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평가]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1  [교육평가]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1
 2  [교육평가]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2
 3  [교육평가]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3
 4  [교육평가]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4
 5  [교육평가]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5
 6  [교육평가]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6
 7  [교육평가]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7
 8  [교육평가]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8
 9  [교육평가]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9
 10  [교육평가]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10
 11  [교육평가]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11
 12  [교육평가]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12
 13  [교육평가]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13
 14  [교육평가]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14
 15  [교육평가]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15
 16  [교육평가]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16
 17  [교육평가]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17
 18  [교육평가]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18
 19  [교육평가]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19
 20  [교육평가]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교육평가]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1.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2.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목적과 필요성



Ⅱ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실제
1. 시행
2. 평가의 절차
3. 평가도구 개발
4. 우리나라의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변화 추이(2003년~2008년)



Ⅲ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발전방향
1.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운영의 쟁점 사안
2. 2009년 국가수준 학업 성취도 평가의 문제점
3. 2010년 국가수준학업 성취도 평가 개선안
4.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발전 방안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2) 중학교 3학년
▸ 학업성취도 변화 추이
중3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변화를 살펴보면 각 교과별로 매년 약간의 평균점수의 변동이 있으나 큰 점수 차이를 보이지는 않고 있다. 전반적으로 2008년 학업성취도 각 교과별 평균점수는 전년도에 비해 높아졌다. 중3 학생들의 성별 성취도 추이를 살펴보면, 국어와 영어는 여학생이 월등하게 높고, 사회, 수학, 과학은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조금 높았다. 지역규모에 따른 교과별 성취도 점수 추이를 살펴보면, 모든 교과에서 대도시와 중․소도시의 성취도 점수 차이는 거의 없는 반면, 읍․면지역의평균점수는 대도시와 중․소도시에 비해 대부분 낮게 나타나 지역별 차이를 보였다.
▸ 학교 변인과 성취도
학교 변인과 성취도와의 관계는 6개년에 걸쳐 국․공립학교와 사립학교 학생들의 평균점수 차이는 크지 않았고, 여학교는 국어에서 높은 성취도를 나타냈으나 수학과 과학에서는 낮은 성취도를 보였고, 남학교는 과학의 성취도가 높았다. 학부모의 학교 운영 정도, 교육활동에 대한 지원이나 간섭에 대해서는 ‘보통’ 또는 ‘많다’는 의견이 대부분이었으며 그에 따른 학생들의 성취도 점수는 높게 나타났다. 학교에서의 문제 행동과 성취도와의 관련을 살펴보면, 무단결석과 음주 혹은 흡연에 대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중학교일수록 학생의 성취도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 교사 변인과 성취도
영어 교과의 경우 ‘박사과정 수료 이상’의 학력을 가진 중3 교사의 학생들이 ‘대학교 졸업’ 또는 ‘석사학위 취득’에 해당하는 학생들에 비해 성취도가 높은 편이었다. 그러나 다른 교과에서는 교사의 최종 학력과 성취도 간에 연도별로 일관된 관련성을 보이지 않았다. 학교장이 인식하는 교사의 태도를 살펴보았을 때, 학교장이 교사의 학생의 성취에 대한 기대가 높다고 인식할 때 5개 교과 모두에서 학생들의 성취도가 높았다. 교수활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 중 학생들의 학습능력 차이, 학습에 흥미도가 낮은 학생, 수업 참여도가 떨어지는 학생으로 인해 교사가 느끼는 어려움이 낮을 때 학생의 성취도는 높은 경향이 있었다. 학교와 관련된 요인으로 학생 수 과다, 행정업무 과다, 교수학습 자료 부족, 수업 기자재와 시설의 부족으로 인해 어려움이 적은 경우, 학부모 간섭이 많은 경우에 학생의 성취도는 높은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학생 변인과 성취도
학생 변인과 성취도와의 관계는 부모의 학력이 높을수록, 부모와의 대화 정도가 많을수록 성취도가 높았다. 특히 학과 공부 또는 진학과 관련된 대화를 ‘거의 매일 하는 편이다’라고 응답한 학생의 성취도가 가장 높았다. 학생과 부모 모두 가장 중요한 가치로 ‘친구’를 선택했을 때 학생의 성취도가 가장 낮았다. 학생이 집에서 스스로 공부하는 시간과 사교육을 받는 시간이 많을수록 성취도가 높아지는 경향이 있었다. 반면 게임이나 인터넷을 하는 시간이 증가할수록, 친구들과 노는 시간이 길
참고문헌
교육과학기술부, 학업성취도 평가결과 및 기초학력 미달학생 해소 방안, 2008년.
교육과학기술부, 2010년 학업성취도 평가 브로슈어, 2009.
교육과학기술부, 2010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개요, 2010.
박도순, 교육평가 - 이해와 적용, 교육과학사, 2007.
한국교육과정평가원,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체제 개선을 위한 세미나, 2008.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0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개선을 위한 공청회 자료집, 2009.
한국교육과정평가원, 국가 경쟁력 제고를 위한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발전 방향, 2009.
한국교육과정평가원,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추이(초6, 중3, 고1), 2009.
한국교육과정평가원,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개선 연구,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