–18, 1975
연희원. 「영화장치와 시선의 조직화 - 로라 멀비」, 『한국여성철학』 제 4권, 2004, p.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