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양동마을

 1  경주 -양동마을-1
 2  경주 -양동마을-2
 3  경주 -양동마을-3
 4  경주 -양동마을-4
 5  경주 -양동마을-5
 6  경주 -양동마을-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경주 -양동마을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양동마을소개

반촌으로서의 역사

반촌의 뜻과 성립배경

일제시대부터 시작된 지역구조 변화

개발노력과 방향

지역적 특징

양동마을의 풍수지리

자연조건과 양반가옥의 위치

주요 건축물 소개

개관

주거지 분리

가옥의 특징과 위치

관가정-보물 제 422호

향단-보물 제 412호

서백당(書百堂) - 월성 손 씨

무첨당(無忝堂) - 여강 이 씨 종택

참고문헌



본문내용
양동마을소개

양동마을은 경상북도 경주시 강동면 양동리에 위치하고 있고, 안동의 하회마을과 함께 조선시대의 마을 형태를 잘 보존하고 있는 전형적인 양반마을로 알려져 있다. 전통 민속마을 중 가장 큰 규모와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반촌으로 특이하게 손(孫), 이(李) 양성이 서로 협조하며 500여년의 역사를 이어온 전통문화 보존 및 볼거리, 역사적인 내용 등에서 가장 가치가 있는 마을이다. 한국 최대 규모의 대표적 조선시대 동성취락으로 수많은 조선시대의 상류주택을 포함하여 500년이 넘는 고색창연한 54호의 고와가(古瓦家)와 이를 에워싸고 있는 고즈넉한 110여 호의 초가로 이루어져 있다. 이곳에서 우재 손중돈선생, 회재 이언적선생을 비롯하여 명공(名公)과 석학이 많이 배출되었다. (경주양동마을 홈페이지)

반촌으로서의 역사

반촌의 뜻과 성립배경

‘전통마을’은 예로부터 이어져 내려오는 마을로써 혈연중심마을(씨족마을형)과 자연중심마을(각성마을형)로 나눌 수 있다. 혈연중심마을에 대비되는 개념인 자연중심마을은 지연(地緣)을 토대로 형성된 마을이며, 혈연중심마을이 대체로 반촌(班村)이라고 한다면 자연중심마을은 대체로 민촌(民村)에 해당된다고 말 할 수 있을 것이다.

양동마을의 성립에 정치적·사회적, 문화 사상적 배경을 찾아볼 수 있다. 토지의 경우 과전법(직전법)의 시행으로 농장제가 붕괴되기 시작하면서 중소지주의 기반이 강화되어 조선초기의 마을사회는 새롭게 성장하는 중소지주를 중심으로 새로운 질서가 형성되었다. 이렇게 새로운 집단이 형성되었는데 그 집단은 토지사유에 기초하여 지역적으로 재조직된 씨족집단이며, 대부분의 씨족마을은 이들에 의해 형성되었다. 양동마을의 부계혈통적인 기반은 초기 마을형성의 기반이 되었고, 17세기부터 예학이 정책적 수단으로 확대되면서 장자의 재산 상속분이 증가하고 제사가 장남에게 부여되었으며 양자(養子)제가 성행했다. 양동마을은 두 씨족집단으로 형성되어 마을을 넘어 지방 정치의 차원에서 타 씨족과의 교류, 같은 당파끼리의 통혼을 통해 세력권을 형성하였다. 또한 유교문화의 성립으로 인해 문중이 발달할 수 있었고 그것은 개인의 정체성을 조상에서 구하고 씨족집단의 번영을 개인의 영속으로 생각하는 친족이념에 있었다고 볼 수 있다. 부계중심화는 씨족집단의 결합을 가져오고 마을형성의 주 근거가 되었다. 양동마을의 성립에서 농경문화를 빼놓을 수 없는데 그것은 지리상으로 우수한 입지조건 때문이다. 조선시대에는 농사와 관련된 여러 가지 일은 정부와 백성들의 중요한 관심사였다. 그리하여 농지를 확보하고 농사를 짓는 하인들을 많이 거느릴 수 있는 양동마을과 같은 양반주택이 성립될 수 있었다.(김희정,2008)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