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졸업][중어중국학] 중국무술의 한국 유입과정

 1  [졸업][중어중국학] 중국무술의 한국 유입과정-1
 2  [졸업][중어중국학] 중국무술의 한국 유입과정-2
 3  [졸업][중어중국학] 중국무술의 한국 유입과정-3
 4  [졸업][중어중국학] 중국무술의 한국 유입과정-4
 5  [졸업][중어중국학] 중국무술의 한국 유입과정-5
 6  [졸업][중어중국학] 중국무술의 한국 유입과정-6
 7  [졸업][중어중국학] 중국무술의 한국 유입과정-7
 8  [졸업][중어중국학] 중국무술의 한국 유입과정-8
 9  [졸업][중어중국학] 중국무술의 한국 유입과정-9
 10  [졸업][중어중국학] 중국무술의 한국 유입과정-10
 11  [졸업][중어중국학] 중국무술의 한국 유입과정-11
 12  [졸업][중어중국학] 중국무술의 한국 유입과정-12
 13  [졸업][중어중국학] 중국무술의 한국 유입과정-13
 14  [졸업][중어중국학] 중국무술의 한국 유입과정-14
 15  [졸업][중어중국학] 중국무술의 한국 유입과정-1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 논문 > 인문계열
  • 2004.08.13
  • 15페이지 / hwp
  • 3,000원
  • 90원 (구매자료 3% 적립)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졸업][중어중국학] 중국무술의 한국 유입과정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1. 문제제기와 연구목적 1
2. 연구방법 2

Ⅱ. 중국무술이 한국에 전래된 시기구분 2
Ⅲ. 한국에 소개된 3대 문파 3
Ⅳ. 중국인들이 한국에 무술을 가르친 배경 3
Ⅴ. 중국무술 전래시작 시기 4

① 고씨 성의 사범과 여품삼의 전수 5
② 임품장의 전수 6
③ 소신당의 전수 7
④ 이덕강의 전수 7
⑤ 강경방의 전수 10
⑥ 노수전의 전수 10
⑦ 필서익의 전수 11
⑧ 기타 화교인들의 전수 11
⑨ 강용일의 전수 12
⑩ 한국협회창립 12
⑪ 전대성의 전수 12
⑫ 한국무술계의 춘추전국시대 12

Ⅵ. 한국에 전래한 중국무술의 문제점 13
Ⅶ. 결론 : 앞으로의 발전방향 15

참고문헌 15
본문내용
Ⅰ. 서 론

1. 문제제기와 연구목적

1970년대 한국은 무술의 전성기였다. 한국사람들은 무슨 한이 맺힌 것처럼 무던히도 무술을 많이 연습하고 사랑하였다. 지금도 그 시절을 살았던 사람들은 무술에 대한 열정만으로 열악한 환경을 극복하고 체육관에서 땀을 쏟았던 그때를 이야기하곤 한다. 그 당시 동네마다 많은 종류의 체육관들이 있었으며 세력다툼과 다른 체육관을 방문해 싸움을 거는 ‘도장청소’가 유행하기도 하였다.
당시는 태권도, 합기도, 유도 등 일본에서 유래한 무술뿐만이 아니라 중국무술이 비약적인 발전을 하였다. 이소룡 성룡 등 무술액션스타들의 힘을 입고 중국무술이 한국에 뿌리를 내리게 된 것이다.
한국에 중국무술이 전파된 것은 『무예도보통지』 조선 정조 때 이덕무(李德懋)․박제가(朴齊家) 등이 24반(般)의 무예를 그림을 그려 설명한 책. 임진왜란 이후 각종 무기(武技)의 필요성을 느꼈고, 또 한국의 무예가 사(射) 하나에 지나지 않아 선조 때 명나라 사람 척계광(戚繼光)의 《기효신서(紀效新書)》를 응용해 곤봉(棍棒)․장창(長槍) 등의 6기(技)를 만들었고 여기에 영조 때 죽장창(竹長槍)․예도(銳刀)․기창(旗槍) 등의 12기를 더해 18기를 만들었는데, 무예도보통지는 여기에 다시 기창(騎槍)․마상(馬上) 등의 6기를 더하여 24기를 도해한 책이다. 4권 4책. 인본. 규장각도서.

를 참고해보면 수백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겠으나 근거를 찾을 수 있는 본격적인 보급의 시작은 1949년 중국의 국민당 정부가 몰락하고 무술을 배운 중국인들이 한국 등 다른 나라로 이주해 가면서 그 곳에 쿵푸라는 무술을 심은 것이 사실상 중국무술의 본격적 보급의 시작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의외로 중국무술의 정착과정에 대해 아는 사람은 많지가 않다. 중국무술의 전래시기는 20세기에는 크게 두 개의 시기로 나눌 수 있다.
첫째는 1949년 중국의 국민당 정부의 몰락에 따른 중국인들의 대거유입시기이며 두 번째는 중국과 한국이 수교하고 자유왕래가 되면서 중국 본토의 무술을 배운 시기이다.
시대가 다른 만큼 중국무술의 전파형태도 많은 차이가 나고 내용도 어느 정도 차이가 있었다. 수교 이후 본토에서 무술을 배워 온 사람들은 수교 이전의 한국의 중국무술을 정통성이 결여 되어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나 또한 무술을 배우는 입장으로서 이 부분에 대해 연구를 해보고 싶다고 느꼈다. 그래서 본문에서는 중국무술의 한국유입과 그 변천과정에서 이 두 시기의 차이점을 살펴보고자 한다.

2. 연구방법

본 논문에서 사용된 연구방법은 문헌조사이다. 이 분야에
참고문헌
소신당. (1997). 北派螳螂嫡傳 雙風拳. 서울:서림문화사
소신당. (1986). 北派螳螂嫡傳 金剛拳. 서울:서림문화사
소신당. (1986). 北派螳螂嫡傳 梅花路. 서울:서림문화사
중 관. (2001). 당랑소번거권. 서울:서림문화사
중 관. (2001). 당랑투도권. 서울:서림문화사
한병철. (2003). 고수를 찾아서. 서울:영언문화사
송전륭지.(1994). 七星螳螂拳. 서울:내외출판사
송전륭지.(1998). 秘門螳螂拳. 서울:내외출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