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예술사] 조선후기 남종화법의 유입과 발전양상

 1  [한국예술사] 조선후기 남종화법의 유입과 발전양상-1
 2  [한국예술사] 조선후기 남종화법의 유입과 발전양상-2
 3  [한국예술사] 조선후기 남종화법의 유입과 발전양상-3
 4  [한국예술사] 조선후기 남종화법의 유입과 발전양상-4
 5  [한국예술사] 조선후기 남종화법의 유입과 발전양상-5
 6  [한국예술사] 조선후기 남종화법의 유입과 발전양상-6
 7  [한국예술사] 조선후기 남종화법의 유입과 발전양상-7
 8  [한국예술사] 조선후기 남종화법의 유입과 발전양상-8
 9  [한국예술사] 조선후기 남종화법의 유입과 발전양상-9
 10  [한국예술사] 조선후기 남종화법의 유입과 발전양상-10
 11  [한국예술사] 조선후기 남종화법의 유입과 발전양상-11
 12  [한국예술사] 조선후기 남종화법의 유입과 발전양상-12
 13  [한국예술사] 조선후기 남종화법의 유입과 발전양상-13
 14  [한국예술사] 조선후기 남종화법의 유입과 발전양상-14
 15  [한국예술사] 조선후기 남종화법의 유입과 발전양상-15
 16  [한국예술사] 조선후기 남종화법의 유입과 발전양상-16
 17  [한국예술사] 조선후기 남종화법의 유입과 발전양상-17
 18  [한국예술사] 조선후기 남종화법의 유입과 발전양상-18
 19  [한국예술사] 조선후기 남종화법의 유입과 발전양상-19
 20  [한국예술사] 조선후기 남종화법의 유입과 발전양상-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예술사] 조선후기 남종화법의 유입과 발전양상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머리말
2. 조선후기 남종화풍의
유행과 시대상황

3.남종화법의 발전

참고문헌

본문내용
*17세기 초 지나친 관념성을 버리고 대상을
사실적으로 표현하고자 하는 사생정신 대두

-앞시대 회화는 곽희파화풍과 절파화풍의 수용으로 대상을 과장하거나 거칠게 묘사함으로
사실성이 결여,기묘한 경치만을 그려 기이함과 거짓으로 꾸며졌다는 평가

-예전에는 소외 되었던 작은 물건, 하층민들 의 다양한 삶이 그림에 등장

->회화 대상의 폭이 문인에서부터 다양화
이러한 변화를 시도한 사람이 윤두서

-주로 선으로 그림을 그림

김정희는 신운이 부족하다고 평가

-공재가 절파화풍의 폐해를 경계하여 일부러
선을 위주로 했기 때문

-새로운 양식을 수용하는 초창기 단계가 갖
는 미숙함에서 나온 문제

남종화를 받아들이는 과정에서 절파풍의
표현 혼재의 문제

-명문가의 후손. 하지만 몇 번의 큰 사건들로
인하여 삶에 많은 굴곡이 있었다.

*심사정의 화풍을 이루는 두 가지 커다란 줄기

-조선 중기에 유행했던 절파화풍과
조선 후기에 전래된 남종화풍이다.

*초기(1720~1750년경)

-남종화법을 이해하고 체득하게 되는 시기

*중기(1750~1760년경)

-남종화법과 북종화법 중 하나인 절파화풍을
결합시킨 소위 절충화풍이 시도되는 시기

이후 남*북종의 여러 화법이 서로 조화를 이루며 나타나는 후기(1760~1769년)는 심사정의 양식이 진정으로 완성되는 시기


-사상적 기반은 남종문인화의 문인정신 하지만 당시 시대 정신으로 확대 되었던 진경에 대한 이해도 산수화 배경에 큰 비중

-작품을 제작함에 있어서 그는 구도와 배치
를 가장 중요시. 기본적으로는 사선이나 대
각선 구도에 의한 공간감의 효율적인 표현.

-화풍상의 변화를 거치는 동안에도 기본적인
성격으로서 일관


참고문헌
참고문헌

이내옥, 2006,『인물로 보는 한국미술사 - 한국의 미술가』, (주) 사회평론, p.95
김민지, 2006,「朝鮮後期 繪畵의 南宗畵風 硏究」, 홍익대학교 대학원
이예성, 「현재 심사정 연구」, 일지사
지순임, 1997『강세황 산수화의 예술적 가치』, 한국미학예술학회
변영섭, 1990『미술사와 비평: 한국회화사와 비평-강세황을 중심으로-』, 한국미술사교육 학회
박현정, 2004, 장승업 산수화 계보 연구, 계명대 교육대학원
박태이, 2003, 오원 장승업의 생애와 예술정신, 군산대 대학원
윤선경, 2003, 오원 장승업의 회화연구, 대구가톨릭대학교
박신혜, 2003, 오원 장승업의 회화에 대한 연구, 우석대학교
김계진, 2009, 소치 허련의 문인화 연구, 원광대 동양학대학원
김상엽, 2003, 소치 허련(1808-1893)의 생애와 회화활동 연구, 성균관대학교
김상엽, 2008, 소치 허련(조선의 화가들 1) (조선 남종화의 마지막 불꽃), 돌베개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