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시강독] 개화기 시가문학(1860~1919)

 1  [현대시강독] 개화기 시가문학(1860~1919)-1
 2  [현대시강독] 개화기 시가문학(1860~1919)-2
 3  [현대시강독] 개화기 시가문학(1860~1919)-3
 4  [현대시강독] 개화기 시가문학(1860~1919)-4
 5  [현대시강독] 개화기 시가문학(1860~1919)-5
 6  [현대시강독] 개화기 시가문학(1860~1919)-6
 7  [현대시강독] 개화기 시가문학(1860~1919)-7
 8  [현대시강독] 개화기 시가문학(1860~1919)-8
 9  [현대시강독] 개화기 시가문학(1860~1919)-9
 10  [현대시강독] 개화기 시가문학(1860~1919)-10
 11  [현대시강독] 개화기 시가문학(1860~1919)-11
 12  [현대시강독] 개화기 시가문학(1860~1919)-12
 13  [현대시강독] 개화기 시가문학(1860~1919)-13
 14  [현대시강독] 개화기 시가문학(1860~1919)-14
 15  [현대시강독] 개화기 시가문학(1860~1919)-15
 16  [현대시강독] 개화기 시가문학(1860~1919)-16
 17  [현대시강독] 개화기 시가문학(1860~1919)-17
 18  [현대시강독] 개화기 시가문학(1860~1919)-18
 19  [현대시강독] 개화기 시가문학(1860~1919)-19
 20  [현대시강독] 개화기 시가문학(1860~1919)-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현대시강독] 개화기 시가문학(1860~1919)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개화기 시대적 배경

2. 1910년대 시대적 배경

3. 개화기 시가의 장르 구분

4. 주요 작품과 작품에 대한 논의

5. 시단의 상황 (잡지 및 신문)

6. 중등 교과서 수록 내용

7. 임용고사 기출문제

8. 참고문헌


본문내용
① 《독립신문》 제 3호의 ‘허울 슌쳥골 최돈셩’의 글은 표제없이 작자의 주소와 이름만을 밝혀 ‘외국통신’란에 발표하고 있다. 이 작품은 이제까지 밝혀진 이러한 유형의 최초의 작품이다. 이 작품은 《독립신문》의 다른 「애국가」나「독립가」및 기타 등과 마찬가지로 자주독립과 개화사상을 주제로 한 애국․독립가 유형이다. 4․4조의 대구형식으로 ‘쥬독립’, ‘진츙보국’, ‘문명개화’, ‘애국’, ‘교휵’, ‘동심’, ‘롱공샹’등의 용어들이 표상하는 의미는 자주독립과 문명개화로 온 국민이 합심단결하여 교육에 힘쓰고 부국강병을 이룩하여 세계 만방에 국위를 선양해야 한다는 것이다. 김학동 , 한국 개화기 시가 연구 , 시문학사, 1981, P.56

서양이나 일본이 양이나 왜적이 아닌 문명국으로서 표상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그들과의 적극적인 교류를 갖기를 희구하고 있다. 이것은 『용담유사』를 위시한 바로 전대의 시가와는 다른 차원으로 외세를 능동적으로 받아들이려는 전환적 의미를 갖는다. 「동심가」1절에서 ‘만국이 회동하야 사회가 일가로다’라고 하였듯이, 사해일가론의 세계주의에 입각해서 국제간의 친선과 상호 이해를 촉구하고 있다. 김학동, 한국 개화기 시가 연구 , 시문학사 1981. p.57


② 이 작품은 《독립신문》3호에 게재된 것으로 개화기 시가 가운데도 초창기에 속하는 작품 가운데 하나이다. 그리고 이 작품은 창작을 게재하는 독립된 난이 마련되지 않은 채 실려졌다. 또한 그 꼬리에 “아무것도 몰은 사 감히 일언 옵내다.”라고 부기를 달았다. 이와 같은 일련의 사실을 통해 우리는 한 가지 추측을 해 볼 수 있다. 즉 초창기의 개화기 시가들이 다분히 일반기사 또는 논설들과 같은 유로 생각된 낌새가 느껴지는 것이 그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가 이들 작품을 개화기 시가의 효시로 보고자 하는 까닭중 하나는 이 작품이 종래 우리 주변의 고전 시가나 시조와는 다른 모양으로 발표되었기 때문이다. 그 다른모양 이라는 것은 신문이라는 근대적 보도매체를 통해 발표된 것을 말한다. 또한 이 작품은 그 의식에 있어서도 고전 시가들과는 다른 점이 있다. 그것이 “자주 독립”, “문명지화”
참고문헌
『소년』 제1년 1권~제 3년 7권.
『청춘』 제1호
『학지광 제 3호』
강은해, 「개화기 가사연구」, 계명대대학원 석사논문. 1979.
고정옥, 『국어국문학요강』, 대학출판사, 1949.
구자균, 「한말우국경시가」, 『문리논집(고대)』4집, 1959.
국사편찬위원회 편, 『한국현대사』, 탐구당, 1982.
금영철, 『한국개화기 시가의 장르연구』, 학문사, 1987
김광남 외, 『고등학교 한국 근·현대사』, (주)두산, 2002, 25쪽
김근수 편, 『한국 개화기 시가집』, 태학사, 1985.
김대규, 金大圭,「海에게서 少年에게’와 바다의 상징성」, 연세어문학, 1975.
김상태 외 5인, 『문학 교사용 지도서(하)』, 도서 출판 태성, 2006.
김영길, 「개화기 문학 저널리즘의 형성 과정 연구」, 『인문예술논집 vol.5』, 1989.
김영모, 「한국개화기 시가의 장르연구」, 서울대대학원 박사논문, 1987.
김영철, 「개화기의 시가연구」, 서울대학교대학원 석사논문, 1975.
김영철, 『한국 개화기 시가 연구』, 새문사, 2004.
김용직, 『개화기 문학의 재인식』, 지학사, 1987.
김용직, 『한국근대시사 上』, 학연사, 1986.
김윤식 · 김현, 『한국문학사』, 민음사, 1973.
김윤식 · 김현, 『한국문학사』, 민음사, 1997.
김윤식, 『근대한국문학연구』, 일지사, 1973.
김윤식, 『한국현대문학사』, 서울대학교출판부, 2003.
김은철, 『韓國 近代詩의 理解』, 文昌社, 1993.
김준오, 「개화기 시가 장르비평의 연구」, 『국어국문학(부산대)』 22집, 1984.
김학동 ,『한국 개화기 시가 연구 』, 시문학사, 1981.
김학동, 『한국개화기가사연구』, 시문학사, 1981.
문성숙, 「개화기의 문학담당계층」, 『국어국문학』94호, 1985.
박상천, 「사회의 변동과 문학의 변동」,『한국학론집』제 23보,1993.
박을수, 『한국시가문학사』, 아세아문화사, 1997.
박철희, 『한국시가의 지속과 변화연구』, 영남대 대학원, 1980 .
박철희, 『한국시사연구』, 일조각, 1980.
박철희, 『한국현대문학사』, 현대문학사, 1996.

백철, 이병기, 『국문학전사』, 신구문화사, 1957.
송민호, 「개화기의 근대문학적 성격」, 『문리논집』 7집, 1963.
송민호, 『일제하의 문화운동사』, 민중서관, 1970.
신현득, 「한국 근대아동문학 형성과정 연구 :최남선의 공적을 중심으로」, 『國文學論集』제17집, 檀國大學校國語國文學科, 2000.
양승준, 『한국현대시400선(1)』, 태학사, 1996.
역사학연구소, 『강좌 한국근현대사』, 불빛, 1997.
윤명구, 「개화기 문학 장르」, 『한국사학』2권, 1980.
윤병로, 『한국근현대문학사』, 명문당, 1991.
윤상용, 「개화기 시가 연구 『독립신문』시가와 『대한매일신보』를 중심으로」, 서원대교육대학원, 2001.
이규호, 『개화기 한시의 양식적 변모에 대한 연구: 국문시가와의 접합현상을 중심으로』, 서울대대학원, 1986.
이경자, 「『태서문예신보』의 정서적 계몽 연구」, 경북대학교 대학원 학위논문, 2006.
임종찬, 『개화기시가론』, 국학자료원, 1993.
장기주, 「"신체시" 쟝르개념의 재검토 :「海에게서 少年에게」를 대상으로」, 『목원어문학』 6, 목원대학교 국어교육과, 1987.
정연길, 「「청춘」,「학지광」기타 잡지 시단고」, 『한성대학 논문집』, 1980.
정우택, 「流暗 金輿濟의 生涯와 詩 硏究」, 성균관대학교 중앙도서관, 1994.
정한모, 「개화기 시가의 제문제」, 『한국학고』 6집, 1977.
정한모, 『한국현대시문학사』, 일지사, 1974.
조동일, 「개화기 문학의 개념과 특징」, 『국어국문학』 68·69합병호, 1975.
조동일, 『한국문학통사4』, 지식산업사, 2005.
조연현, 『한국현대문학사』, 인간사, 1964.
조지훈, 『반세기의 가요문화사』, 사상계, 11,8, 1963.
조지훈, 『한국현대시문학사』文學春秋 6, 1964.
조창환, 「「학지광」의 시문학사적 의의」, 『아주대학교 논문집』, 1986.
주근옥, 「신체시의 기호학적 연구」, 『대전대학교 대학원논문집』 2, 1999
최민국, 『동학음악과 용담유사 연구』,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1995.
최재목, 「최남선 『小年』誌의 '新大韓의 소년' 기획에 대하여』,『日本文化硏究』 제18집, 동아시아일본학회, 2006
홍문표, 『한국현대문화사Ⅰ』, 창조문학사, 2003.
홍일식, 『한국 개화기의 문학사상 연구』, 열화당, 1980.
황경모, 『중학교 교과서에 실린 「동심가」검토』, 경상대학교 사범대학, 19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