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상력의철학] 바슐라르의 대지와 휴식에 대한 고찰

 1  [상상력의철학] 바슐라르의 대지와 휴식에 대한 고찰-1
 2  [상상력의철학] 바슐라르의 대지와 휴식에 대한 고찰-2
 3  [상상력의철학] 바슐라르의 대지와 휴식에 대한 고찰-3
 4  [상상력의철학] 바슐라르의 대지와 휴식에 대한 고찰-4
 5  [상상력의철학] 바슐라르의 대지와 휴식에 대한 고찰-5
 6  [상상력의철학] 바슐라르의 대지와 휴식에 대한 고찰-6
 7  [상상력의철학] 바슐라르의 대지와 휴식에 대한 고찰-7
 8  [상상력의철학] 바슐라르의 대지와 휴식에 대한 고찰-8
 9  [상상력의철학] 바슐라르의 대지와 휴식에 대한 고찰-9
 10  [상상력의철학] 바슐라르의 대지와 휴식에 대한 고찰-10
 11  [상상력의철학] 바슐라르의 대지와 휴식에 대한 고찰-11
 12  [상상력의철학] 바슐라르의 대지와 휴식에 대한 고찰-12
 13  [상상력의철학] 바슐라르의 대지와 휴식에 대한 고찰-1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상상력의철학] 바슐라르의 대지와 휴식에 대한 고찰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들어가며
2. 바슐라르와 상상력
1) 철학과 상상력의 만남
2) 물질에서 상상력으로
3. 대지: 휴식의 원천
1) 내밀한 공간으로서의 집
2) 동굴과 휴식
3) 문학 속에서 드러난 대지
4) 공간에 대한 애착 (Topophilia)
4. 현대인과 공간 의식
1) 현대인의 대지-아스팔트
2) 휴식이 부재하는 공간
5. 결론을 대신하며: 모성애를 향한 마음
본문내용

2) 동굴과 휴식

땅에서 볼 수 있는 모든 면모가 가운데 가장 원시적인 주거의 상징은 바로 동굴이라고 할 수 있다. 동굴은 출산, 재생, 연원, 중심들을 의미하는 자궁의 이미지를 내포 잭 트레시더, 김병화 옮김, 『상징이야기』, 도솔, 2007, p.162 참조.
하고 있다. 이처럼 동굴은 인간의 원시적인 거처이자 대지의 생명을 잉태하는 공간이라고 볼 수 있다.현대인에게 있어 동굴은 어떤 느낌을 주는가에 대해 잠시 생각해보자. 이미 무분별한 파괴로 인해 대지의 동굴은 대부분 사라졌다. 그 대신 현대인은 콘크리트로 지어진 공간에서 휴식을 취한다. 어머니 대지와 근본적으로 차단 된 현대인의 신新 주거공간은 어떠한 상상의 실마리를 제공할까?
바슐라르의 해석에 의하면 동굴은 인간에게 끊임없이 상상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은신처이다. 여기서 한번 삽화를 통해 익숙해진 동굴의 이미지를 떠올려 보자. 동굴에는 하나의 출입구 혹은 문이 존재한다. 이는 우리의 상상력이 보호 받고자 하는 것이지 갇혀버리는 것을 원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인간이 인류에 처음 나타나 ‘집’을 소유하고 있지 않을 당시, 인간은 본능적으로 동굴 안으로 들어와 휴식을 취하며 자연과의 소통 문제를 해결 하려 했다. 안전한 피난처를 얻음으로써 인간은 휴식을 취할 수 있게 되었고 인간의 특징인 사유의 능력을 개발 할 수 있게 되었다. 인류에게 있어 동굴은 대지가 제공한 완벽한 열려있는 세계였다.
그러나 현대 작가들의 작품에서 동굴의 이미지를 살펴보면 우리가 이해했던 자연의 동굴과는 다른 형태로 변질되었음을 발견할 수 있다. 소설가 박민규의 소설집 에서 단편에 묘사된 동굴은 어머니와 같이 따스한 대지가 아닌 차가운 벽돌로 이루어진 좁고 답답한 공간이다. 또한 김영하의 작품 에서는 주인공 이민수가 거주하였던 1.5평짜리 고시원과 퀴즈를 풀기 위한 미로로 설계된 건물이 묘사 된다. 공교롭게도 두 청춘이 거주하는 공간에서 창문은 존재하지 않는다. 여기서 현대인의 동굴은 휴식과 상상할 수 있는 공간으로서의 기능을 잃어버린 수동적 거주 공간일 뿐이다.
참고문헌
가스통 바슐라르, 정영란 옮김,『대지 그리고 휴식의 몽상』, 문학동네, 2009.
가스통 바슐라르, 김웅권 옮김,『몽상의 시학』, 동문선, 2007.
송태현, 『상상력의 위대한 모험가들』, 살림, 2005.
마가렛 미첼, 윤종혁 옮김,『바람과 함께 사라지다2』, 신원문화사, 2008.
잭 트레시더, 김병화 옮김,『상징이야기』, 도솔, 2007.
이주하,「바슐라르와 뒤랑의 상상력 재발견과 그 교육적 함의」,『교육철학』, 제34집, 2008.
정태귀, 이양하 수필의 토포필리아 연구」, 부경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