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학] 호흡장애증후군(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아동간호 사례연구

 1  [간호학] 호흡장애증후군(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아동간호 사례연구-1
 2  [간호학] 호흡장애증후군(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아동간호 사례연구-2
 3  [간호학] 호흡장애증후군(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아동간호 사례연구-3
 4  [간호학] 호흡장애증후군(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아동간호 사례연구-4
 5  [간호학] 호흡장애증후군(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아동간호 사례연구-5
 6  [간호학] 호흡장애증후군(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아동간호 사례연구-6
 7  [간호학] 호흡장애증후군(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아동간호 사례연구-7
 8  [간호학] 호흡장애증후군(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아동간호 사례연구-8
 9  [간호학] 호흡장애증후군(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아동간호 사례연구-9
 10  [간호학] 호흡장애증후군(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아동간호 사례연구-10
 11  [간호학] 호흡장애증후군(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아동간호 사례연구-11
 12  [간호학] 호흡장애증후군(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아동간호 사례연구-12
 13  [간호학] 호흡장애증후군(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아동간호 사례연구-13
 14  [간호학] 호흡장애증후군(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아동간호 사례연구-14
 15  [간호학] 호흡장애증후군(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아동간호 사례연구-15
 16  [간호학] 호흡장애증후군(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아동간호 사례연구-16
 17  [간호학] 호흡장애증후군(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아동간호 사례연구-1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간호학] 호흡장애증후군(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아동간호 사례연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대상자 선정 이유

2. 사례연구의 필요성

3. 입원 동기

4. 의학적 진단

5. 약물
본문내용
4. ASD (Atrial Septal Defects 심방중격결손)
심방 사이에 비정상적인 개구부가 있어 압력이 높은 좌심에서 압력이 낮은 우심으로 혈류가 흐른다.

①종류
*일차공 결손: 중격의 하부 끝에 결손이 생긴 것으로 승모판 결손과 함께 올 수 있다.
*이차공 결손: 중격의 중심부에 결손이 생긴 것.
*동정맥 결손: 상대정맥과 우심방의 접합부위에 결손이 생긴 것

②병태생리
좌심방의 압력이 우심방의 압력보다 약간 높아 혈류는 좌심에서 우심으로 흐르고, 우심에 산소포화된 혈류가 증가된다. 압력차이는 적지만 폐혈관 저항이 낮고 우심방은 좌심방보다 팽창력이 좋기 때문에 좌심에서 우심으로 유입되는 혈류의 양은 많다. 그러나 이 정도의 혈류 증가는 우심실이 견딜 수 있는 수준으로 심실중격결손의 경우보다 가해지는 압력이 낮기 때문이다. 우심방과 심실의 크기가 커지기는 하지만 심부전은 잘 일어나지 않는다. 결손을 교정하지 않고 성인이 되었을 때는 폐혈관 변성이 온다.

③임상 증상
증상이 없을 수도 있고, 울혈성 심부전으로 발전될 수도 있다. 특징적인 심잡음이 있다. 심방의 비대와 전도 섬유의 확장으로 인해 심방성 부정맥의 가능성이 있으며 몇 년 후에 지속적인 폐혈류 증가로 폐혈관 폐쇄질환과 색전증의 가능성이 있다.

④외과적 치료
중간이상- 큰 결손은 Dacron Patch로 막아준다. 학교에 들어가기 전에 인공심폐기를 이용한 개심술을 시행한다. 정맥동결손은 Pactch를 해주고 Baffle 을 해주어 우심방으로 들어오는 잘못된 혈류를 좌심방으로 가도록 해준다. 1형 심방중격결손은 교정을 요구하나 승모판을 바꾸는 일은 거의 없다.

⑤ 내과적 치료 2형 심방중격결손은 심도자술 기구를 이용하여 페쇄할 수 있다.

⑥예후 1% 미만의 낮은 와과적 사망률을 기록하고 있다.

⑅간호과정
▸간호사례
변00는 27주 6일된 여아로 10월 15일 12시 38분 출생당시 T-lie position을 취하고 있었으며, C/sec을 시행하여 출생하였다. 산모 박00씨는 혈액형 A+, 1-0-0-1(M)의 출산력을 가지고 있었으며, DM, hypertension이나 PROM 등과 같은 병력은 가지고 있지 않았으며, 복용중인 약물도 없었다. 출생당시 여아는 혈액형 A+, 두위 26.2cm, 흉위 22.3cm 키 40cm, 몸무게 1160g, V/S은 T/P/R = 36.3℃/ 100회/분/ 67회/분, BP(H)= 49mmHg, BP(L)= 27mmHg이였다. 출생 당시 activity: poor(1), crying: week(1), skin: cyanosis(0), reflex: poor(0), BP(1)로 1분 Apgar score는 3점이었으며, 5분 후 Apgar score는 activity: poor(1), crying: week(1), skin: acrocyanosis(1), reflex: poor(0), BP(2)으로 총 5점, 10분 Apgar score는 7점이었다. 특히 호흡과 관련해 breathing sound가 rhonchi하였고, chest expansion이 poor하며, chest retraction이 보였다. 대상자가 NICU 도착할 당시 activity가 poor하며, crying이 없었고, 전신 cyanosis를 보였으며 SpO2 30~40%를 보여 mask ambu bagging을 시행하였으나 SpO2가 호전되지 않아 intubation과 Ventilator, O2 mask를 시행하였으나, SpO2가 90% 이상 유지가 어려워서 진단 검사를 시행하였다. 검사 결과, 혈액검사에서는 pH 7.338, pO2 115.1, pCO2 35.6이 나왔으며, Chest X-ray에서 RDS- Grade 3 진단을 받았고, 입원 당일 surfactant를 주입하였다.

입원일인 10월 15일 전반적으로 multiple bruise가 있으며 ill appearance한 상태를 보였다. chest가 coarse하며 murmur가 들렸으며, retraction이 있다. 이로 인 intubation과 ventilation (SIMV, FiO2 0.6, RR50, PIP 20, PEEP 5.0)이 시행되었으며, INC와 warmer care가 적용되었다. 대상자의 호흡계 문제의 완화를 위해 ambroxol과 aminophylline 등이 투약되었다.

사정일인 10월 25일 대상자의 V/S은 T/P/R = 36.8℃/ 150회/분/ 50회/분 이었다. 대상자는 10월 19일과 21일 neurosono검사를 시행하였으며, 10월 18일 ECHO가 시행되었으며, ventilator는 입원일인 10월 15일 이래로 적용되고 있었다. warmer care, chest percussion& back massage, suction 간호가 수행되어졌고, 특히 oral& nasal suction을 했을 때에는 분비물이 묽고 다량 나왔으며, Endotracheal suction시 다량의 분비물이 진하게 나왔다. Intubation과 ventilator(Back up CPAP, FiO2: 0.225) 를 시행하고 있었으며 SpO2는 90%이상을 유지하고 있었으나, chest에서 약간의 coarse하며, Rhonchi sound가 있었으며, 혈액검사를 시행한 결과 pH 7.395, pO2 36.4, pCO2 40.1로 나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