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악(한국전통음악) 용어, 국악기 분류와 종류, 국악(한국전통음악) 박연 율관, 국악(한국전통음악) 국내공연, 국악강습과 국악강좌, 국악 제언

 1  국악(한국전통음악) 용어, 국악기 분류와 종류, 국악(한국전통음악) 박연 율관, 국악(한국전통음악) 국내공연, 국악강습과 국악강좌, 국악 제언-1
 2  국악(한국전통음악) 용어, 국악기 분류와 종류, 국악(한국전통음악) 박연 율관, 국악(한국전통음악) 국내공연, 국악강습과 국악강좌, 국악 제언-2
 3  국악(한국전통음악) 용어, 국악기 분류와 종류, 국악(한국전통음악) 박연 율관, 국악(한국전통음악) 국내공연, 국악강습과 국악강좌, 국악 제언-3
 4  국악(한국전통음악) 용어, 국악기 분류와 종류, 국악(한국전통음악) 박연 율관, 국악(한국전통음악) 국내공연, 국악강습과 국악강좌, 국악 제언-4
 5  국악(한국전통음악) 용어, 국악기 분류와 종류, 국악(한국전통음악) 박연 율관, 국악(한국전통음악) 국내공연, 국악강습과 국악강좌, 국악 제언-5
 6  국악(한국전통음악) 용어, 국악기 분류와 종류, 국악(한국전통음악) 박연 율관, 국악(한국전통음악) 국내공연, 국악강습과 국악강좌, 국악 제언-6
 7  국악(한국전통음악) 용어, 국악기 분류와 종류, 국악(한국전통음악) 박연 율관, 국악(한국전통음악) 국내공연, 국악강습과 국악강좌, 국악 제언-7
 8  국악(한국전통음악) 용어, 국악기 분류와 종류, 국악(한국전통음악) 박연 율관, 국악(한국전통음악) 국내공연, 국악강습과 국악강좌, 국악 제언-8
 9  국악(한국전통음악) 용어, 국악기 분류와 종류, 국악(한국전통음악) 박연 율관, 국악(한국전통음악) 국내공연, 국악강습과 국악강좌, 국악 제언-9
 10  국악(한국전통음악) 용어, 국악기 분류와 종류, 국악(한국전통음악) 박연 율관, 국악(한국전통음악) 국내공연, 국악강습과 국악강좌, 국악 제언-10
 11  국악(한국전통음악) 용어, 국악기 분류와 종류, 국악(한국전통음악) 박연 율관, 국악(한국전통음악) 국내공연, 국악강습과 국악강좌, 국악 제언-11
 12  국악(한국전통음악) 용어, 국악기 분류와 종류, 국악(한국전통음악) 박연 율관, 국악(한국전통음악) 국내공연, 국악강습과 국악강좌, 국악 제언-12
 13  국악(한국전통음악) 용어, 국악기 분류와 종류, 국악(한국전통음악) 박연 율관, 국악(한국전통음악) 국내공연, 국악강습과 국악강좌, 국악 제언-13
 14  국악(한국전통음악) 용어, 국악기 분류와 종류, 국악(한국전통음악) 박연 율관, 국악(한국전통음악) 국내공연, 국악강습과 국악강좌, 국악 제언-14
 15  국악(한국전통음악) 용어, 국악기 분류와 종류, 국악(한국전통음악) 박연 율관, 국악(한국전통음악) 국내공연, 국악강습과 국악강좌, 국악 제언-15
 16  국악(한국전통음악) 용어, 국악기 분류와 종류, 국악(한국전통음악) 박연 율관, 국악(한국전통음악) 국내공연, 국악강습과 국악강좌, 국악 제언-16
 17  국악(한국전통음악) 용어, 국악기 분류와 종류, 국악(한국전통음악) 박연 율관, 국악(한국전통음악) 국내공연, 국악강습과 국악강좌, 국악 제언-17
 18  국악(한국전통음악) 용어, 국악기 분류와 종류, 국악(한국전통음악) 박연 율관, 국악(한국전통음악) 국내공연, 국악강습과 국악강좌, 국악 제언-18
 19  국악(한국전통음악) 용어, 국악기 분류와 종류, 국악(한국전통음악) 박연 율관, 국악(한국전통음악) 국내공연, 국악강습과 국악강좌, 국악 제언-1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추천자료
  • 국악(한국전통음악) 용어, 국악기 분류와 종류, 국악(한국전통음악) 박연 율관, 국악(한국전통음악) 국내공연, 국악강습과 국악강좌, 국악 제언
  • [국악][한국전통음악]국악(한국전통음악)의 분류와 연주형태, 국악기(한국전통악기)의 정의와 분류, 국악기(한국전통악기)의 사례, 국악기(한국전통악기)의 연주사례, 직업으로서의 국악인(한국전통음악인), 현대 국악인(한국전통음악인)
  • [국악][한국전통음악]국악(한국전통음악)의의,관련용어,성격, 국악(한국전통음악)의 발달,쟁점,제언 분석
  • 국악(한국전통음악)의 정의와 종류, 국악(한국전통음악)의 원리, 국악(한국전통음악)과 국악기, 지방의 국악(한국전통음악) 사례와 공연현황, 국악(한국전통음악)의 경연대회, 국악(한국전통음악)과 서양음악 비교
  • [국악][한국전통음악]국악(한국전통음악)의 음악적 특징과 이론적 배경, 국악(한국전통음악)의 연주 형태, 국악기(한국전통악기)의 분류, 국악기(한국전통악기)의 종류별 특징, 국악기(한국전통악기)의 원리, 국악기(한국전통악기) 사례
  • 국악(한국전통음악)의 개념과 구성요소, 국악(한국전통음악)의 음계와 국악기(한국전통악기)의 분류, 초등학교국악교육의 국악기지도, 초등학교국악교육의 민요와 장단지도, 초등학교국악교육의 장구지도와 평가방법
  • 국악(한국전통음악)의 의미와 용어, 국악(한국전통음악)과 국악기(한국전통악기), 국악(한국전통음악) 상설기획공연, 국악(한국전통음악) 국제교류활동, 국악(한국전통음악)과 서양음악 비교 및 국악인(전통음악인)
  • 한국전통음악지도(국악교육)장단지도, 한국전통음악지도(국악교육)단계,모형, 한국전통음악지도(국악교육)창의적활동, 한국전통음악지도 제고방향
  • 국악지도(한국전통음악교육)개념,가창활동,민요활동, 국악지도(한국전통음악교육)참고자료,접근방법, 국악지도(한국전통음악교육)지도전략,평가
  • 한국의 전통문화 국악 보고서
  • 소개글
    국악(한국전통음악) 용어, 국악기 분류와 종류, 국악(한국전통음악) 박연 율관, 국악(한국전통음악) 국내공연, 국악강습과 국악강좌, 국악 제언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국악(한국전통음악)의 종류
    1. 아악
    2. 취타
    3. 실내악
    4. 무용곡
    5. 산조
    6. 가곡
    7. 가사
    8. 시조
    9. 창극조
    10. 무용가
    11. 통속가

    Ⅱ. 국악(한국전통음악)의 특징
    1. 장사훈의 이론
    2. 기보법에 의한 음악의 특징 고찰
    3. 가락구성 요소의 차이
    1) 음계의 차이점
    2) 장단과 박자의 차이점

    Ⅲ. 국악(한국전통음악) 관련 용어
    1. 궁중음악 밑도드리
    2. 가야금 병창 녹음방초, 심청가중 방아타령
    1) 녹음방초
    2) 심청가중 방아타령
    3. 민속무용 승무
    4. 서도입창 놀량, 앞산타령, 뒷산타령, 경발림
    1) 놀량
    2) 앞산타령
    3) 뒷산타령
    4) 경발림
    5. 아쟁독주 아쟁산조
    6. 단가, 판소리 사철가, 흥보가
    7. 궁중음악 함녕지곡
    8. 궁중무용 사선무
    8. 가곡 언락, 편락
    1) 언락
    2) 편락
    9. 창작국악 거문고 독주/달무리
    10. 남도민요 육자백이
    1) 육자백이
    2) 자진 육자백이
    3) 삼산은 반락
    4) 개고리 타령
    11. 민속음악 사물놀이

    Ⅳ. 국악기의 분류와 종류
    1. 분류
    1) 음악 계통에 의한 분류
    2) 제작 재료에 따른 분류법
    3) 연주법에 따른 분류
    2. 종류
    1) 해금
    2) 아쟁
    3) 대금
    4) 피리
    5) 장고
    6) 좌고
    7) 진고

    Ⅴ. 국악(한국전통음악)과 박연의 율관

    Ⅵ. 국악(한국전통음악)의 국내공연 현황

    Ⅶ. 국악강습과 국악강좌

    Ⅷ. 향후 국악(한국전통음악) 관련 제언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국악(한국전통음악)의 종류

    1. 아악

    왕궁음악원 전속의 음악인에 의하여 왕국의 제향과 연례에 연주되었다. 중국의 아악(문묘 제향악), 중국의 함악(보허자, 낙양춘 등)과 한국의 고악(정읍 등)을 포속한다. 지금 그 대부분은 가사를 잃고, 성악에서 관현악으로 전래되었다.

    2. 취타

    태평소․나발․소라․북․대금․소금으로 합주되는 행진곡이다.

    3. 실내악

    보통 거문고․가야금․양금․해금․젓대․피리․장구의 관현 합주이다.

    4. 무용곡

    피리2․젓대1․해금1․장구1․북1 등 합계 6인에 의하여 연주되어 일명 삼현육각이라고도 한다.

    5. 산조

    주로 가야금 또는 거문고 독주인데, 진양조․중모리․자진모리의 3악장 형식으로 되어 있다.

    6. 가곡

    거문고․가야금․양금․해금․젓대․피리․장국의 반주로 불린다. 짧은 서정시 1편이 5장으로 구분되고, 그 밖에 후주곡인 대여음과 3장과 4장 사이의 간주곡이 중여음을 가졌다. 16박의 고형을 계승한 유일한 가곡은 창극조와 반대로 감정을 억제하며 한가하고 태평스럽다.

    7. 가사

    젓대와 장구의 반주는 가곡에 비하여 간단하고 그 사설도 서정시의 가곡에 비하여 길고 서사시적인 편이다.

    8. 시조

    전기 가곡의 시가 사용되나 가곡같이 5장이 아니고 3장으로 구분되었으며, 대개 무반주로 불리는 단순한 성악이다.

    9. 창극조

    2시간 이상 걸리는 춘향전․심청전 같은 긴 이야기를 1인이 북장단에 맞추어서 발림을 섞어 가면서 아니리로 서술하여 사람을 울리고 웃기고 한다.

    10. 무용가

    장구를 멘 1인이 소리를 메기면 소고를 손에 쥔 여러 사람이 한 줄로 전진, 후퇴하면서 발림춤을 추면서 소리를 받는다. 이것을 입창이라고도 한다.
    참고문헌
    김세중(2003), 한국음악의 이해 핸드북, 예솔
    국립국악원 http://www.ncktpa.go.kr
    곽영호(1999), 겨레의 얼 한국전통음악의 멋, 도서출판사 광명당
    박용구(1946), 창작과 국악, 조선일보
    서한범(1988), 국악통론, 서울 태림출판사
    장사훈(1985), 최신국악총론, 세광음악사
    한국국악교육학회, 알기 쉬운 국악개론, 풍남출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