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의학] 內側延髓梗塞이 발생한 환자 사례

 1  [한의학] 內側延髓梗塞이 발생한 환자 사례-1
 2  [한의학] 內側延髓梗塞이 발생한 환자 사례-2
 3  [한의학] 內側延髓梗塞이 발생한 환자 사례-3
 4  [한의학] 內側延髓梗塞이 발생한 환자 사례-4
 5  [한의학] 內側延髓梗塞이 발생한 환자 사례-5
 6  [한의학] 內側延髓梗塞이 발생한 환자 사례-6
 7  [한의학] 內側延髓梗塞이 발생한 환자 사례-7
 8  [한의학] 內側延髓梗塞이 발생한 환자 사례-8
 9  [한의학] 內側延髓梗塞이 발생한 환자 사례-9
 10  [한의학] 內側延髓梗塞이 발생한 환자 사례-1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의학] 內側延髓梗塞이 발생한 환자 사례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緖 論

Ⅱ. 證 例

Ⅲ. 考 察

Ⅳ. 結 論

Ⅴ. 參考文獻

본문내용
▶ 金水六君煎은 肺와 腎이 虛寒하고 水泛한 때문에 痰盛 咳嗽 喘息하는 者를 治한다. 熟地黃, 當歸, 半夏, 白茯苓, 陳皮, 甘草, 白芥子, 生薑로 구성된 처방으로 가래를 염두에 두고 쓴 처방으로 보인다. 전체적으로 陰虛, 氣虛한 상태에서 계속해서 기침을 하며 痰이 있으므로 보기약과 거담제가 함께 들어가 있는 육군자 계열이 적절한 선택으로 보인다. 육군자탕은 脾胃氣虛證(面色萎白, 四肢無力, 言語低微, 不思飮食, 腸鳴泄瀉, 或 大便溏軟)에 겸하여 痰濕停滯 嘔吐痰涎이 있을 때 사용하는 처방으로 사군자탕에 半夏 陳皮를 더해 理氣化痰, 降逆止嘔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 淸血丹의 구성은 黃芩, 黃連, 黃柏, 梔子, 大黃으로, 이러한 약제들의 조합은 항감염, 항염증 효과, 항암효과, 혈압강하효과, 혈청지질 강하효과를 가짐이 보고되었고, 청혈단 처방 자체도 이미 Pancreatic lipase 및 HMG-CoA reductase를 저해하여 우수한 혈청지질 강하효과가 있음이 실험과 임상에서 이미 밝혀졌다. 또한 청혈단은 DPPH(1,1-diphenyl-2-picrylhyrazyl), Superoxide anion 및 Xanthin oxide 등 free radical 소거능이 우수하여 세포의 산화적 손상을 방지함은 물론 iNOS enzyme 및 NF-κB를 억제하여 NO생성을 저해하는 등 항산화 효과가 우수함이 확인되었으며, 혈관내피세포에 작용하여 anti-apoptosis, cell migration 및 proliferation을 촉진함으로써 손상된 혈관의 재생 및 치유회복에 도움을 줌으로써 동맥경화의 진행을 억제하여 뇌졸중 예방의 효과가 있을 것이라는 가능성이 제시되었고, 조 등이 무증후성 뇌경색 환자 21례에 1년 이상 투여한 결과 뇌졸중 관련 증후 또는 부작용이 관찰되지 않았으며 이들을 대상으로 f/u MRI를 촬영한 결과 새로운 병소가 출현하지 않음을 확인하여 청혈단의 중풍예방효과를 증명한 바 있다.3)
▶ 不眠을 치료하기 위해 加味溫膽湯에 歸脾湯材를 合方한 仁熟補心湯(酸棗仁, 香附子, 陳皮, 熟地黃, 當歸身, 龍眼肉, 半夏, 枳實, 竹茹, 山藥, 白茯神, 遠志, 麥門冬, 甘草, 生薑)을 처방했지만 첫날에 효과를 보였으나 그 이후로는 불면 증세가 지속되고 있다고 한다. 이로 미루어보아 仁熟補心湯은 心膽血虛로 인한 不眠을 치료하는 처방이므로 상기 환자의 증상과 조금 차이가 있었던 게 아닐까 생각된다. 安心散은 酸棗仁을 炒하여 散劑의 형태로 만든 약인데 補心 鎭神之劑 不眠症 虛頭에 사용한다.
▶ 荊防導赤散에 茯笭과 澤潟를 가미한 처방인 導赤降氣湯은 에 근거한 처방이다. 少陽人 脾受寒表寒病論의 結胸證 條文에 荊防導赤散에 茯笭과 澤潟를 1錢씩 加味한 例가 나오며, 에 이 加味方이 導赤降氣湯이라는 이름으로 기재되어 있다.
참고문헌
1. 김현각·김종성, Medial Medullary Syndrome 9례의 임상적 고찰, 大韓神經科學會誌, 1995; 13(3): 504-509
2. W. Kameda, MD; T. Kawanami, MD; K. Kurita, MD; M. Daimon, MD; T. Kayama, MD; T. Hosoya, MD T. Kato, MD for the Study Group of the Association of Cerebrovascular Disease in Tohoku, Lateral and Medullary Infarction: A Comparative Analysis of 214 Patients, Stroke, 2004; 35: 694-699
3. 조기호·지남규·정우상·박성욱·문상관·고창남·김영석·배형섭, 무증후성 뇌경색 환자에 대한 청혈단(淸血丹)의 중풍예방효과, 대한한의학회지, 2005; 26(2): 77-84
4. 홍세영·임은철, 少陽人 結胸證에 導赤降氣湯을 投與한 證例報告, 사상체질의학회지, 2001; 13(3): 118-120
5. Jong Sung Kim, MD; Hyeon Gak Kim, MD Chin Sang Chung, MD, Medial Medullary Syndrome: Report of 18 New Patients and a Review of the Literature, Stroke, 1995; 26: 1548-1552
6. 신동윤․김석우․송정모, 심방세동(Atrial Fibrillation)을 동반한 少陰人 陰盛隔陽證 환자 1례에 대한 증례보고, 사상체질의학회지, 2004; 16(3): 114-117
7. 조권일․한명아․이지연․최진영․김동웅․정대영․김관식, 뇌간 경색에 대한 고찰 - Dejerine's syndrome 1례 및 Wallenburg's syndrome 1례,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2; 16(6): 1291-1296
8. 全國韓醫科大學 心係內科學敎室 編, 心係內科學, 서울, 書苑堂, 1999, p 427
9. 윤상필·최요섭·한진안·이경섭, 내측연수경색 환자의 正傳加味二陳湯 投與 1例,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2; 23(2): 253-259
10. 김영석·문상관·박성욱·한창호, 임상중풍학, 서울, 도서출판 정담, 2007, pp 294-295, 307, 336, 377
11. 김정철․오성원․송창훈․이슬희․정종진․김종윤․선승호, 청심연자탕으로 호전된 뇌경색을 동반한 심방세동 환자 치험 3례,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6; 27(3): 751-761
12. 全國韓醫科大學 心係內科學敎室 編, 東醫心係內科學 下, 서울, 書苑堂, 1995, pp 101-102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