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문화] 일본만화의 한계점 및 나아갈 방향

 1  [국제문화] 일본만화의 한계점 및 나아갈 방향-1
 2  [국제문화] 일본만화의 한계점 및 나아갈 방향-2
 3  [국제문화] 일본만화의 한계점 및 나아갈 방향-3
 4  [국제문화] 일본만화의 한계점 및 나아갈 방향-4
 5  [국제문화] 일본만화의 한계점 및 나아갈 방향-5
 6  [국제문화] 일본만화의 한계점 및 나아갈 방향-6
 7  [국제문화] 일본만화의 한계점 및 나아갈 방향-7
 8  [국제문화] 일본만화의 한계점 및 나아갈 방향-8
 9  [국제문화] 일본만화의 한계점 및 나아갈 방향-9
 10  [국제문화] 일본만화의 한계점 및 나아갈 방향-10
 11  [국제문화] 일본만화의 한계점 및 나아갈 방향-11
 12  [국제문화] 일본만화의 한계점 및 나아갈 방향-12
 13  [국제문화] 일본만화의 한계점 및 나아갈 방향-13
 14  [국제문화] 일본만화의 한계점 및 나아갈 방향-14
 15  [국제문화] 일본만화의 한계점 및 나아갈 방향-15
 16  [국제문화] 일본만화의 한계점 및 나아갈 방향-16
 17  [국제문화] 일본만화의 한계점 및 나아갈 방향-17
 18  [국제문화] 일본만화의 한계점 및 나아갈 방향-18
 19  [국제문화] 일본만화의 한계점 및 나아갈 방향-19
 20  [국제문화] 일본만화의 한계점 및 나아갈 방향-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국제문화] 일본만화의 한계점 및 나아갈 방향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I. 들어가는 글

II. 펼치는 글

1. 만화의 매체적 특성
2. 한국에서의 일본만화
3. 일본만화에 관한 세 가지 담론
4. 보호론⒜: 폭력성․선정성에 대한 강효과론적 입장
5. 보호론⒝: 문화(미디어)제국주의 시각
6. 산업론
7. 대중문화론

III. 나오는 글



본문내용

1) 방송사는 등장인물의 이름만 한국식으로 바꾸고 배경에 나타나는 일어를 지우는 식으로 국적을 숨겨왔다.



II. 펼치는 글

1. 만화의 매체적 특성

"만화에 관한 만화책"인 매클루드(1995)의 『만화의 이해』는 만화를 "정보를 전달하거나 보는 이에게 미적인 반응을 일으킬 목적으로, 그림과 그 밖의 형상들을 의도한 순서로 나란히 늘어놓은 것"이라고 정의한다. 또한, 만화에서 칸 사이의 공간을 "빗물을 받는 홈통"이라 부르면서 "칸 안의 마술보다 더 재미있는 게 칸 사이에 생기는 연상(closure)의 힘"이라고 주장한다. 이처럼 칸과 칸 사이에서 작용하는 독자들의 무한한 상상력은 만화만이 가질 수 있는 강점이다. 만화는 영화나 회화의 영상능력에 글의 친숙함을 더해 폭넓은 가능성과 자유로움을 제공한다.

만화는 간결한 선과 생략된 형태로 메시지를 명확하고 일목요연하게 전달해주는 시각언어이다. 그림이라는 점에서 영상매체의 특징을 지니며, 출판된 간행물이라는 점에서 인쇄매체의 특징을 지닌다(김승민, 1989). 인쇄매체는 크게 부호매체와 조형매체로 분류할 수 있는데, 조형매체는 視知覺을 통하여 전환의 과정 없이 직접 인식된다는 점에서 활자매체보다 신속하고 용이하다. 따라서, 만화는 점차 시각화․영상화되어 가는 현대사회의 추세에 따라 TV․영화에 밀리고 있는 인쇄매체에 대중을 계속 정착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이원복, 1991b).

만화는 설득과 정보전달을 유리하게 하는 매체이다. 그렇다면, 매체로서 만화가 지니고 있는 호소력의 근원은 무엇인가? 첫째, 만화가 지닌 융통성이다. 인쇄매체와 영상매체를 아우르는 만화의 융통성은 송신자가 겨냥하는 target audience에게 도달될 수 있는 가능성을 그만큼 높인다. 둘째, 만화는 그림과 글이 절묘하게 조화되어 있는 매체로서, 그림과 글의 장점을 효과적으로 결합한다. 즉, 글의 분명함과 그림의 즉각성을 결합하면서 글의 어려움은 그림을 통해, 그림의 다의성은 글을 통해 보완하는 매체이다. 마지막으로, 만화는 그 안에 일정한 이야기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기 때문에, 긴 내용을 압축하여 표현할 수 있는 경제성을 지니고 있다(정준영, 1993).

참고문헌

고우영. (1990). "일본만화 수입은 시기상조." 『간행물윤리』 7월.
곽대원. (1995). "일본만화산업의 발전과정과 타부문 산업에의 파급효과." 『순국』 9월.
김수희. (1995). "일본만화가 아동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 교육대학원.
김승민. (1989). "학습만화의 기능에 관한 연구." 중앙대 신문방송대학원.
김이랑. (1992a). "지구촌의 일본 '망가(漫畵)' 쇼크." 『옵서버』 6월.
______. (1992b). "니께이의 경제만화에 숨은 日本우월주의." 『옵서버』 7월.
______. (1994a). "만화 대동아 공영권을 꿈꾸는 일본의 야심." 『말』 10월.
______. (1994b). "한국만화가들에게 고함." 『말』 12월.
김지룡. (1998). 『나는 일본문화가 재미있다』. 명진출판.
마린, 릭. (1995). "일본만화 美 본토 점령." 『뉴스위크』 8월23일.
매클루드, 스콧. (1995). 『만화의 이해』. 고재경․이무열 역. 아름드리.
맥루한, 마샬. (1997). 『미디어의 이해』. 박정규 역. 커뮤니케이션북스.
박석흥. (1990). "저질퇴폐와 일본식 사고의 유입 우려." 『간행물윤리』 7월.
백정숙. (1994). "판치는 일본만화, 한국시장 50% 잠식." 『태백』 4월.
서울YWCA. (1995). 『일본번역만화․성인만화잡지 구독실태 및 책 대여점 이용실태조사』.
손상익. (1992a). "일본만화를 생각해본다." 『간행물윤리』 2월.
______. (1992b). "일본만화의 대량유통과 번역오류에 따른 문제점." 『간행물윤리』 8월.

______. (1996). 『만화로 여는 세상』. 고려원미디어.
스토리, 존. (1994). 『문화연구와 문화이론』. 박모 역. 현실문화연구.
위머, R. & 도미니크, J. (1995). 『매스미디어 조사방법론』. 유재천․김동규 공역. 나남.
윤희중. (1994). "청소년과 인쇄매체 개괄." 『청소년과 인쇄매체』. 한국언론연구원.
이규형. (1992). 『일본을 읽으면 한국이 보인다』. 스포츠서울.
이수연. (1995). "한국관객의 미국영화 읽기." 『언론과 사회』 겨울.
이순형外, (1993) "청소년의 일본 번역만화 구독과 대일 선망의식." 『아동학회지』 11월.
이원복. (1991a). "한국만화 유통구조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⑵." 『간행물윤리』 4월.
______. (1991b). "인쇄매체로서의 만화." 『세계의 만화, 만화의 세계』. 미진사.
______. (1994). "청소년과 만화." 『청소년과 인쇄매체』. 한국언론연구원.
이원홍. (1992). "만화와 日本禍." 『간행물윤리』 4월.
임청산. (1991). "한일간 만화예술활동 비교연구." 『공주전문대논문집』 12월.
______. (1994). "세계 3대 만화제작국의 홀로서기." 『저널리즘비평』 12월.
장인석. (1994). "사쿠라꽃이 활짝 피었습니다." 『신동아』 4월.
전규찬. (1996). "텔레비전 만화영화 보기와 이야기하기." 『언론과 사회』 여름.
정문성. (1992). "일본대중문화가 한국청소년문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일본번역만화가 청소년의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연구』 12월.
정준영. (1993). "만화." 『대중매체의 이해와 활용』. 강상현․채백 엮음. 한나래.
정희주. (1997). "일본만화 변천에 대한 역사적 연구." 중앙대 신문방송대학원.
터너, 그래엄. (1995). 『문화연구 입문』. 김연종 역. 한나래.
톰린슨, 존. (1994). 『문화제국주의』. 강대인 역. 나남.
한창완. (1995). "일본만화에 대한 제도적 대응방안." 『간행물윤리』 7월.
______. (1996). "기획은 미국, 자본은 일본, 그림만 한국." 『신문과방송』 2월.
함종호. (1994). "일본만화가 우리나라의 아동 및 청소년에게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공주대교육대학원.
Popular Memory Group. (1982). "Popular Memory: Theory, Politics, Method." 『Making Histories: Studies in history-writing and politics』.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일간지기사]

"CF이야기: 데이콤 '엄마 002편'." 한국일보 1998년 3월23일.

"PC통신 일본여신 천하." 동아일보 1996년 9월26일.

"「내 사랑 만화」 길을 찾는다: 만화비평모임 만풀." 국민일보 1997년 2월26일.

"만화, '정보매체'로 떠오른다." 문화일보 1997년 5월21일.

"만화로 시작되는 일 문화 침투." 중앙일보 1996년 3월1일.

"만화붐 사회과학적 분석… 90년대 들어 활발." 조선일보 1993년 10월29일.

"문화 개방: 글로벌 스탠더드 시대." 동아일보 1998년 5월6일.

"번역 일본만화는 저질 알면서 재미있어 본다." 동아일보 1995년 8월30일.

"번역출판 일본만화, 한 권에 폭력장면 300번.ꡓ경향신문 1994년 10월9일.

"불황 모르는 일 만화시장." 동아일보 1995년 9월30일.

"서울 고교생 90% 일본만화 본다." 한겨레신문 1995년 9월21일.

"선정․폭력물에 군국주의 미화, 일본만화 판친다." 경향신문 1996년 8월15일.

"신세대 일본 대중문화 따라하기, 더 무서운 어른들의 베끼기." 경향신문 1997년 8월29일.

"애니메이션, 젊음이 몰린다." 동아일보 1997년 6월6월.

"오락, 교양, 역사 '만화전성시대'." 조선일보 1994년 5월13일.

"왜색 유령만화 폭력․선정성 큰일났다." 조선일보 1995년 11월28일.

"외언내언: 일본만화." 서울신문 1994년 5월20일.

"우리시대의 만화가 8: 우리 것에 눈돌린 3세대 순정만화가 김혜린." 한겨레 1993년 6월3일.

"이것이 日本문화다 ②: 만화산업." 서울신문 1994년 5월27일.

"일 만화가 우리 것보다 재미 76%." 동아일보 1994년 11월9일.

"일 만화는 학교폭력 교과서, 주인공 모방 부작용 심각." 한국일보 1997년 6월30일.

"일본 대중문화 새로 보기 1: 애니메이션." 한겨레 1998년 1월1일.

"일본 대중문화가 온다 4: 만화." 한국일보 1998년 4월24일.

"일본만화 바로 보기." 국민일보 1998년 6월9일.

"일본만화 인터넷 점령." 동아일보 1997년 6월10일.

"일본만화 홍수… 대책이 없다." 중앙일보 1994년 6월22일.

"일본만화: 밀반입 후 무단복제… 해적판 범람." 조선일보 1997년7월17일.

"일본만화가 사이버 세계를 지배하는 이유?" 한국일보 1997년 5월19일.

"저질 성․폭력묘사 일제만화 범람, 어린이들의 정서 좀먹는다." 서울신문 1997년 1월8일.

"알고 계세요: 저패니메이션." 경향신문 1997년 1월3일.

"주부들 만화 속으로 - 일 『짱구는 못말려』." 동아일보 1996년 9월11일.

"지구촌 파노라마: 중국, 일 만화침투 대책 없어 골치." 문화일보 1997년 8월19일.

"한국 만화업계 어쩌나." 문화일보 1998년 4월27일.

"한국 속의 일본, 일본 속의 한국 14: 한국에선… 범람하는 일 만화." 서울신문 1995년 8월17일.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