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용미학과 독자반응비평

 1  수용미학과 독자반응비평-1
 2  수용미학과 독자반응비평-2
 3  수용미학과 독자반응비평-3
 4  수용미학과 독자반응비평-4
 5  수용미학과 독자반응비평-5
 6  수용미학과 독자반응비평-6
 7  수용미학과 독자반응비평-7
 8  수용미학과 독자반응비평-8
 9  수용미학과 독자반응비평-9
 10  수용미학과 독자반응비평-1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수용미학과 독자반응비평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수용미학과 독자반응비평의 명칭과 차이점

Ⅱ. 개관 및 특성

Ⅲ.독자중심 비평의 전개

(1) 수용미학의 대두

(2) 형식주의와의 관계

(3) 현상학과의 관계

(4) 구조주의와의 관계

Ⅳ. 참여자 및 방법론

1) 잉가르덴의 층이론
2) 피쉬의 정통독자

3) 리파테르의 초독자

4) 야우스의 수용미학과 기대지평

5) 볼프강 이저의 수용미학과 독서이론

Ⅴ. 문제점 및 한계

Ⅵ. 독자중심비평의 실제

1. 이광수의 에 대한 다양한 독자 반응

2. 김수영의 풀

(1) 빈자리의 의미

(2) 「풀」의 빈자리 채우기

§. 참고문헌


본문내용
5) 볼프강 이저의 수용미학과 독서이론
야우스의 수용이론을 주도적으로 발전시킨 사람은 독일의 볼프강 이저이다. 이저는 수용자의 작품 체험의 현장을 독자의 독서 과정으로 보고, 작품은 독자의 독서 행위를 통해서 완성된다고 했다. 그래서 작품이란 텍스트가 독자의 의식 속에서 재정비되어 구성된 것이라 정의하고, 문학 텍스트가 역사 속에서 변하는 것이라면, 시대와 상황에 따라 텍스트가 수용자에게 무엇을 해주느냐 하는 새로운 인식에서 출발한다.

① 문학 텍스트와 작품
가. 문학 텍스트란, 작가가 창작해 놓은 지시적 제시물인 창작품을 말한다.
나. 문학 작품이란, 그 텍스트를 읽고 이해하고 결국 새로운 경험을 만들어낸 것이다.
다. 문학 텍스트는 여러 독자들과 독자의 상황에 의해 상이한 문학 작품이 된다.
라. 문학 텍스트의 구체화가 이루어지는 현장을 독서과정이라고 본다.
마. 텍스트의 의미는 독자구조와 텍스트 구조간의 의식 상호 관계에 의해 구체화된다.
② 내포독자와 빈자리 메우기
가. 문학 텍스트의 독서과정은 인간의 경험구조를 지니고 있다.
나. 하나의 텍스트를 구체화하는 것은 독자의 상상력을 필요로 하며, 독자는 텍스트에 기록되지 않는 부분인 빈자리와 미결정성의 영역을 자기 자신의 방법으로 채우게 된다. 잉가르덴의 층이론에 제기된 빈틈을 저 심화시킨 것이다.

다. 내포 독자란, 텍스트의 구조에 얽혀 짜여 생겨나게 될 연루된 독자이다.
라. 내포독자는 사실 실제독자와 암시된 내포독자와의 알력을 거쳐 자신의 위치를 구체적으로 결정 짓게 된다.
마. 내포된 독자는 텍스트의 수용자에게 주어진 가장 적극적이며 능동적인 구성행위를 할 수 있다.
③ 텍스트의 영향과 수용
가. 텍스트 구조는 독자의 반응을 유발시키고 진전시켜 주는 잠재력과 관련 있다.
나. 독자의 수용적 요소는 텍스트의 이러한 잠재력을 활성화시키는 선택력과 관계가 있다.
다. 텍스트의 의미를 구하기보다, 텍스트를 통해 나에게 무슨 일이 일어나는가를 살피기
라. 수용과 영향의 과정이며, 작가-텍스트-독자-작품간의 소통과정이다.

Ⅴ. 문제점 및 한계

이상과 같이 수용미학과 독자반응비평은 형식주의나 마르크스주의 비평에 반발해 생긴 문학연구 방법론이다. 작가의 영향이나 표현미학 중심이던 종래의 비평태도에 대해 독자의 수용미학적인 독자 중심주의의 새로운 비평 방법인 것이다. 기존 연구 방법에서는 작가와 작품을 중요시하거나. 언어 기호의 의미에 초점을 두어 독자를 제외시키고 독자의 중요성을 인정하지 않았다. 독자반응비평에 와서야 문학적 구성 요소에서 독자의 위치가 격상되었고, 독자의 설정없이는 문학연구나 문학사 자체가 불가능한 것으로 인식되었다. 그만큼 문학예술 세계에서도 일종의 민주화 현상으로서 독자의 영역은 넓어졌고 능동적일 수가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독자반응비평에 나타난 문제점이나 한계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작품이 한 개인의 경험적 독서에 의하여 구체화될 때 과연 그 구체성에 타당성이 있을까 하는 심정이다.
참고문헌
문덕수 외, 『현대의 문학 이론과 비평』, 시문학사, 1991
박덕은, 『현대문학비평의 이론과 실제』, 새문사, 1989
박찬기 외, 『수용미학』, 고려원, 1992
정정호․장경렬․박거용 편, 『현대영미비평의 이해』, 문학과비평사, 1989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