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문학]한국문학 갈래, 한국문학 시간성, 한국문학 연구, 한국문학 해외번역, 한국문학과 해방문학, 한국문학과 리얼리즘, 한국문학과 투쟁사상

 1  [한국문학]한국문학 갈래, 한국문학 시간성, 한국문학 연구, 한국문학 해외번역, 한국문학과 해방문학, 한국문학과 리얼리즘, 한국문학과 투쟁사상-1
 2  [한국문학]한국문학 갈래, 한국문학 시간성, 한국문학 연구, 한국문학 해외번역, 한국문학과 해방문학, 한국문학과 리얼리즘, 한국문학과 투쟁사상-2
 3  [한국문학]한국문학 갈래, 한국문학 시간성, 한국문학 연구, 한국문학 해외번역, 한국문학과 해방문학, 한국문학과 리얼리즘, 한국문학과 투쟁사상-3
 4  [한국문학]한국문학 갈래, 한국문학 시간성, 한국문학 연구, 한국문학 해외번역, 한국문학과 해방문학, 한국문학과 리얼리즘, 한국문학과 투쟁사상-4
 5  [한국문학]한국문학 갈래, 한국문학 시간성, 한국문학 연구, 한국문학 해외번역, 한국문학과 해방문학, 한국문학과 리얼리즘, 한국문학과 투쟁사상-5
 6  [한국문학]한국문학 갈래, 한국문학 시간성, 한국문학 연구, 한국문학 해외번역, 한국문학과 해방문학, 한국문학과 리얼리즘, 한국문학과 투쟁사상-6
 7  [한국문학]한국문학 갈래, 한국문학 시간성, 한국문학 연구, 한국문학 해외번역, 한국문학과 해방문학, 한국문학과 리얼리즘, 한국문학과 투쟁사상-7
 8  [한국문학]한국문학 갈래, 한국문학 시간성, 한국문학 연구, 한국문학 해외번역, 한국문학과 해방문학, 한국문학과 리얼리즘, 한국문학과 투쟁사상-8
 9  [한국문학]한국문학 갈래, 한국문학 시간성, 한국문학 연구, 한국문학 해외번역, 한국문학과 해방문학, 한국문학과 리얼리즘, 한국문학과 투쟁사상-9
 10  [한국문학]한국문학 갈래, 한국문학 시간성, 한국문학 연구, 한국문학 해외번역, 한국문학과 해방문학, 한국문학과 리얼리즘, 한국문학과 투쟁사상-10
 11  [한국문학]한국문학 갈래, 한국문학 시간성, 한국문학 연구, 한국문학 해외번역, 한국문학과 해방문학, 한국문학과 리얼리즘, 한국문학과 투쟁사상-11
 12  [한국문학]한국문학 갈래, 한국문학 시간성, 한국문학 연구, 한국문학 해외번역, 한국문학과 해방문학, 한국문학과 리얼리즘, 한국문학과 투쟁사상-12
 13  [한국문학]한국문학 갈래, 한국문학 시간성, 한국문학 연구, 한국문학 해외번역, 한국문학과 해방문학, 한국문학과 리얼리즘, 한국문학과 투쟁사상-13
 14  [한국문학]한국문학 갈래, 한국문학 시간성, 한국문학 연구, 한국문학 해외번역, 한국문학과 해방문학, 한국문학과 리얼리즘, 한국문학과 투쟁사상-14
 15  [한국문학]한국문학 갈래, 한국문학 시간성, 한국문학 연구, 한국문학 해외번역, 한국문학과 해방문학, 한국문학과 리얼리즘, 한국문학과 투쟁사상-15
 16  [한국문학]한국문학 갈래, 한국문학 시간성, 한국문학 연구, 한국문학 해외번역, 한국문학과 해방문학, 한국문학과 리얼리즘, 한국문학과 투쟁사상-1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문학]한국문학 갈래, 한국문학 시간성, 한국문학 연구, 한국문학 해외번역, 한국문학과 해방문학, 한국문학과 리얼리즘, 한국문학과 투쟁사상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한국문학의 갈래
1. 시가․가사․문필의 3갈래설
2. 시․소설․수필의 3갈래설
3. 시가․가사․소설․희곡의 4갈래설
4. 서정․서사․극의 3갈래설
5. 서정․교술․서사․희곡의 4갈래설
6. 노래문학․이야기문학․놀이문학․기타 문학의 4갈래설

Ⅱ. 한국문학의 시간성

Ⅲ. 한국문학의 연구
1. 북한
2. 남한
3. 외국

Ⅳ. 한국문학의 해외번역

Ⅴ. 한국문학과 해방문학

Ⅵ. 한국문학과 리얼리즘
1. 4.19가 우리문학에서 가지는 의미
2. 1930년대 문학에 대한, 리얼리즘의 논란
3. 4.19 이후 문학의 창작이 제대로 되지 못한 것에 관하여
4. 60년대의 리얼리즘

Ⅶ. 한국문학과 투쟁사상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한국문학의 갈래

1. 시가․가사․문필의 3갈래설

趙潤濟는 에서 시가․산문 2분설을 택하였으나, 에서는 「歌辭文學도 朝鮮文學의 특수성을 잊어버리고 그냥 형식론에 끌리어 詩니 혹은 歌니 하고 규정하여 버릴 수는 없을 것」이라 전제하고, 가사는 형식상 시가이지만 내용상으로는 문필이기 때문에 독립된 갈래로 보아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시가․가사․문필이라는 3분설이 나옴으로써 갈래론이 비로소 형식론을 떠나 새로운 국면에 접어들게 되었다. 그러나 조윤제의 3분설은 형식과 내용이라는 두 가지의 구분 기준을 적용함으로써 교차분류가 되고 말았고, 시가와 문필의 개념규정이 모호함으로써 그 外延 또한 불분명하게 되었다.

2. 시․소설․수필의 3갈래설

李能雨는 가사를 수필로 보고서 시․소설․수필이라는 3분설을 내세웠다. 이능우가 말하는 수필은 시․소설․희곡 등 픽션적인 것을 제외한 문예작품을 총칭하는 것으로, 일기․기행․편지문․만필 등과 가사를 뜻한다. 이처럼 수필 갈래를 설정한 것은 조윤제의 체계를 계승 변형한 것인데, 희곡을 제외한 것은 큰 결함이라 하겠다. 한편, 이능우는 에서 수필 대신 이라는 갈래를 설정하였다.

3. 시가․가사․소설․희곡의 4갈래설

조윤제는 「문필」을 다시 소설과 희곡으로 구분하여 국문학의 큰 갈래를 시가․가사․소설․희곡으로 나누었다(4). 이 네 갈래를 4대부문이라 하고, 부수적인 부문으로 평론과 잡문을 들었다. 개념이 모호하던 「문필」을 소설․희곡․평론․잡문으로 나누어 보다 명확히 했으나, 소설과 희곡은 「4대부문」에, 평론과 잡문은 「부수부문」에 소속시켜 다른 차원으로 취급한 점이 특이하다. 「부수부문」이라 했지만, 문학인 이상 어디에 소속시키거나 아니면 독립된 갈래로 인정했어야 보다 포괄적인 갈래체계가 되었을 것이다. 그리고 「가사」라는 큰 갈래가 작은 갈래 자체가 되고, 「소설」이란 큰 갈래 속에 「소설」이란 작은 갈래가 포함된다는 것은 갈래론의 근본 뜻에 어긋나고 있다.

4. 서정․서사․극의 3갈래설

장덕순은 큰 갈래와 작은 갈래의 개념을 명확히 인식하고 서구의 갈래론을 원용하여 서정적 양식, 서사적 양식, 극적 양식으로 구분하여 국문학 갈래를 체계화시키려 하였다.
첫째, 서정적 양식 : 고대가요․향가․고려가요․시조․가사(주관적 서정적 가사․잡가
둘째, 서사적 양식 : 설화(신화․민담․전설)․소설(전기적 소설․서사시)․수필(일기․내간․기행․잡필․관적 서사적 가사)
참고문헌
․ 김흥규, 한국문학의 이해, 민음사, 1998
․ 김윤식·김우종 외 34인, 한국현대문학사, 현대문학, 2002
․ 공종구, 한국 현대 문학론, 국학자료원, 1997
․ 송희복, 한국문학사론연구, 문예 출판사, 1995
․ 오세영 외, 한국 문학사의 쟁점, 집문당, 1992
․ 조동일, 문학연구의 방법, 지식산업사, 1980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