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시가론] 악장 전반적인 이론과 작품분석 -`정도전의 악장`, `용비어천가`, `월인천강지곡`

 1  [고전시가론] 악장 전반적인 이론과 작품분석 -`정도전의 악장`, `용비어천가`, `월인천강지곡`-1
 2  [고전시가론] 악장 전반적인 이론과 작품분석 -`정도전의 악장`, `용비어천가`, `월인천강지곡`-2
 3  [고전시가론] 악장 전반적인 이론과 작품분석 -`정도전의 악장`, `용비어천가`, `월인천강지곡`-3
 4  [고전시가론] 악장 전반적인 이론과 작품분석 -`정도전의 악장`, `용비어천가`, `월인천강지곡`-4
 5  [고전시가론] 악장 전반적인 이론과 작품분석 -`정도전의 악장`, `용비어천가`, `월인천강지곡`-5
 6  [고전시가론] 악장 전반적인 이론과 작품분석 -`정도전의 악장`, `용비어천가`, `월인천강지곡`-6
 7  [고전시가론] 악장 전반적인 이론과 작품분석 -`정도전의 악장`, `용비어천가`, `월인천강지곡`-7
 8  [고전시가론] 악장 전반적인 이론과 작품분석 -`정도전의 악장`, `용비어천가`, `월인천강지곡`-8
 9  [고전시가론] 악장 전반적인 이론과 작품분석 -`정도전의 악장`, `용비어천가`, `월인천강지곡`-9
 10  [고전시가론] 악장 전반적인 이론과 작품분석 -`정도전의 악장`, `용비어천가`, `월인천강지곡`-10
 11  [고전시가론] 악장 전반적인 이론과 작품분석 -`정도전의 악장`, `용비어천가`, `월인천강지곡`-11
 12  [고전시가론] 악장 전반적인 이론과 작품분석 -`정도전의 악장`, `용비어천가`, `월인천강지곡`-12
 13  [고전시가론] 악장 전반적인 이론과 작품분석 -`정도전의 악장`, `용비어천가`, `월인천강지곡`-13
 14  [고전시가론] 악장 전반적인 이론과 작품분석 -`정도전의 악장`, `용비어천가`, `월인천강지곡`-14
 15  [고전시가론] 악장 전반적인 이론과 작품분석 -`정도전의 악장`, `용비어천가`, `월인천강지곡`-15
 16  [고전시가론] 악장 전반적인 이론과 작품분석 -`정도전의 악장`, `용비어천가`, `월인천강지곡`-16
 17  [고전시가론] 악장 전반적인 이론과 작품분석 -`정도전의 악장`, `용비어천가`, `월인천강지곡`-17
 18  [고전시가론] 악장 전반적인 이론과 작품분석 -`정도전의 악장`, `용비어천가`, `월인천강지곡`-18
 19  [고전시가론] 악장 전반적인 이론과 작품분석 -`정도전의 악장`, `용비어천가`, `월인천강지곡`-19
 20  [고전시가론] 악장 전반적인 이론과 작품분석 -`정도전의 악장`, `용비어천가`, `월인천강지곡`-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고전시가론] 악장 전반적인 이론과 작품분석 -`정도전의 악장`, `용비어천가`, `월인천강지곡`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악장 이론 정리
1. 악장의 개념과 명칭
2. 악장의 형성과정과 그 전개
3. 악장의 장르 범주
4. 악장의 유형과 형식
5. 악장의 문학사적 의의
Ⅲ. 악장 작품 분석
1. 작품 분석
2. 용비어천가
3. 월인천강지곡
Ⅳ. 나오는 말
※ 참고 문헌
본문내용

『삼봉집』에서『삼봉집』의 한문악장이 원악장이라면 『세종실록』은 수정본 한문악장이고, 『악학궤범』은 이를 다시 현토화한 노래라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낙구가 붙는 연장체 형식의 현토화 과정은 또 다른 모습을 보인다. 원사에 없던 낙구(落句)를 붙여 한시체와는 다른 성격의 노래를 만들어 내고 있기 때문이다. 「문덕곡」의 ‘개언로(開言路)장’은 7언 6구체의 원사를 다음과 같이 현토악장화하고 있다.

法宮有嚴深九重(법궁유엄심구증)
一日萬機粉其叢(일일만기분기총)
君王要得民情通(군왕요득민정통)
大開路達四聰(대개로달사총)
開言路君不見(개언로군불견)
我后之德與舜興(아후지덕여순홍)
-

『태조실록 권4』
法宮이 有嚴深九重 시니
일日萬機粉其叢샷다
君王이 要得民情通야
大開路達四聰시다.
開言路君不見가
我后之德이 與舜興샷다.
아으 我后之德이 與舜興샷다.

『악학궤범』

원사와 현토악장 사이에 보이는 가장 큰 형식적 차이는 현토악장의 마지막에 보이는 낙구 ‘아으 我后之德이 與舜興샷다.’이다. 감탄사 ‘아으’를 붙여 앞 행을 다시 한 번 더 반복하는 식으로 끝을 맺는 낙구형 현토화 방식은 나머지 장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나고「횡살문」에서도 원사에 없는 낙구를 덧붙이면서 노래를 끝내고 있다. 이러한 현토화 방식은 우리말 노래의 형식적 전통을 수용한 것임을 알 수 있는데, 종결의 기능을 지닌 낙구의 형식적 전통은 멀리 사뇌가계 향가로부터 속요를 거쳐 시조로 이어지는 오랜 역사를 지니고 있다.



山河千里國(산하천리국)에 / 佳氣鬱蔥蔥(가기울홀홀)샷다
金殿九重(금전구중)에 / 明日月(명일월)시니
群臣千載(군신천재)예 / 會雲龍(회운룡)이샷다
熙熙庶俗(희희서속) / 春臺上(춘대상)이어
濟濟群生(제제군생) / 壽域中(수역중)이샷다
「봉황음」1장 『악학궤범』
단연체 현토악장의 현토화 방식은 비교적 단순하다. 원사의 한시체 형식을 변용시키기 않고 그대로 토만 달아서 우리말 노래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들 단연체 현토악장이 원사의 한시체 형식을 그대로 따른다는 점에서 그 형식적 전통이 우리말 노래와 무관할 것으로 생각하기 쉽다. 그러나「봉황음」이 음악과 함께 가창되었음은 매구 끝에 우리말 토가 붙여져 있다는 점으로 추측할 수 있는데, 여기에 사용된 토는 한문에는 필요하지 않지만 기존의 악곡에 맞추기 위해 사용되었을 것이라 생각된다. 더군다나「봉황음」이 고려의「처용가」악곡에 맞추어 부르도록 개작된 개찬가사이기 때문이다. 즉, 단연체 현토악장 역시 단연체 고려 속요의 형식을 수용한 우리말 노래의 형식적 전통 속에서 이루어진 노래인 것이다.
현토악장이 이처럼 국문시가의 형식적 전통을 적극적으로 수용할 수 있었던 것은 현토악장이 모두 우리말로 부르는 향악곡에 얹어 부르기 위해 제작된 노래가사이기 때문이었고, 우리말을 문자로 기록할 수 있는 훈민정음이 창작되었기 때문에 가능할 수 있었던 일이었다.

3) 국문악장(國文樂章)
국문악장은 각종 연회에서 주로 향악에 얹어 부르는 노래의 우리말 가사이다. 조동일은
참고문헌
구사회, 「조선 전기 악장에 대한 고찰」, 『東岳語文論集』, 동악어문학회, 1986.
구사회, 「한국악장문학연구」,『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동국대 1991.
구사회, 「한국 악장문학의 이원적 흐름」, 『한국어문학연구』, Vol. 38, 2001.12.
김광순 외, 『국문학개론』, 새문사, 2003.
김동준, 『한국문학원론』, 태학사, 1989.
김세종, 「세종대 의 창제배경과 음악화 과정 연구」, 『한국고시가문학회』, 2009.
김흥규, 『한국문학의 이해』, 민음사, 1986.
성기옥 외, 『한국문학개론』, 새문사, 1992.
성기옥ㆍ손종흠, 『고전시가론』,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2006.
신영명ㆍ김명준, 「인가 인가」, 국제어문학회, 2005.
원선희, 「조선조 창작 별곡체 악장연구」,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이선자, 「용비어천가의 장르적 성격」, 『성균관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88.
임종욱, 『우리의 고전시가 1』, 나무 아래 사람, 2002.
조규익, 「조선조 악장의 통시적 의미」,『국제어문』, 국제어문학회, 2003.
조규익, 『고전시가의 변이와 지속』, 학고방, 2006.
조규익, 『조선초기아송문학연구』, 태학사, 1986.
조규익, 『조선조 악장의 문예 미학』, 민속원, 2005.
조동일ㆍ서종문, 『국문학사』,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1992.
조동일 외, 『한국문학강의』, 길벗, 1994.
조동일, 『한국문학통사2』, 지식산업사, 2005.
조평환, 「樂章의 形態史的 考察」, 『중원어문학』권5, 1989.
조평환, 『조선 초기의 악장과 불교사상』, 한국시가연구, 2000.
조흥욱, 「정도전의 악장에 대한 일고찰」, 『어문학논총』, Vol.18, 1999.
조흥욱, 「의 내용 특징 연구」, 『어문학논총』, Vol.23, 2004.
한국문학개론편찬위원회, 『한국문학개론』, 혜진서관, 1991, p.166.
한국문화예술위원회, 『100년의 문학용어 사전』, 도서출판 아시아, 2008.
,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