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예사조] 다다이즘 & 초현실주의

 1  [문예사조] 다다이즘 & 초현실주의-1
 2  [문예사조] 다다이즘 & 초현실주의-2
 3  [문예사조] 다다이즘 & 초현실주의-3
 4  [문예사조] 다다이즘 & 초현실주의-4
 5  [문예사조] 다다이즘 & 초현실주의-5
 6  [문예사조] 다다이즘 & 초현실주의-6
 7  [문예사조] 다다이즘 & 초현실주의-7
 8  [문예사조] 다다이즘 & 초현실주의-8
 9  [문예사조] 다다이즘 & 초현실주의-9
 10  [문예사조] 다다이즘 & 초현실주의-10
 11  [문예사조] 다다이즘 & 초현실주의-11
 12  [문예사조] 다다이즘 & 초현실주의-12
 13  [문예사조] 다다이즘 & 초현실주의-13
 14  [문예사조] 다다이즘 & 초현실주의-14
 15  [문예사조] 다다이즘 & 초현실주의-15
 16  [문예사조] 다다이즘 & 초현실주의-16
 17  [문예사조] 다다이즘 & 초현실주의-17
 18  [문예사조] 다다이즘 & 초현실주의-18
 19  [문예사조] 다다이즘 & 초현실주의-19
 20  [문예사조] 다다이즘 & 초현실주의-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문예사조] 다다이즘 & 초현실주의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다다이즘(dadaism) = 다다(dada)

ⅰ. 다다이즘이란?

ⅱ. 다다이즘 문학

ⅲ. 다다이즘 영화

페르낭 레제(Fernand Léger), , 1924

ⅳ. 다다이즘 미술

-다다이즘 미술의 태동

-다다이즘에서 초현실주의로.

Ⅱ. 초현실주의 = 쉬르레알리슴


ⅰ. 초현실주의란?

ⅱ. 초현실주의 문학

ⅲ. 초현실주의 영화

ⅳ. 초현실주의 미술

-초현실주의 미술의 일반적 특징


1. 초현실주의 (회화)기법

1) 자동기술법

2) 프로타주 (문지르기 처리법)

◆막스 에른스트-숲의 비밀

3) 그라타주 (긁어내기 처리법)

◆막스 에른스트 - 숲과 태양

4) 데칼코마니(옮기기 처리법)

◆막스 에른스트 - 도둑맞은 거울

5) 콜라주(붙이기 처리법)

◆막스 에른스트 - 무제

◆한스 아르프, 오스카 도밍게스, 마르셀 장, 소피 토이버 아르프 - 아름다운 시체


2. 광범위한 기법의 실험.

1) 새로운 현실

◆르네 마그리트 - 숨은 여인

2) 이질적인 것의 결합

◆르네 마그리트-위협적 날씨

3) 수수께끼와 숨은 그림

◆르네 마그리트 - 폭행

4) 상상의 무대로서의 꿈의 풍경

◆실바도르 달리 - 꿈

5) 변형

◆조르조 데 키리코- 불안케 하는 여신들


본문내용

ⅳ. 초현실주의 미술

1924년경 앙드레 보르통이 “쉬르리얼리즘 선언”을 발간하면서 시작된 사조이며, 브르통의 선언은 초현실주의를 의식적이고 지적인 영역에서 벗어나 순수한 상태로서의 심리학적 자동 기술법이라고 규정한다. 또한 프로이트의 정신 분석의 영향을 받아 무의식 내지는 꿈의 세계를 표현하려 했던 20세기 문학과 미술 사조라고도 볼 수 있다.
초현실주의의 뿌리는 다다에서 비롯되지만 다다의 한계가 인식되면서, 초현실주의는 미술이라는 매체를 통해서 비이성적인 면, 즉 상상력을 해방하고 무의식을 탐구, 표현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다다가 작품을 남기지 않은 반면, 초현실주의 화가들은 많은 작품을 남기게 되는데, 그 당시 1925년 파리 피에르 화랑 전시회는 상업적 성공은 거두지 못했으나 에른스트, 마송, 미로키리코, 만 레이, 장 아르프, 피카소 등이 참여했던 대규모 전시회가 열리기도 했다.


-초현실주의 미술의 일반적 특징

초현실주의 미술은 이성의 지배를 받지 않는 화상, 공상을 그림이나 사진 속에 묘사하고자 했다. 그러나 다다가 무조건 비합리적이고 파괴적인 예술 행위를 지향한 것과는 달리 초현실주의는 보다 미술적인 것에 관심을 돌린다. 정신적인 면에서 초현실주의의 무의식에 대한 강조는 낭만주의와 닿아 있다고 할 수 있으며, 19세기의 독일 낭만파 회화는 프리드리히의 회화 속에서 발견되는 무한대, 숭고함 등 종교적인 감성들을 그 특징으로 삼고 있다. 하지만 초현실주의는 종교성 대신에 프로이트의 리비도설에서 직접 영향을 받아 억압된 무의식 세계를 가능한 참되게 풀어놓아 표현하려는 여러 실험을 시도한다. 전체적으로 초현실주의는 추상 미술의 발전에 중요한 영향을 끼쳤다.
1924 제 1차 초현실주의 선언에서 브르통은 “근원상태의 눈”을 창작과정의 이상적인 전제조건이라고 칭송하였는데, 그는 어린이, 정신병자, 원시민족, 도취된 사람의 시각이 이 전제조건을 충족시킨다고 여겼다. 초현실주의의 중심원칙은 현실을 새로이 바라보는 것이며 꿈과 무의식이 원천으로 이용된다. 또한 내면의 그림이 미술 작품의 직간접적인 원본이 된다.
초현실주의 회화는 세계의 내면 현실을 찾기 위해 무의식의 심층을 들여다본다. 이는 비범한 기법들, 특히 거의 연금술적인 변신술을 구사하여 꿈, 도취, 백일몽의 영역으로부터 환상적 암호들을 불러내어 고차원의 현실로 들어가기 위한 열쇠로 삼는다. 건축과 자연, 인간과 물질의 대담한 결합이, 수수께끼같은 상황에 괴상한 존재들이 등장하는 초현실주의 그림공간의 특징을 이룬다. 그리하여 거의 무진장하게 그림을 창안하여 무제한으로 자유롭게 형상화할 수 있는 새로운 구상성의 미학이 생겨난다. 초현실주의 회화는 부조리하고 때로는 악마적인 시의 세계를 우리 눈앞에 보여주는 마술거울 역할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