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경제] 중국의 경제 전망과 한국의 대응(비관론)

 1  [국제경제] 중국의 경제 전망과 한국의 대응(비관론)-1
 2  [국제경제] 중국의 경제 전망과 한국의 대응(비관론)-2
 3  [국제경제] 중국의 경제 전망과 한국의 대응(비관론)-3
 4  [국제경제] 중국의 경제 전망과 한국의 대응(비관론)-4
 5  [국제경제] 중국의 경제 전망과 한국의 대응(비관론)-5
 6  [국제경제] 중국의 경제 전망과 한국의 대응(비관론)-6
 7  [국제경제] 중국의 경제 전망과 한국의 대응(비관론)-7
 8  [국제경제] 중국의 경제 전망과 한국의 대응(비관론)-8
 9  [국제경제] 중국의 경제 전망과 한국의 대응(비관론)-9
 10  [국제경제] 중국의 경제 전망과 한국의 대응(비관론)-10
 11  [국제경제] 중국의 경제 전망과 한국의 대응(비관론)-11
 12  [국제경제] 중국의 경제 전망과 한국의 대응(비관론)-12
 13  [국제경제] 중국의 경제 전망과 한국의 대응(비관론)-13
 14  [국제경제] 중국의 경제 전망과 한국의 대응(비관론)-14
 15  [국제경제] 중국의 경제 전망과 한국의 대응(비관론)-15
 16  [국제경제] 중국의 경제 전망과 한국의 대응(비관론)-16
 17  [국제경제] 중국의 경제 전망과 한국의 대응(비관론)-17
 18  [국제경제] 중국의 경제 전망과 한국의 대응(비관론)-18
 19  [국제경제] 중국의 경제 전망과 한국의 대응(비관론)-19
 20  [국제경제] 중국의 경제 전망과 한국의 대응(비관론)-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국제경제] 중국의 경제 전망과 한국의 대응(비관론)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 중국 개황 및 현황

Ⅱ 본 론
1. 실물자산의 거품
1) 과잉 유동성
(1) 무역 흑자와 외환보유고
(2) 과잉 투자
(3) 정부 정책
2) 중국의 부동산
3) 중국 실물자산 거품에 대한 거시적 접근
(1) 일본과의 유사점
(2) 앞으로의 전망

2. 중국 수출경제의 한계
1) 금융위기에 의해 흔들리는 미국의 경제적 입지

2) 중국의 가격 경쟁력 약화 요소
(1) 위안화 절상
(2) 노동자 임금상승

3) 대체국가들의 부상
(1) 인도

4) 내수시장 전환과 그에 따른 장애요인
(1) 내수주도형과 수출주도형의 개념
(2) 장애요인
(1) 높은 저축률
(2) 빈부격차
(3) 기축통화

3. 사회불안
1) 정치적 불안 - 구글은 왜 중국 사업을 철수 했나?
(1) 일당 독재의 현실
(2) 일당 독재의 부작용
1) 부정부패
2) 언론탄압과 각종 지표의 불투명성
3) 정경유착

2) 실업문제

3) 소수민족과의 갈등
(1) 위구르
(2) 티베트

4. 환경문제로 대표되는 국제적 갈등
1) 미룰 수 없는 숙제 지구 온난화
(1) 온난화 위기
(2) 세계기후협약
(3) 앞으로의 과제
(4) 중국의 대응

2) 녹색패권과 중국
(1) 미국과 EU의 환경정책
(2) 무역분쟁
(3) 국제사회의 리더십

3) 중국이 CO2를 줄이기 힘든 이유
(1) 중국의 1차 에너지 소비와 구성
(2) 왜 이렇게 중국은 많은 석탄을 쓰는가?
(3) 미래 중국의 에너지 사용전망

5. 한국의 대응
1) 대중국 투자 규모 축소 및 신중한 투자 요망
2) 중국의 역할을 대신 할 수 있는 나라로의 무역구조 다변화 및 생산거점 이전
3) 한국의 중국시장 진출 전망

Ⅲ. 결론 : 중국경제의 비관적 전망과 한국의 대응

Ⅳ. 기타 통계 및 참고문헌ㆍ자료
본문내용
2.2. 노동자 임금상승
임금상승의 원인으로는 먼저 일을 할 수 있는 인력의 부족을 꼽을수 있다.
그 원인으로는 급속한 경제성장에 따른 인력 수요 급증, 낮은 임금수준으로 인한 농촌 노동력 유입 감소, 서비스업종의 발달로 인한 인력 유출, 학력 수준 상승 및 1가구 1자녀 정책의 효과 등이 지적되고 있다. 인구 대국인 중국에서 노동력 부족 사태는 급속한 경제발전으로 생산 현장에서 근로자 수요는 크게 늘어난 반면, 최근 20년 동안 강력한 󰡐1가구1자녀󰡑 산아정책으로 젊은 노동자들이 상대적으로 부족해진 탓이 크다. 중국에서도 고령화 현상이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가난한 내륙 농촌지역에서 중국 산업지대로 옮겨온 청년들은 󰡐몸값󰡑이 크게 올라 임금 인상, 작업환경 개선 요구는 물론 노동쟁의까지 주도하며 협상력을 갖기 시작했다. 이들은 또 더 높은 임금과 좋은 근로환경을 찾아 상하이 등 창장(長江) 삼각주 지역으로 이동하고, 일부는 물가가 싸면서 스트레스가 덜한 고향으로 되돌아오기도 한다고 IHT는 전했다.

중국의 평균임금(연간누계)증가 추이 중국 국가통계국



3. 대체국가들의 부상
3.1인도
세계 지도를 혁명적으로 바꿔가고 있는 친디아. 중국과 인도를 묶는 이 통합적 개념의 새로운 단어는 떠오르는 중국을 막을 수 있는 새로운 국가들중 하나에 인도가 포함된다는 이야기이기도 하다. 앞으로 중국에게 라이벌이 될 수도 있는 인도를 비교함으로써 중국의 고쳐야할 점을 알아보자.
세계경제포럼은 2007년 국가경쟁력 종합 비교에서 중국을 34위, 인도를 48위에 올렸다. 국제경제 전문가들은 현재 인도의 성장 단계를 중국보다 대체로 10년 정도 뒤진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늦은 개방 시기 외 인도가 뒤 처진 이유를 체제 측면에서 보자. 중국은 등소평 집권 후 개방을 통해 정부 주도로 성장과 사회적 변화를 모두 수용했지만 인도는 성장은 환영하되 사회 변화엔 둔감했다. 인도 사회의 폐쇄성을 상징하며 아직도 남아 있는 계급(카스트) 제도, 종교ㆍ민족간 대립은 글로벌화의 걸림돌이 돼온 대표적 사례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