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시가론] 중국 기행가사

 1  [고전시가론] 중국 기행가사-1
 2  [고전시가론] 중국 기행가사-2
 3  [고전시가론] 중국 기행가사-3
 4  [고전시가론] 중국 기행가사-4
 5  [고전시가론] 중국 기행가사-5
 6  [고전시가론] 중국 기행가사-6
 7  [고전시가론] 중국 기행가사-7
 8  [고전시가론] 중국 기행가사-8
 9  [고전시가론] 중국 기행가사-9
 10  [고전시가론] 중국 기행가사-10
 11  [고전시가론] 중국 기행가사-11
 12  [고전시가론] 중국 기행가사-12
 13  [고전시가론] 중국 기행가사-1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고전시가론] 중국 기행가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연행별곡(燕行別曲)

1-1. 지은이와 연대

1-2. 작품 구조와 노정

2. 서정별곡(西征別曲)

2-1. 지은이와 연대

2-2. 작품 구조와 노정

3. 서행록(西行錄)

3-1. 작품 구조와 내용

3-2. 이국에서의 자아 인식

4. 병인연행가

4-1. 작가

4-2. 노정 및 구성

4-3. 세계 인식 태도

5. 북행가

5-1. 작가

5-2. 노정 및 구성

5-3. 내용적 특징

Ⅲ. 결론

참고자료
본문내용
2. 서정별곡(西征別曲)

이 작품은 조선조 사대부가 남긴 몇 편 되지 않은 한글 가사 문학중의 하나로 학계에 보고되어 대단히 주목을 끈 연행가사이다. 과 마찬가지로 이상보가 주석해서 내 놓았고, 이 필사본은 박 권의 후손이 필사해 놓은 것을 빌어다가 그것을 보고 다시 필사해서 박씨 집에 대대로 간직해 오던 것이다.

2-1. 지은이와 연대

이 작품의 지은이에 관하여는 이 작품의 제목 밑에 두 줄로 “갑술년 동지사 서장관 박판서 휘 권 호 귀암” 이라 기록하고 있다. 이것으로 미루어보면 지은이는 숙종 20년(1964) 11월 2일에 사조하고 동지사행의 서장관으로 연경을 다녀와서 그때의 사실을 기록한 귀암(歸菴) 박 권(朴權:1658~1715)임을 알 수 있다. 박 권은 동왕 20년(1694)에 갑술사옥이 일어나 하룻밤 사이에 정권이 바뀌어 병조좌랑으로 벼슬길에 되돌아오게 되었다. 그리고 이 해에 동지사행의 서장관으로 발탁되기에 이른다. 이후의 박 권은 병조참판, 이조판서, 예조판서, 형조판서 등의 벼슬을 두루 지냈으며 동왕 37년(1711)에는 동지사행의 부사로 중국을 다시 다녀온다. 그 이듬해에는 백두산 목석비를 세우는 중대한 외교업무 수행의 조선측 대표로 참여하여 외교가로서의 면모도 갖추고 있었다.

2-2. 작품 구조와 노정

운 한양에서부터 송도, 평양과 요동 땅을 거쳐 연경에 이르기까지 3세기 전의 풍경이 유려한 시정과 풍부한 고사를 섞어가며 표출하고 있다. 일기로 못 다 표현한 서정을 가사체로 빌어 쓴 것이다.
이 작품은 서사에서 박 권이 유배에서 풀린 후 섬호에 모옥(띠풀로 엮은 집)을 짓고 낚시를 일삼다가 동지사의 서장관이 되어 친구 친척들의 송별을 받으면서 출발하게 됨을 노래하고 있으며, 본사에서는 연경까지 가는 도중의 노정과 견문에 감회를 삽입하면서 노래하고, 결사에서는 황조의 궁궐만 남아있지 한관의 위의는 찾아볼 수 없다는 것
참고문헌
임기중, 『연행가사연구』, 아세아문화사, 2001.
공혜정, “에 나타난 홍순학의 사대부의식과 대외관 연구”, 부산:부경대 대학원, 2003.
엄태웅, “연행 체험에 나타난 기억의 변모 양상-과 를 중심으로-”, 『한문학보』Vol.21, 2009.
유정선, “19세기 중국 사행가사에 반영된 기행체험과 이국취향-과 를 중심으로-”, 『한국고전연구』17집, 2008.
이병철, “병인연행가 연구”, 서울:경희대 대학원, 2001.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