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학] 바다에 대한 문학 주제학적 연구-초월과 현실의 양면성을 중심으로

 1  [국문학] 바다에 대한 문학 주제학적 연구-초월과 현실의 양면성을 중심으로-1
 2  [국문학] 바다에 대한 문학 주제학적 연구-초월과 현실의 양면성을 중심으로-2
 3  [국문학] 바다에 대한 문학 주제학적 연구-초월과 현실의 양면성을 중심으로-3
 4  [국문학] 바다에 대한 문학 주제학적 연구-초월과 현실의 양면성을 중심으로-4
 5  [국문학] 바다에 대한 문학 주제학적 연구-초월과 현실의 양면성을 중심으로-5
 6  [국문학] 바다에 대한 문학 주제학적 연구-초월과 현실의 양면성을 중심으로-6
 7  [국문학] 바다에 대한 문학 주제학적 연구-초월과 현실의 양면성을 중심으로-7
 8  [국문학] 바다에 대한 문학 주제학적 연구-초월과 현실의 양면성을 중심으로-8
 9  [국문학] 바다에 대한 문학 주제학적 연구-초월과 현실의 양면성을 중심으로-9
 10  [국문학] 바다에 대한 문학 주제학적 연구-초월과 현실의 양면성을 중심으로-10
 11  [국문학] 바다에 대한 문학 주제학적 연구-초월과 현실의 양면성을 중심으로-11
 12  [국문학] 바다에 대한 문학 주제학적 연구-초월과 현실의 양면성을 중심으로-12
 13  [국문학] 바다에 대한 문학 주제학적 연구-초월과 현실의 양면성을 중심으로-13
 14  [국문학] 바다에 대한 문학 주제학적 연구-초월과 현실의 양면성을 중심으로-14
 15  [국문학] 바다에 대한 문학 주제학적 연구-초월과 현실의 양면성을 중심으로-15
 16  [국문학] 바다에 대한 문학 주제학적 연구-초월과 현실의 양면성을 중심으로-16
 17  [국문학] 바다에 대한 문학 주제학적 연구-초월과 현실의 양면성을 중심으로-17
 18  [국문학] 바다에 대한 문학 주제학적 연구-초월과 현실의 양면성을 중심으로-18
 19  [국문학] 바다에 대한 문학 주제학적 연구-초월과 현실의 양면성을 중심으로-19
 20  [국문학] 바다에 대한 문학 주제학적 연구-초월과 현실의 양면성을 중심으로-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국문학] 바다에 대한 문학 주제학적 연구-초월과 현실의 양면성을 중심으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1) 문제제기 및 연구방법
2) 바다의 상징성 및 고전문학에 나타난 바다의 전상

2. 본론: 시대에 따른 바다 이미지의 변전 양상
1) 고대~중세 작품에 나타난 바다의 이미지
2) 조선시대 작품에 나타난 바다의 이미지
(1) 초월적 이미지
(2) 현실적 이미지
3) 개화기~일제시대 작품에 나타난 바다의 이미지
4) 현대 작품에 나타난 바다의 이미지
(1) 현실적 이미지
(2) 초월적 이미지

3. 결론
본문내용
(2) 현실적 이미지

근대로 가까워 올수록 문학 작품에서 막연한 관념으로만 그려지던 바다가 현실감을 획득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조선시대의 바다는 어촌에서 한가하게 지내는 삶을 그린 어부가류에서 나타나듯 관념적인 여가의 공간이기도 하지만, 왜구의 침략으로 인해 전쟁의 공간으로 그려지기도 하고, 교류를 요구하는 서양 세력의 등장으로 바다 건너의 새로운 세력에 대한 관심이 커지는 등 현실적인 사건의 배경 공간으로 자리한다. 우리나라는 지리적으로 삼면에 바다여서 해양 진출이 용이했지만, 왜구의 침략과 중화사상으로 인한 중국 중심의 외교 정책 등 정치적 상황으로 조선조의 해양 활동에는 제약이 가해지기도 했다. 강력한 해금정책이 조선시대에 시행되었음은 앞서 말한 바와 같다. 이러한 역사ㆍ제도적 요인으로 인해 우리는 바다 건너 세력과 교류할 기회를 놓치는 결과를 낳게 된다. 그래서 우리 민족은 외견상 바다를 멀리한 것처럼 보이며, 특히 조선 시대에는 해양 세력이 약화되었다는 점이 부각된다. 하지만 해금정책으로 인해 바다에 접근하는 것이 제한되었던 것은 사실이나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항해에 관련된 기술들도 발전하였다. 이와 함께 바다에 대한 직접 경험을 통한 보다 현실적인 인식이 문학에서도 드러나게 된다. 이때 나타나는 바다는 용궁이 있고 용이 사는 신성한 바다도, 막연하게 넓고 깊은 관념으로서의 바다도 아니다. 바다에 대한 현실적인 인식이 나타나는 대표적인 경우는 바다가 전쟁, 침략의 공간으로 그려진 경우와, 바다에 표류한 경험을 서술한 표해록(漂海錄)류가 있다. 전쟁터로서의 바다가 그려진 박인로의 과, 표해록 중 대표적인 작품인 최부의 을 중심으로 조선시대의 현실적인 바다를 살펴보자.
고려 말에서 조선 초는 한국사에서 왜구가 가장 기승을 부렸던 때이다. 당시의 왜구는 단순한 해적수준을 넘어서 대 선단으로 이루어졌으며, 수가 수만 명에 이르기도 했다. 고려 말의 왜구는 도서지역과 해안가를 넘어서 내륙 깊숙한 곳까지도 노략질을 하였고, 이 결과 고려의 도서지역과 해안지역은 거의 무인지경이 되다시피 하였다. 󰡔고려사절요󰡕에는 왜구 때문에 ‘바다에서 50리, 혹은 30~40리 떨어진 곳이라야 백성들이 겨우 편안히 살 수 있다.’ 󰡔고려사절요󰡕권29, 공민왕 19, 5월.
는 기록까지 있을 정도였다. 공민왕 후반부터 수군과 관련된 전술과 무기 등을 적극적으로 개발하며 수군력을 강화하였고, 이성계의 조선 건국 이후에는 해양개척 정책도 적극적으로 병행하여 적극적인 바다로의 진출을 통해 제해권을 되찾게 된다. 부경대학교 해양문화연구소, 󰡔조선전기 해양개척과 대마도󰡕, 국학자료원, 2007, 15~24쪽.
고려 말에서 조선 전기에 수군 제도를 정비하고 강화하는 데 힘썼으며, 세종 1년에는 대마도 정벌에도 성공한다. 이후에도 왜인들에게 어장을 개방하는 등의 교린정책과 수군력 강화를 병행하는 등 끊임없이 해양 방어에 신경 썼다. 김기훈, 「조선전기 남해안 조어왜인과 해양 방어」, 󰡔조선전기 해양개척과 대마도󰡕, 국학자료원, 119~161쪽.

왜구의 침략에 대한 인상은 이후 임진왜란을 겪으며 더욱 강해졌고, 전쟁을 소재로 한 문
참고문헌
이승훈, 󰡔문학으로 읽는 문화상징사전󰡕, 푸른사상사, 2009.
J. C. Cooper, 󰡔그림으로 보는 세계문화 상징 사전󰡕, 까치, 1994.
한국문화 상징사전 편찬위원회 편, 󰡔韓國文化상징사전󰡕, 동아, 1992.
손종흠, 󰡔손종흠 교수의 다시 읽는 한국 신화󰡕, 휴먼앤북스, 2004.
주경철, 󰡔문명과 바다󰡕, 산처럼, 2009.
부경대학교 해양문화연구소, 󰡔조선전기 해양개척과 대마도󰡕, 국학자료원, 2007.
고혜령, 󰡔조선시대의 사상과 문화󰡕, 집문당, 2003.
최부 지음, 김찬순 옮김, 󰡔표해록: 조선 선비 중국을 표류하다󰡕, 보리, 2006.
최인훈, 󰡔광장󰡕, 문학과지성사, 2003
계용묵, 󰡔우리시대 실전 논술-계용묵 편󰡕, 학원출판공사, 1996, 147쪽.
맹용재 외, 󰡔디딤돌 문학 극ㆍ수필 문학편󰡕, 디딤돌, 2003.
교육 인적 자원부, 󰡔고등학교 국어(상)󰡕, 2002.
󰡔고려사절요󰡕권29.
이문재, 「‘온곳으로 돌아가는 길’과 돌아갈 수 없는 길」, 󰡔그대가 곁에 있어도 나는 그대가 그립다(류시화 시집)󰡕, 푸른숲, 1991.
이숭원, 「황홀하고 서늘한 삶의 춤」, 󰡔꽃의 고요(황동규 시집)󰡕, 문학과 지성사, 2006.
이해인, 「파도의 말」, 󰡔외딴 마을의 빈집이 되고 싶다󰡕, 열림원, 1999.
오정희, 「바람의 넋」, 󰡔바람의 넋󰡕, 문학과지성사, 1999.
우인수, 「조선 후기 해금정책의 내용과 성격」, 󰡔한ㆍ중ㆍ일의 해양인식과 해금󰡕, 동북아역사재단, 2007.
오택근, 「물의 원형상징 연구: 김춘수의 를 중심으로」, 󰡔우리어문연구󰡕12집, 우리어문학회, 1999.
최영호, 「한국학문학과 바다: 한국문학의 바다, 그 재발견의 의미」, 󰡔한국한문학연구󰡕43집, 한국한문학회, 2009.
양명학, 「한국 소설에 나타난 용과 용궁의 상상: 그 원형적 의미를 중심으로」, 󰡔울산어문논집󰡕3집, 울산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1987.
김쾌덕, 「청산별곡 내용과 상징성」, 󰡔한국문학논총󰡕11집, 한국문학회, 1990.
이경엽, 「어부가, 표해록, 어로요에 나타난 해양 인식 태도」, 󰡔한국 언어문학󰡕50집, 한국언어문학회, 2003.
임영정, 「조선전기 해금정책 시행의 배경」, 󰡔동국사학󰡕31집, 동국사학회, 1997.
노창수, 「전남 지역 해양문학의 뿌리와 그 현황」, 󰡔국어교육󰡕92집, 한국어교육학회, 1996.
손미영, 「현대시에 나타난 ‘바다이미지’ 고찰」, 󰡔우리문학연구󰡕20집, 우리문학회, 2006.
김대규, 「‘해에게서 소년에게’와 바다의 상징성」, 󰡔연세어문학󰡕6집,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1975.
강심호, 「김기림의 시와 수필에 나타난 ‘바다’ 이미지 고찰」, 󰡔한국근대문학연구󰡕3집, 한국근대문학회, 2002.
이승하, 「서정주의 」, 󰡔시와 사학󰡕16집, 시와사학사, 1994.
조재은, 「한국 현대 소설에 나타난 신화적 관습 연구」, 창원대학교 대학원, 2004.
이영아, 「오정희의 ‘바람의 넋’에 나타난 ‘가출’의 의미 연구」, 󰡔전농어문연구󰡕17집, 서울시립대학교, 2005.
http://www.redhairanne.com/pages/island_literature.html
http://blog.naver.com/ararikim/70008135444
http://blog.daum.net/mondogari/5955405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