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관계사] 걸프전쟁

 1  [국제관계사] 걸프전쟁-1
 2  [국제관계사] 걸프전쟁-2
 3  [국제관계사] 걸프전쟁-3
 4  [국제관계사] 걸프전쟁-4
 5  [국제관계사] 걸프전쟁-5
 6  [국제관계사] 걸프전쟁-6
 7  [국제관계사] 걸프전쟁-7
 8  [국제관계사] 걸프전쟁-8
 9  [국제관계사] 걸프전쟁-9
 10  [국제관계사] 걸프전쟁-10
 11  [국제관계사] 걸프전쟁-11
 12  [국제관계사] 걸프전쟁-12
 13  [국제관계사] 걸프전쟁-13
 14  [국제관계사] 걸프전쟁-14
 15  [국제관계사] 걸프전쟁-15
 16  [국제관계사] 걸프전쟁-16
 17  [국제관계사] 걸프전쟁-17
 18  [국제관계사] 걸프전쟁-18
 19  [국제관계사] 걸프전쟁-19
 20  [국제관계사] 걸프전쟁-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국제관계사] 걸프전쟁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걸프전쟁의 배경

2. 전쟁의 발발과 전개과정

3. 사담후세인 VS 조지 부시

4. 걸프전쟁의 특징 및 결과

5. 국제정세의 변화

6. 결론 (English)

1. 미국과 이라크의 관계

2. 유엔과의 관계

3. 강대국과의 관계

4. 결론 (Korean)

★ 참고문헌 ★

본문내용


이란은 시리아처럼 걸프전을 통해 기존의 고립을 탈피하려고 하였다. 이미 전쟁 중 후세인은 이란에 대한 영토적 주장을 철회한바 있으며 이란은 소련의 군사지원을 약속받았다. 공식적으로 이란은 이라크에 대한 국제적 제재에 합류하였지만 이라크에 대한 식량수송을 허용하고 공군력의 도피처를 제공하였으며 소련처럼 전쟁 중 모호한 평화제안을 제시하여 후세인에게 여유를 주려하는 등 이중적인 정책을 취했다.


걸프전에서 터키는 이라크의 석유라인을 폐쇄함으로써 경제적 제재의 주요 수행자가 되었으며 미국공군기의 터키 기지사용을 허용함으로써 그 역할을 다하였다. 만약 이러한 충성이 서방으로부터의 보상을 받는다면 터키는 걸프전에서 이익을 얻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오히려 실망의 위험이 높다. 유럽공동체(European Community, EC)나 서유럽연맹(West-European Union)의 회원국이 될 기회는 요원하며 미국으로부터의 수조나 교류증진도 기대에 못 미칠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급진주의에 대한 방벽으로서 터키의 출현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러시아는 걸프전에 대해 유엔의 결의를 지지하지만 도움을 줄 수는 없다는 입장을 제시, 서방측의 완승을 저지하는 등 실리를 얻으면서 미국의 움직임을 그냥 지켜보지는 않을 것이라는 입장을 나타냈었다.


중국의 경우 원유가 자급되고 있기 때문에 전쟁으로 인한 직접적 피해는 타국에 비해 적었다. 중국은 안정적인 개혁의 지속을 위해 가급적 서방과의 불필요한 긴장을 유발할 수 있는 행동은 삼갔다. 다만, 중국은 공식문건을 통해 기본적으로 중국이 페르시아만 전쟁을 세계 헤게모니 장악을 노린 미국의 패권 전쟁으로 공식 평가하며, 다만 당면 대응책으로 당분간 중립적 태도를 견지하면서 대미 공개 비판을 자제하였다. 또한 중국은 페르시아만 사태가 계속되는 동안 천안문 사태 주동자들에 대한 대대적 검거와 재판을 하는 등 내부 체제정비를 하였으며, 유엔에서 대이라크 무력 사용 결의안에 묵시적 동의를 함으로써 천안문사태 이후 계속되었던 경제 제재 조치를 해제시킬 수 있었다.

5. 국제정세의 변화
1) 아랍권의 재편성
- 걸프전에서 가장 중요한 교훈은 아랍세계에서 군사모험주의 한계가 있다는 사실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걸프전은 군사 모험주의적 급진국가들에게 적실성 있는 억지효과를 가져 왔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는 종족과 민족공동체의 자결원칙을 지지함으로써 더 큰 전쟁위협의 불씨를 남겨놓게 되었다. 즉, 걸프전의 종결은 새로운 평화와 안정의 시발이 아니라 잠재화되었던 오랜 갈등과 반목을 부활시키는 기폭제가 되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실제로 이라크의 예를 보면 이라크의 인구는 종족별로 아랍 75%, 쿠르드 23%, 그리고 투르코만 등 기타 종족 2.5%로 구성되어있다. 종교적 구성 비율은 아랍무슬림 시아 53%, 아랍 수니 20%, 쿠르드 수니 18%, 그리고 아랍 크리스천 3% 등으로 되어있다. 패전 전까지만 해도
참고문헌
1) 단행본
- 이병승,유당승,정환우 공저.『 걸프전쟁과 아랍민족운동』. 도서출판 눈.1991
- 문정인. 『“걸프전쟁과 아랍 및 세계질서의 재편:그 비판적 평가”』.『한국과 국제 정치』 (慶南大學校極東-問題硏究所).1991.
- 오기평. 『“걸프전쟁과 국제공권력의 문제”』.(한국논단).1992.
- 김득주. 『“걸프전쟁의 국제법적 조명”』.『국방연구』(국방대학원외교안보연구소),
1992.
- 기다 히데도.『 걸프전쟁 - 역사적 배경과 전쟁수행과정을 중심으로 』. 서울: 연경 문화사. 2003.
- 아델 다르위시.『 바빌론 프로젝트 』서울: 영웅출판사.1991.
- 유정렬.『"분쟁의 기원연구 -걸프전쟁의 경우-"』.『한국중동학회논총』(한국중동학 회).1991.
- 사사키 유타. 『"유엔 앞세운 걸프전쟁의 허구”』.(한국논단).2002.
- 이남규.『첨단전쟁-걸프전쟁과 첨단무기』. 조선일보사,1992.
- 박상현. 『"후세인의 전쟁 선택요인에 대한 인식론적 고찰 : 1차 걸프전과 사담 후세 인의 선택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2005.

2) 논문
- 강관범. 『미국의 걸프전쟁 수행에 있어서 인명 손실에 대한 여론의 역할 = (The) role of public opinion about casualties in America's Gulf war』. 학위논문(석사)- 연세대학교 대학원:정치학과. 2000.12. 112p.
- 이종원. 『미국 외교정책에 있어 국가이익의 제한요인 연구 : 베트남전쟁과 걸프전쟁 의 비교 분석을 중심으로』. 학위논문(석사)-연세대학교 대학원: 정치학과. 1999, 126p.

3) 인터넷 자료
- http://segero.hufs.ac.kr/middleeast (한국외대중동연구소) (검색일: 2009.05.12)
- http://kida.re.kr (한국국방연구원 세계분쟁 데이터베이스) (검색일: 2009.05.21)
- http://www.koaf.or.kr (한국-아랍친선협회) (검색일: 2009.05.21)
- http;//www.nationmaster.com (걸프 전쟁 연합군) (검색일:2009.05.22)
- http://www.peacekorea.org (한반도 평화를 위한 네트워크) (검색일: 2009.05.23)
- http://images.google.com (구글이미지 검색) (검색일: 2009.05.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