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졸업][중어중국학] 영화와 소설에 나타난 중국여성

 1  [졸업][중어중국학] 영화와 소설에 나타난 중국여성-1
 2  [졸업][중어중국학] 영화와 소설에 나타난 중국여성-2
 3  [졸업][중어중국학] 영화와 소설에 나타난 중국여성-3
 4  [졸업][중어중국학] 영화와 소설에 나타난 중국여성-4
 5  [졸업][중어중국학] 영화와 소설에 나타난 중국여성-5
 6  [졸업][중어중국학] 영화와 소설에 나타난 중국여성-6
 7  [졸업][중어중국학] 영화와 소설에 나타난 중국여성-7
 8  [졸업][중어중국학] 영화와 소설에 나타난 중국여성-8
 9  [졸업][중어중국학] 영화와 소설에 나타난 중국여성-9
 10  [졸업][중어중국학] 영화와 소설에 나타난 중국여성-10
 11  [졸업][중어중국학] 영화와 소설에 나타난 중국여성-11
 12  [졸업][중어중국학] 영화와 소설에 나타난 중국여성-12
 13  [졸업][중어중국학] 영화와 소설에 나타난 중국여성-13
 14  [졸업][중어중국학] 영화와 소설에 나타난 중국여성-14
 15  [졸업][중어중국학] 영화와 소설에 나타난 중국여성-15
 16  [졸업][중어중국학] 영화와 소설에 나타난 중국여성-16
 17  [졸업][중어중국학] 영화와 소설에 나타난 중국여성-17
 18  [졸업][중어중국학] 영화와 소설에 나타난 중국여성-18
 19  [졸업][중어중국학] 영화와 소설에 나타난 중국여성-19
 20  [졸업][중어중국학] 영화와 소설에 나타난 중국여성-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 논문 > 인문계열
  • 2004.08.13
  • 36페이지 / hwp
  • 4,200원
  • 126원 (구매자료 3% 적립)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졸업][중어중국학] 영화와 소설에 나타난 중국여성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연구목적
2.연구방법 및 범위
3.張藝謀와 蘇童


Ⅱ. 영화와 소설에 나타난 중국여성
1.생명과 구원의 여성상
2.죽음과 징벌의 여성상
3.예속과 반역의 여성상



Ⅲ. 영화와 소설에 나타난 이중적 식민지 - 여성의 몸
1.傳宗接代의 도구인 여성의 몸
1)賣買婚
2)씨받이
2.생명과 욕망을 확장하는 여성의 몸
3.소비의 대상, 식민화 된 여성의 몸



Ⅳ. 결론

본문내용
Ⅰ. 서론
1.연구목적

최근 몇 년 전부터 우리나라에서는 여성의 목소리가 커지기 시작했다. 오늘날에는 정계에서도 많은 여성들이 자기 자리를 확고히 하면서 더 많은 여성으로 하여금 자부심을 느끼게 하고 있다.
그러나 ‘페미니즘’ ‘여성주의’라는 말이 사라져야 비로소 여성들의 투쟁의 임무는 끝나는 것이지만 여성대통령보다 흑인대통령이 먼저 나올 것이라는 예측이 유력한 만큼, 이에 관한 연구는 아직 끝이 없는 여정이다. 그것은 여성은 현존하는 마지막 식민지이기 때문이기도 하다.
중국은 사회주의 체제의 정책과 함께 비약적인 여성지위의 향상을 가져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찍이 ‘대약진 운동’(1958~1960)에서는 여성을 가사노동에서 해방시킨다는 미명아래 밥솥과 바늘을 여자로부터 회수했다. 이것은 남녀의 성별역할이 고정된 이래 최초로 행해진 성역할의 파괴였다. 그러나 중국여성들은 과연 낙원으로 입성하게 되었는가? 이것은 78년 이후 개혁개방을 시작한 이후에 나타난 중국여성들의 변화와 혼란은 중국의 여성해방이 진정한 것이었는지를 되새기게 한다.
張藝謀가 영화의 저본으로 사용한 것은 소설이고 모두 20년대 중국을 무대로 하고 있다. 그런데 시대배경을 20년대로 설정한 것은 의문이 남는다. 중국의 영화인들에게 족쇄로 작용하는 검열이라는 제도 때문에도 20년대라는 시대설정은 요긴한 방패일수도 있다. 그리고 이러한 시대배경은 외국인들에게 혹은 자국민에게 과거의 중국에 대한 향수를 불러일으킨다.
영화에서 張藝謀는 중국여성의 삶, 여성의 몸을 통해 이야기를 풀어나가고 있다. 그리고 그 수법은 과감하고 거침이 없다. 張藝謀는 이성이 광기로 변하는 것을 몸으로 체험한 사람이다. 그 혁명은 사회주의 혁명이라는 이론적인 배경에도 불구하고 매우 비이성적이었다. 그에게 있어서 이성보다는 몸이 오히려 더 진실을 말해준다고 여겨졌는지도 모른다. 영화에서 많은 순간에 여성들은 몸으로 말한다.
張藝謀의 영화에는 우리와 동시대를 살아간 중국여성들의 모습이 담겨져 있다. 그것은 우리 어머니나 언니들 그리고 우리자신의 모습과도 닮아있다. 영화 속의 중국여성들을 보면서 보다 객관적으로 우리자신의 모습을 파악하게 된다. 이로써 본고에서 張藝謀 영화 중 《홍등》에서 비춰진 여성상을 전제로 여성을 어떻게 그렸는지 연구하고자 한다.
참고문헌
▶국문문헌
클로디 브로이엘저 김주영 역. (1995). 하늘의 절반, 동녘
권택영. (1995) 영화와 소설속의 욕망이론. 믿음사
유달림. 강영매, 손정일, 정의숙, 하경심, 홍영림 驛. (2000) 중국의 성문화(상). 범우사,
태해숙. (2001) 탈식민주의 페미니즘. 여이연
김상환 홍준기 엮음. (2002) 라캉의 재탄생. 창작과 비평사.



▶외국문헌
注目(특집논란). (1988.4) 電影藝術
陳思和. (1990) 中國當代文學史敎程. 復但文學出版社.
陳墨. (1995) 張藝謀電影論. 中國電影出版社.
韓秀鳳, 曉海편집. (1996) 第五代導演叢書. 爲藝謨不爲稻梁謨. 湖南文藝出版社.