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역사와문화] 상상속의 고조선과 역사속의 고조선

 1  [한국의역사와문화] 상상속의 고조선과 역사속의 고조선-1
 2  [한국의역사와문화] 상상속의 고조선과 역사속의 고조선-2
 3  [한국의역사와문화] 상상속의 고조선과 역사속의 고조선-3
 4  [한국의역사와문화] 상상속의 고조선과 역사속의 고조선-4
 5  [한국의역사와문화] 상상속의 고조선과 역사속의 고조선-5
 6  [한국의역사와문화] 상상속의 고조선과 역사속의 고조선-6
 7  [한국의역사와문화] 상상속의 고조선과 역사속의 고조선-7
 8  [한국의역사와문화] 상상속의 고조선과 역사속의 고조선-8
 9  [한국의역사와문화] 상상속의 고조선과 역사속의 고조선-9
 10  [한국의역사와문화] 상상속의 고조선과 역사속의 고조선-10
 11  [한국의역사와문화] 상상속의 고조선과 역사속의 고조선-11
 12  [한국의역사와문화] 상상속의 고조선과 역사속의 고조선-12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의역사와문화] 상상속의 고조선과 역사속의 고조선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序 言
Ⅱ. 本 論
1. 고조선의 기원
2. 고조선의 위치
3. 고조선의 강역
4. 문헌속의 고조선
5. 고조선 사회와 지배체제
6. 고조선과 삼국시대의 비교
Ⅸ. 結 言
Ⅹ. 參考資料

본문내용
3. 고조선의 강역

고조선의 강역을 추정하기 위해 고고학적이니 발굴결과를 살펴보자. 먼서 요서지역 신석기시대의 유적에서 신단과 여신상이 발견되었다. 기원전 3500년경 신석기시대에도 이미 정치체를 짐작할 수 있는 유물이 발견된 것이다. 따라서 청동기시대에 들어선 기원전 2333년에 고조선이 비록 현재의 국가형태는 아니지만 국가로서 성립될 수 있는 요건은 갖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요서지역의 초기 청동기문화는 하가점 하층문화로 일컬어진다. 이 문화는 대개 난하 동쪽에서 요사 서쪽지역, 북으로는 서랍목륜하(西拉木倫河)에 이른다. 그리고 이 시기에는 이미 혈연적 구조가 연합된 부족연맹체사회로 진입했을 것으로 생각되며, 그 크기에 따라서는 초기 국 다단계로 진입했을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요하 동쪽의 요동반도나 한반도지역의 청동기 문화나 묘제를 보면 요서 지방의 문화와 교류한 흔적이 발견되고는 있지만 묘제에 있어서 큰 차이점이 있다.
따라서 고조선 문화라 추측되는 지역은 지금의 요서지방에 산재해 있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그리고 요동과 한반도 지역에는 고아시아족인 진국(辰國)이 고조선과 유사한 형태의 국가를 유지하고 있었다.

4. 문헌속의 고조선

고조선에 대한 기록은 한국과 중국의 각종 역사서와 지리서에서 찾아볼 수 있다.
먼저, 한국의 사료들 중 가장 대표적인 것으로 『삼국유사』를 들 수 있다. 삼국유사는 고려 충렬왕(忠烈王) 때의 보각국사(普覺國師) 일연(一然:1206∼89)이 신라·고구려·백제 3국의 유사(遺事)를 모아서 지은 역사서이다. ‘기이편’ 중 고조선부터 위만조선까지의 기사가 고조선에 대한 내용이다. 삼국유사 ‘기이편’ 중 고조선의 내용을 살펴보겠다.

『위서』에 이런 말이 있다. 지금으로부터 2천 년 전에 단군왕검이 계셔 아사달-경에는 무엽산이라 했고, 또는 백악이라고도 했는데, 백주에 있다. 혹 개성 동쪽에 있다고도 하는데 지금의 백악궁이 바로 이것이다-에 도읍을 정하고 새로 나라를 세워 조선이라 불렀는데 요와 같은 때였다고 한다. 일연, 『삼국유사』, 솔, 1997, pp. 64.


삼국유사와 함께 『제왕운기』도 고조선을 기록한 대표적인 사료로 꼽힌다. 제왕운기는 1287년(충렬왕 13) 이승휴(李承休)가 7언시와 5언시로 지은 역사책으로 중국과 한국의
참고문헌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 23』, 탐구당, 1978.
김원룡, 『한민족의 형성과 선사시대 한국학입문』, 학술원, 1983.
노태돈, 『한국인의 기원과 국가의 형성 한국사특강』, 서울대출판부, 1990.
민족문화추진회,『국역 동사강목』, 민문고, 1967.
사마천, 『사기열전 하』, 을유문화사, 1999.
성문출판사 편집부,『국역 동국통감』, 세종대왕 기념 사업회, 1996.
송호정, 『고조선의 국가적 성격』, 한국역사연구회, 역사와현실, 1994.
, 『단군, 만들어진 신화』, 산처럼, 2002.
, 『한국 고대사 속의 고조선사』, 푸른역사, 2003.
유엠 부찐, 『고조선 역사 ·고고학적개요』, 소나무, 1990.
윤내현, 『고조선의 국가구조와 그 성격』, 단군학회, 단군학연구, 2003.
, 『고조선 우리의 미래가 보인다』, 민음사, 1995.
, 『고조선의 종교와 사회성격』, 단군학회, 단군학연구, 2005.
일연, 『삼국유사』, 솔, 1997.
정재서,『산해경』, 민음사, 1996.
진수,『정사 삼국지 위서2』, 민음사, 2007.
허종외, 『고조선 력사개관』, 도서출판중심, 2001.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