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사적해제]동사강목 속에 나타난 일본

 1  [한국 사적해제]동사강목 속에 나타난 일본-1
 2  [한국 사적해제]동사강목 속에 나타난 일본-2
 3  [한국 사적해제]동사강목 속에 나타난 일본-3
 4  [한국 사적해제]동사강목 속에 나타난 일본-4
 5  [한국 사적해제]동사강목 속에 나타난 일본-5
 6  [한국 사적해제]동사강목 속에 나타난 일본-6
 7  [한국 사적해제]동사강목 속에 나타난 일본-7
 8  [한국 사적해제]동사강목 속에 나타난 일본-8
 9  [한국 사적해제]동사강목 속에 나타난 일본-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 사적해제]동사강목 속에 나타난 일본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동사강목의 저자, 안정복
(1) 동사강목의 저자 '순암 안정복'
(2) 안정복의 역사 인식
(3) 안정복의 일본 인식

2. 동사강목 속에서의 일본
(1) 동사강목 속 일본의 모습
(2) 국방(國防), 해방(海防)으로 보는 일본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2) 안정복의 역사인식

조선 후기에 들어서면 주자학을 신봉하던 유가 계에 새로운 변화와 반성이 일어나가 시작했다. 이것은 조선후기 국내외의 여러 사정, 즉 임진왜란으로 인한 국가재정의 파탄과 국민생활의 피폐, 그리고 이러한 상황에 대처하는 관리들의 고식적인 대응책에 대한 반발로 현실에 입각한 정치와 학문을 요구하게 되었으며 또한 학계의 새로운 조류인 중국의 양명학과 고증학의 학풍과 서양문물이 유입되어 조선후기 학자들, 특히 지배층에서 이탈된 재야의 학자들 사이에 유행되어 주자학만을 신봉하던 그들의 학문태도에 대한 반성의 계기가 된 것이다. 이러한 새로운 학풍은 이익에 의해 계승되어 학파를 형성하게 되었고, 안정복은 이런 이익과의 교류를 통해 어느 정도 이익의 학문적 영향을 받았다고 할 수 있다.
안정복은 역사의 의의가 과거의 인물 혹은 사건을 통해 현세와 후세의 교훈을 얻는 것이라 하여, 역사를 서술 할 때에는 역사가가 과거의 역사적 사실을 역사가 자신이 살고 있는 시대의 도덕과 윤리를 통해 인식할 것을 요구하였다. 또한 역사서술의 의의에 있어서 역사의 계통을 밝히고, 과거의 역사적 인물의 절의를 칭찬하여 후인들의 모범이 되게 하며, 역사적 인물의 언행이 저자자신의 시대의 도덕과 윤리에 어긋날 경우 그 잘못을 밝혀 후인들에게 교훈이 되게 해야 하며, 역대의 사실을 상세하게 기록하여 후세 고열의 자료가 되게 해야 한다고 여겼다. 이러한 그의 역사서술에 있어서의 의의는 동사강목 서문에서 밝히고 있다.
안정복이 생각하는 역사서술의 대상은 정치, 경제, 사회, 문화의 모든 면이라 할 수 있다. 물론 이와 같은 항목들은 동양역사서가 일반적으로 다루어온 대상이지만 안정복이 정치에 관한 것 이외의 항목들의 중요성을 특히 강조하였던 것은 종래의 역사서가 왕실사 혹은 정치사에 비중이 너무 치우쳐졌던 것에 대한 반성이라 할 수 있다.
안정복은 역사서술방법에 있어서, 사료수집의 철저성과 고증의 중요성을 강조하였고, 역사서술의 공정성을 주장하며 서술에 있어서의 윤색의 부당성을 논하였다. 따라서 역사서술에 있어서 저자는 객관성을 유지해야 한다고 논했다. 또한 역사서에는 합리적이 아닌 신이한 설화, 전설, 미신에 관한 것은 기재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삼았고, 불교 역시 미신의 일부라 여겨 배척하였다.
역사 인식에 있어서 그는 한국사를 주체적으로 인식하려 하였으며, 왕조를 정통과 비정통으로 구분하였다.
먼저 주체적 한국사 인식에 경우, 대외 관계에 대해 우선 중국에 대한 사대사상에 도전하였으며 그러한 자신의 사상을 기본자세로 외교문제를 논하려 하였다. 또한 그는 중국에 왕
참고문헌
『안정복의 사상과 《동사강목》』한영우
『순암 안정복의 일본인식』하우봉
『안정복의 역사인식』변원림
『안정복의 국방론 -《동사강목》의 사론을 중심으로-』강세구
『순암 안정복의 《동사강목》〈지리고〉에 관한 일고찰』강세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