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근대화] 식민지 근대화론

 1  [한국근대화] 식민지 근대화론-1
 2  [한국근대화] 식민지 근대화론-2
 3  [한국근대화] 식민지 근대화론-3
 4  [한국근대화] 식민지 근대화론-4
 5  [한국근대화] 식민지 근대화론-5
 6  [한국근대화] 식민지 근대화론-6
 7  [한국근대화] 식민지 근대화론-7
 8  [한국근대화] 식민지 근대화론-8
 9  [한국근대화] 식민지 근대화론-9
 10  [한국근대화] 식민지 근대화론-10
 11  [한국근대화] 식민지 근대화론-11
 12  [한국근대화] 식민지 근대화론-12
 13  [한국근대화] 식민지 근대화론-13
 14  [한국근대화] 식민지 근대화론-14
 15  [한국근대화] 식민지 근대화론-15
 16  [한국근대화] 식민지 근대화론-16
 17  [한국근대화] 식민지 근대화론-17
 18  [한국근대화] 식민지 근대화론-18
 19  [한국근대화] 식민지 근대화론-19
 20  [한국근대화] 식민지 근대화론-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근대화] 식민지 근대화론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
식민지 근대화론의 대두

2
)
일본의 식민통치가 남긴 것

3
)
식민지 시기 농민의 삶

4
)
식민지수탈론

5
)
식민지근대화론

6
)
시대적 흐름에 따른 인식 변화

7
)
결 론


본문내용


조선의 사람들은 식민지시기를 거치면서 ‘근대화’되가는 사회질서를 느낄 수 있었다. 과거와는 다른 형식으로 서로간의 경제활동이 이루어지고 새로운 기술이 도입되고 또 새로운 교육제도에 점차 익숙해지는 사회를 맞게 된 것이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들을 통해서 어떻게 농민들의 삶이 변화 되었고 또 그들이 어떤 영향을 받았는가에 대한 내용을 다루는 것은 식민지시기를 이해하는 중요한 내용이 된다. 생활사 연구는 당대의 정치, 경제구조 등을 기초로 이루어지고 사람들의 삶의 모습에 접근하다 보면 ‘삶의 질’이라는, 단순히 사회적 지표나 통계자료, 이론들로는 잘 드러나지 않는 사회의 가장 실질적인 면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철도와 공장, 학교, 전선을 통해서 들어온 근대적 물결은 점차 농촌사회를 장악하게 된다. 이것들은 외부와 농촌을 연결하는 새로운 길이 되고 철도 정거장, 즉 역이 있는 곳은 새로운 문화와 문물이 유입되고 그것을 주변으로 확산시키는 중심지가 되어갔다. 이 시기 철도 정거장이 생긴 곳들을 살펴보면 기존의 중심지와는 사뭇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이에 따라서 경제적, 정치적 제도들이 이동해 감을 볼 수 있다. 이는 조선인들의 생활 질서 체계를 일본의 것과 동일하도록 내면화 하는 과정의 일부라고 말할 수 있는데 조선인들은 시간과 함께 도량형을 일본의 기준에 맞게 변형 시켜야 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시설들의 운행, 즉 학교의 시간표나 기차 운행 시간, 물건의 양과 길이를 재는 척도 등은 모두 동경의 것과 일치되게 되었다.
뿐만 아니라 농업에서의 변화도 드러난다. 일제 강점기에 농민들에게 가장 크게 요구 되었던 것은 모든 농업 생산품들의 상품화와 규격화, 그리고 빠른 시간 내에 대량생산이 가능토록 하는 것이었다. 게다가 이런 모든 변화는 점차적으로 이루어 진 것이 아니라 급속하게 이루어 졌다. 농민들에게 제일 처음 나타난 변화는 농사방법에서 나타났다. 또 홍수나 가뭄 등 자연자해에 큰 영향을 받던 농촌들은 근대적 방식의 저수지나 댐 같은 콘크리트 구조물들로 더 많은 수확량을 얻을 수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의 도입으로 인해 농민의 삶이 윤택해 졌다고만 할 수도 없다. 문제는 이 과정에서 수탈당한 농민에 있다.
이 시기에 조선 농민들에게 보급된 농업기술은 거의 강제적으로 보급 된 것이었다. 일본 기수들이 요구하면 이익이 되지 않아도 돈벌이도 되지 않는 작물을 키워야만 했고(예 : 목화) 또 거래 방식도 규제가 되어있어서 농민들은 더더욱 재배를 통한 이익을 보기 어렵게 되었다. 애초에 이런 규제 자체가 생산자 보다는 구매자들, 즉 일본인들을 위해 만들어진 것이기 때문이었다. 또 일본으로의 쌀 수출양이 증가함에 따라 지주들은 일본인의 입맛에 맞는 일본 종자와 화학비료를 적극적으로 도입하도록 농민들에게 요구하였고 값비싼 비료를 살 능력이 없는 농민들은 빚을 내서 비료 값을 내고 추수를 하면 이자를 붙여서 그 비료 값을 받아갔다. 다시 말해서 아무리 수확량이 늘어도 소작인들에게 가는 이익은 거의 없었다는 것이다. 심지어 농민들은 자신들이 가을에 수확한 미곡을 다 팔고 다시 잡곡을 사서 먹어야 할 정도였다.

이렇듯 합리적이고 그럴듯해 보이는 근대화라는 과정을 통해서 농민들이 깨달았던 것은 자신들의 현실과는 맞지 않다는 괴리감과 결국 자신들에게 남은 것은 ‘가난’뿐이라는 것이었다. 이런 빈곤을 견디지
참고문헌
• 식민지근대화론과 내재적 발전론 - 조석곤(2005)
• 뉴라이트, 위험한 교과거 바로 읽기 - 역사교육연대회의(2009)
• http://blog.naver.com/sadanginsu?Redirect=Log&logNo=40058757995 (네이버블로그)
• 존 에커트 - 제국의 후예

• 신용하 『식민지 근대화론에 대한 비판적 성찰』 나남 출판사. 2009.
• 신용하 『일제 식민지정책과 식민지근대화론 비판』 문학과지성사. 2006.
• 고종훈 『한국근현대사』고종훈 역사연구소. 2009
• 네이버 백과사전 황국신민화정책 http://100.naver.com/100.nhn?docid=824987 2010.4.8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