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사회와미술] 예술의 공공성

 1  [현대사회와미술] 예술의 공공성-1
 2  [현대사회와미술] 예술의 공공성-2
 3  [현대사회와미술] 예술의 공공성-3
 4  [현대사회와미술] 예술의 공공성-4
 5  [현대사회와미술] 예술의 공공성-5
 6  [현대사회와미술] 예술의 공공성-6
 7  [현대사회와미술] 예술의 공공성-7
 8  [현대사회와미술] 예술의 공공성-8
 9  [현대사회와미술] 예술의 공공성-9
 10  [현대사회와미술] 예술의 공공성-10
 11  [현대사회와미술] 예술의 공공성-11
 12  [현대사회와미술] 예술의 공공성-12
 13  [현대사회와미술] 예술의 공공성-13
 14  [현대사회와미술] 예술의 공공성-14
 15  [현대사회와미술] 예술의 공공성-15
 16  [현대사회와미술] 예술의 공공성-16
 17  [현대사회와미술] 예술의 공공성-17
 18  [현대사회와미술] 예술의 공공성-18
 19  [현대사회와미술] 예술의 공공성-19
 20  [현대사회와미술] 예술의 공공성-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현대사회와미술] 예술의 공공성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서론

01 ‘기울어진 호’에 대한 이야기
02 공공미술이란 무엇인가?



본론

01 공공미술의 역할과 기능
02 우리나라 공공미술은 어떤가
03 작가가 생각하는 공공미술
04 시민들이 생각하는 공공미술
05 긍정적인 영향/ 부정적인 영향



결론

01 아마벨의 사례
02 앞으로 우리나라 공공미술이 나아가야 할 방향
본문내용
미국 뉴욕 맨해튼 도심빌딩 앞 광장에 3.6미터 높이, 36미터 길이에 달하는
잔뜩 녹이 슨 부식효과를 낸 강철판의 작품 ‘기울어진 호’가 세워졌다
지나다니는 보행자나 시민들로부터 부정적인 반응을 불러일으켰다
; 넓은 광장 한가운데 건축 자재처럼 보이는 철판을 가로막음으로써, 아름다
움은 커녕 오히려 가로막힌 듯한 느낌을 주고 통행자들의 보행에도 방해됨
이 작품을 보는 시민들은 정서적인 안정감을 느끼기 보다 오히려 경관을 해
친다는 이유 때문에 다른 곳으로 옮겼으면 좋겠다는 항의를 함
리처드세라는 맨하튼 도심 가운데 연방 광장이라는 특성과 위치를 고려해 만
들어진 작품이기에 이전은 말도 안되고 또한 예술에 대한 몰이해이고 야만적
행위라고 거부했다
많은 예술가나 비평가들은 세라의 편을 들어 주었으나 결국은 ‘예술의 폭력’
이라며 작품 철거를 주장하는 시민의 요구가 법정소송에서 이김
작품은 결국 철거되었고, 공간적 특성을 고려해 제작한 작품이라 다른 공간으
로의 이동은 의미가 없다고 생각해 작가는 작품을 폐기하였다.
공공미술이란 공공장소에 설치되거나 전시된 미술작품 또는 공공
영역 속에서 이루어지는 일련의 미술 행위 및 활동 등을 말한다.보
다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예컨대 미술관을 벗어난 미술, 장소 특정
성을 고려하는 미술, 도시 공간 환경에 설치, 전시된 미술, 작가와
지역주민들이 다함께 만들어나가는 지역 공동체 미술 또는 사회의
소리를 담아 표현하는 미술 등으로 설명할 수도 있을 것이다.
공공미술의 기능은
크게 장식(the new Decorative)과 개입(the Participatory)으로
요약할 수 있다




장식은 건축물을 만들 때 미술을 도입해 미술적 장식효과를 높였던 유럽 건축물 의 전통
을 현대적으로 번안한 것일 것이다. 의자, 휴지통, 가로등 등 이른바 스트리트 퍼니처가
대표적이며 도시시각환경에 미술을 디자인적 개념으로 초청하는 사례 역시 이런 경우에
해당한다. 이때 이전의 장식 미술과 '새로운 장식'이 구분되는 점은 단순 장식이 아니라
다기능적 (Multi-functional) 장식을 미술적으로 수행한다는 점이다. 창작의 목표를 사용
자 중심에 두고 (audience-centered) 미술의 쓰임새를 사람과 공간의 정서를 어루만지
면서도 기능(의자, 방향지시, 시계 등)을 수행하는데까지 확장한다.


개입은 미술작품을 단순히 미적 오브제로서의 제한된 기능으로 보지 않고 사회적 비판
과 미술적 비전제시의 적극적인 표현매체로 사용하는 경우다. 에이즈 문제로 촉발 된
AIDS 미술을 비롯해 최근 '새로운 장르의 공공미술'은 모두 개입을 중요한 개념으로 설
정하고 있다. 개입은 미술을 사회에 개입시킨다는 의미 말고도 작품의 제작과정을 작품
의 완결된 결과 못지않게 중요시하고 그 과정에서 관람객들의 참여를 매우 중요시 한다.
즉 일상생활 공간과 일상적 이슈에 대한 창의적 개입과 관람객의 소통적 참여를 공공미
술의 중요한 개념으로 설정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