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문학사] 춘향전

 1  [고전문학사] 춘향전-1
 2  [고전문학사] 춘향전-2
 3  [고전문학사] 춘향전-3
 4  [고전문학사] 춘향전-4
 5  [고전문학사] 춘향전-5
 6  [고전문학사] 춘향전-6
 7  [고전문학사] 춘향전-7
 8  [고전문학사] 춘향전-8
 9  [고전문학사] 춘향전-9
 10  [고전문학사] 춘향전-10
 11  [고전문학사] 춘향전-11
 12  [고전문학사] 춘향전-12
 13  [고전문학사] 춘향전-13
 14  [고전문학사] 춘향전-14
 15  [고전문학사] 춘향전-15
 16  [고전문학사] 춘향전-16
 17  [고전문학사] 춘향전-17
 18  [고전문학사] 춘향전-18
 19  [고전문학사] 춘향전-19
 20  [고전문학사] 춘향전-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고전문학사] 춘향전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의 발생과 기원
1.1. 판소리계 소설
1.2. 근원 설화
1.3. 형성 배경

2. 의 이본(異本) 연구
2.1. 이본 현황과 선본(善本)
2.2. 시기별 이본 연구사
2.3. 이본의 계통 연구

3. 의 작품 분석
3.1. 의 갈등 구조
3.2. 작품의 주제
3.3. 작품 속 표현상의 특징

4. 의 소설사적 의미와 현대적 수용양상
4.1. 의 소설사적 의미
4.2. 의 현대적 수용 양상


Ⅲ. 결 론


본문내용

김태준을 비롯한 초기 연구자들은 대개 이런 다양한 설화가 의 형성에 영향을 주었을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특히 김동욱은 이전에 논의되어 오던 여러 설화들을 형성에 소재가 되는 것은 근원설화로, 의 발생에 관한 것은 발생설화로 구분하고 근원설화를 4가지로 분류하여 그 하위에 개별적 설화들을 포함시켰다.
그러나 후대로 오면서 이런 다양한 설화에서 의 기원을 찾기 보다는 단일한 설화로 그 범위를 좁혀야 한다는 의견이 대두되고 있다. 설성경은 의 전반부는 염정설화나 신원설화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그리고 후반부는 암행어사설화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간주하고 두 가지 설화의 합성을 통해 이 나왔다고 보았다. 또한 그보다 더 후기 학자인 김종철은 작품의 구조에 치중한 연구를 통해 의 핵심구조에 대응하는 근원설화는 오직 염정설화 뿐이라는 견해를 제시하기도 하였다.


1.3. 형성 배경

의 발생과 기원에 대한 연구는 무악기원발생설(巫樂基源發生設), 양진사창작설, 원곡 번안설, 문장체소설 선생설, 한문소설 부연설, 판소리 발생설, 설화근원설 등 다양한 시각에서 논의되어 왔다. 이들 중 정설로 인정되거나 유력한 학설로 평가받고 있는 것을 종합해 보면 은 근원설화 → 판소리춘향가 → 소설춘향전으로, 그리고 ‘무굿 → 광대창극 → 소설’의 방법으로 형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렇다면 판소리는 어떻게 탄생할 수 있었을까? 그에 대한 논의로는 무악기원발생설(巫樂基源發生設)이 가장 유력한 학설로 평가받고 있다. 춘향가가 ‘남원지방의 설화 → 살풀이굿 → 문호의 첨삭 → 광대의 무연과 윤색에 의해 이루어졌다는 것이다.
이렇게 근원설화가 판소리 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춘향가는 그에 따른 여러 가지 특징들이 나타나는데 서민의 의식을 대변해주고 있는 점, 작품이 한 개인의 창작이 아니라 민중의 공동작이라는 점, 구비문학이 적층되는 와중에 발생한 구성상의 불합리성이 존재하는 점이 바로 그것이다.
이러한 여러 가지 특징을 가지고 있는 판소리 가 양식 변형을 거쳐 소설 이 되었다는 학설은 현재 학계에서 정설로 받아지고 있다. 춘향전에서 4.4조의 율문적인 흔적이 두드러진 점 ①당상(堂上)의/모든 수령/다담을/앞에 놓고/진양조/양양(洋洋)할 제/어사또/상을 보니/어찌 아니/통분하랴. ②공방 불러/포진 단속/병방 불러/역마 단속/관청색 불러/다담 단속/옥 형리 불러/죄인 단속/집사 불러/형구 단속/형방 불러/문부 단속/사령 불러/합번 단속…③본관이/똥을 싸고/멍석 구멍/새앙쥐 눈/뜨듯하고/내아로/들어가서…
, 양반과 서민의 언어가 함께 쓰이고 있는 점 한자어 - 육각 풍류, 녹의 홍상, 백수 나삼, 한시구(어사 출도시, 왕유의 시구), 좌우도 순읍, 어전 숙배, 삼당상 입시, 문부를 사정, 이조 참의 대사성 봉하시고, 정렬 부인 봉하시니 등
비어 및 서민 언어 - 애고, 박 터졌네.(238:5), 농부가 장면
,판소리가 유행한 전라도
참고문헌
 권순긍, 「고전소설의 영화화」, 한국고소설학회, 2007.
 김광순, 「춘향전의 근원설화」,『춘향전의 종합적 고찰』, 아주대문화사, 1991.
 김동욱 · 김태준 · 설성경, 「춘향전비교연구」 , 삼영사 1979
 김종철, 춘향전의 근원설화 「한국문학사의 쟁점」, 집문당, 1986
 박현채, 「민중과 역사」, 문학과 지성사, 1984.
 박희병, 춘향전의 역사적 성격 분석, 「전환기의 동아시아문학」 , 창작과 비평사, 1985
 설성경, 「춘향전의 원작가에 대하여」, 국제비교한국학회, 2001.
 설성경, 「춘향전의 형성과 계통」, 정음사 1986
 신익호, 「현대시에 수용된 춘향전의 패러디 양상」, 한국언어문학회, 2003.
 안인희, 「조선후기 춘향전과 영화춘향전 복식의 시대성과 유행성 비교」, 한국복식학회, 2004.
 윤용식, 춘향전 「한국고전소설작품론」 , 집문당 . 1990
 정하영, 「춘향전의 탐구」 , 집문당, 2003
 정병현, 「판소리와 한국문화」, 역락, 2002.
 차충환, 「국문필사본 〈춘향전〉의 계열과 성격」, 판소리학회, 2004.
 차충환, 「춘향전에 대한 관심과 해석」, 인문학연구, 2004.
 한국고소설학회, 「춘향전의 종합적 고찰」, 아세아 문화사, 1991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