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시가론] 고산의 `어부사시사` 분석

 1  [고전시가론] 고산의 `어부사시사` 분석-1
 2  [고전시가론] 고산의 `어부사시사` 분석-2
 3  [고전시가론] 고산의 `어부사시사` 분석-3
 4  [고전시가론] 고산의 `어부사시사` 분석-4
 5  [고전시가론] 고산의 `어부사시사` 분석-5
 6  [고전시가론] 고산의 `어부사시사` 분석-6
 7  [고전시가론] 고산의 `어부사시사` 분석-7
 8  [고전시가론] 고산의 `어부사시사` 분석-8
 9  [고전시가론] 고산의 `어부사시사` 분석-9
 10  [고전시가론] 고산의 `어부사시사` 분석-10
 11  [고전시가론] 고산의 `어부사시사` 분석-11
 12  [고전시가론] 고산의 `어부사시사` 분석-12
 13  [고전시가론] 고산의 `어부사시사` 분석-13
 14  [고전시가론] 고산의 `어부사시사` 분석-14
 15  [고전시가론] 고산의 `어부사시사` 분석-15
 16  [고전시가론] 고산의 `어부사시사` 분석-16
 17  [고전시가론] 고산의 `어부사시사` 분석-17
 18  [고전시가론] 고산의 `어부사시사` 분석-18
 19  [고전시가론] 고산의 `어부사시사` 분석-19
 20  [고전시가론] 고산의 `어부사시사` 분석-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고전시가론] 고산의 `어부사시사` 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윤선도의 삶
1. 시대상황 및 생애
2. 유배와 은거생활

Ⅲ. 윤선도의 자연관
1. 순수 자연관
2. 유가적 자연관
3. 도가적 자연관

Ⅳ. 작품론
1. 창작배경
2. 분석
3. 의 자연관
4. 후대수용양상 및 갈래 논란

Ⅴ. 결론

* 참고문헌
* 부록 전편
본문내용
ㄷ. 색감(色感)의 이미지 사용
고산은 또 색감의 이미지를 사용해서 내용 전달에 큰 상승적 효과를 창출하기도 했다.무심(無心)한 백구(白駒)는 내 좃는가 제 좃는가
홍슈(紅樹) 쳥강(淸江)이 슬믜디도 아니한다
흰 이슬 빋견는데 발근 달 도다온다
무심한 백구를 통해 사회현실과 동떨어진 상태의 어부의 순수한 정신세계를 보여주고 있으며, 붉은 색으로 물들인 나무와 맑은 가을의 강물을 통해 풍류생활을 흥미진진함을 보여줌과 동시에 홍(紅)-청(淸)의 색감 대비를 통해 신선경(神仙景)같은 모습을 그리고 있고, 흰 이슬과 붉은 달의 색의 대비를 통해 순결함과 화려함의 복합적 요소를 형상화하여 회화적 여백미를 느끼게 하고 내용적으로는 희망차고 활기 있는 강호생활을 그렸다.

2.2.2 우리말 시어의 사용

여튼 갣 고기들히 먼 소해 다 갇나니
돋다라라 돋다라라
져근덛(잠깐동안) 날 됴흔 제 바탕의 나가보쟈
지국총 지국총 어사와
밋기 곧다오면(미끼가 좋으면) 굴근 고기 믄다 한다
농암의 어부가는 후렴구와 '…라'라는 우리말 토씨를 제외하면 한시(漢詩)의 칠언절구(七言絶句) 그대로이지만, 고산의 어부사시사에서는 순우리말을 구사하기 위해 노력한 흔적을 쉽게 발견할 수 있다.
이러한 국어의 사용은 시가 포함하고 있는 뜻을 구체화하는 기능을 가진다.

물외(物外)예 조흔 일이 어부 생애(漁夫生涯) 아니러냐
배떠라 배떠라
어옹(漁翁)을 욷디 마라 그림마다 그렷더라
지국총 지국총 어사와
사시흥(四時興)이 한가지나 츄강(秋江)이 읃듬이라

내일(來日)이 또 업스랴 봄밤이 몃덛새리
배브텨라 배브텨라
낫대로 막대삼고 시비(柴扉)를 차자보쟈
지국총 지국총 어사와
어부 생애(漁父生涯)는 이렁구러 디낼로다

'그림마다 그렷더라'라고 하는 순우리말을 사용하여 어부의 생애에 관해 직설을 피함으로 문학적 수준을 높이려고 하는 동시에 독자(혹은 청자)의 머릿속에 구체적인 어부의 형상을 떠올리게 해주고 있으며, 또 '이렁구러'라는 시어를 통해 풍류적인 삶을 구체적으로 상상할 수 있게 한다. 이 밖에도 다음과 같은 표현을 사용하여 작품 전반에 걸쳐 시의를 보다 구체적으로 형상화한 것을 볼 수 있다.
날이 덥도다 믈 우희 고기 떳다
동풍(東風)이 건듣 부니 믉결이 고이 닌다
마람 닙희 바람나니 봉창( 窓)이 서늘코야
주대 다사리고 뱃밥을 박앋나냐
이처럼 고산은 어부사시사에서 주로 순우리말을 사용함으로써, 국문 경시 풍조가 만연하던 시기에 국어 애호(國語愛好)의 실천자였으며 동시에 운율적 효과를 높이고 시의(詩意)를 구체적으로 형상화했다.

2.2.3 음수율(音數律)의 파격(破格)

참고문헌

조윤제, 『국문학사』, 동국문화사, 1949.
이재수, 『윤고산 연구』, 학우사, 1955.
최진원, 『국문학과 자연』,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1981.
홍재휴, , 새문사, 1991.
박준규. 『유배지에서 부르는 노래』. 서울: 중앙 M&B, 1997.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2권』, 지식산업사, 1997.
문영오, 『고산문학상론』, 태학사, 2001


윤영옥, 연구, 민족문화논총2.3합집,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82.
김대행, 어부사시사의 외연과 내포, 고산연구 1권, 고산연구회, 1987.
성기옥, 고산시가에 나타난 자연인식의 기본 틀,『고산연구』,고산연구회, 1987.
최은옥, 윤고산 시가 연구-도가사상을 중심으로, 동덕여대 석사학위논문, 1988
임형택, 「16세기 광․라 지역의 사림층과 송순의 시세계」, 1991.
오창호, 에 나타난 도가사상 고찰, 청람어문교육 5권, 청람어문교육학회, 1991.
김신중, 의 공간과 시간, 한국고전문학입문, 집문당, 1997.
김헌구, 윤선도의 연구 :후렴·구조·장르를 중심으로, 2001.
상욱, 고산 윤선도 문학의 자연관과 시간관 연구, 2002.6.
전일환, 고산 윤선도 국문시가의 수사미학, 고시가연구 통권 제11집, 한국고시가문학회, 2003.2.
신은경, 자아탐구의 旅程으로서의 「산중신곡」과 「어부사시사」 :공간의식을 중심으로, 한국문학이론 과 비평 7권 4호 제21집, 2003. 12.
이종범, 고산 윤선도의 출처관과 정론, 대구사학 제74집, 대구사학회, 2004.
오선주 ,고산 윤선도의 삶과 문학 소고, 시조학논총 제23집, 한국시조학회, 2005.
한창훈, 16세기 재지사림 강호시조의 양상과 전개, 시조학논총 22, 한국시조학회, 2005.
성무경, 고산 윤선도 시가의 가집 수용 양상과 그 의미, 반교어문연구 제 21호, 반교어문학회, 2006.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