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국문학] 향가의 후대적 수용

 1  [국어국문학] 향가의 후대적 수용-1
 2  [국어국문학] 향가의 후대적 수용-2
 3  [국어국문학] 향가의 후대적 수용-3
 4  [국어국문학] 향가의 후대적 수용-4
 5  [국어국문학] 향가의 후대적 수용-5
 6  [국어국문학] 향가의 후대적 수용-6
 7  [국어국문학] 향가의 후대적 수용-7
 8  [국어국문학] 향가의 후대적 수용-8
 9  [국어국문학] 향가의 후대적 수용-9
 10  [국어국문학] 향가의 후대적 수용-10
 11  [국어국문학] 향가의 후대적 수용-11
 12  [국어국문학] 향가의 후대적 수용-12
 13  [국어국문학] 향가의 후대적 수용-13
 14  [국어국문학] 향가의 후대적 수용-14
 15  [국어국문학] 향가의 후대적 수용-15
 16  [국어국문학] 향가의 후대적 수용-16
 17  [국어국문학] 향가의 후대적 수용-17
 18  [국어국문학] 향가의 후대적 수용-18
 19  [국어국문학] 향가의 후대적 수용-19
 20  [국어국문학] 향가의 후대적 수용-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국어국문학] 향가의 후대적 수용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향가에 대한 고찰
1. 향가의 명칭과 특징
2. 향가의 형식과 율격
3. 향가의 작품세계

Ⅲ. 향가의 후대적 전승 및 수용
1. 향가의 범위와 소멸 기준
2. 향가계열 고려가요의 작품

Ⅳ. 향가의 현대적 수용
1. 현대시로의 변용
2. 문화콘텐츠로의 변용

Ⅴ. 결론

Ⅵ. 참고자료
본문내용
이 노래는 혜심의 로 제목에 ‘사뇌가’라는 말이 있어 먼저 흥미를 갖게 된다. 한시로는 오언 고시라 볼 수 있으나, 5언을 1행으로 보면 10행이 된다는 사실과 관련해 볼 때 본래 작품은 10행으로 된 향가인데 그것을 한시로 옮긴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는 내용상 ‘4행+4행+2행’의 3단락으로 분단되는 10구체 향가의 전형적 형식을 갖추고 있어 궁중 악곡의 가사로 편입되지 않은 경우에는 이 시기까지도 사뇌가의 형식 혹은 악곡이 유지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단 2단락과 3단락 사이에 당연히 와야 할 감탄사가 한역시 상으로는 나타나지 않는데, 이는 오언시로 번역하다보니 감탄사까지 고려할 여유가 없었던 것이 아닐까 생각된다.

4)

世人之臂長復長 세상 사람 팔은 길고도 길다
東推西推無歇辰 동서로 밀면서 쉴 때가 없네
山僧之臂短復短 산승의 팔뚝은 짧고도 짧아
平生不解推何人 평생토록 남에게 뻗을 줄도 모른다
太凡世上臂短者 세상 모든 팔이 짧은 사람은
人皆白首長如新 사람마다 평범하면서도 항상 새롭다
而況今昨始相識 더구나 어제 오늘 처음 알고서도
肯顧林下窮且貧 이 林下의 가난한 이 보살피려 하네
我臂旣長未推人 내 팔이 길었더라도 남 밀칠 줄 모르리니
人臂推我誠無因 남의 팔 나를 밀치니 참으로 이유 없네
鳴呼安得吾臂化爲千尺與萬尺 아아 어떻게 내 팔이 천 척 만 척 되어
坐使四海之內皆吾親 앉아서 천하 사람 내 친구 만들 수 있으랴

이 노래가 우리 말로 지어졌다는 사실은 앞에서 살펴본 혜심의 의 전례와 관련지어 볼 때 향가로서 먼저 지어졌던 것으로 볼 수 있어 흥미롭다. 즉 먼저 우리말로 지어 불렀다가 뒤에 한시 형태로 번역한 것이다. 또한 이 노래는 7언으로 10행이 이어진 후 감탄사가 나오고, 11언 9언이 이어진다.
의 경우 와는 달리 감탄사까지 한역하고 있는데, 이는 7언으로 10행이 이어진 후 마지막 2행에 이르러서는 7언을 고집하지 않음으로 해서 감탄사까지 포용할 수 있었던 것이 아닐까 생각된다.
등의 작품이 한역된 채로만 전하는 것은 이와 같이 향찰이 한문화되는 추세로 인해 우리말로 지어졌다가 바로 한역되었기 때문이 아니었을까 추정할 수 있다. 과 같은 그 이전의 작품들은 조선초기까지 구전되다가 한글 창제 이후에야 기록되었다고 보기는 힘들고 의 경우에서 보듯이 신라의 향찰에서 변화된 모습이기는 하나 향찰로 기록되어 전했을 가능성이 충분하다. 민간에서 전승되던 당시에는 구전되었을 가능성이 크지만 문인층 작자에 의해 궁중 악곡으로 편입되면서 부터는 당연히 가사의 기록 단계를 거쳤을 것이다.
무신정권기 직후까지 향가가 향유되었다는 사실은 나 와 같은 작품을 통해 확인되지만, 이는 승려 작가들 사이에서의 일이고 문인들의 경우는 보다 빠른 시기에 향가를 짓지 않게 되었을 것이다. 앞에서 살폈던 것처럼 의종조의 작품인 이후로 문인층의 향가 작품은 보이지 않는데 그 가운데서도 예종의 와 정서의 은 민간에 전승되던 향가 형식의 노래를 차용한 것으로 생각되므로 문인층에서 순수한 창작가요로서 향가의 맥은 이른 시기에 사라졌다고 할 수 있다.
소멸기 향가는 향찰표기의 양상이 신라시대 향가와 달라졌을 뿐만 아니라 10구체 향가의 3분단되는 형식이 4분단되는 것과 같이 단락구조에 변동이 오면서 그 길이가 점차로 늘어나고 감탄사의 위치에 변동이 나타나는 등의 변화를 보였는데, 이 가운데 에서 나타난 ‘아소님하’라는 감탄사의 존재나 단락구조의 변화 및 행수의 증가는 고려가요 가운데 향가 계열 작품의 형식을 판별하는 중요한 기준이 된다.

2. 향가계열 고려가요의 작품

참고문헌
■ 논문&단행본
김광순 외, 『한국문학개론』, 경인문화사, 2009
김선기,『옛적 노래의 새풀이』, 보성문화사, 1993
김학성․권두한, 『신편 고전시가론』, 새문사, 2007, p.106
박경주, 「계승적 관점에서의 향가-고려가요 형식 고찰」, 『관악어문연구』Vol.17,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1992
박경주, 「고려시대 향가 전승과 소멸 양상에 관한 고찰」, 『한국시가연구』Vol.4, 한국시가학회, 1998
박노준, 「향가 (鄕歌) , 그 현대시로의 변용 - 헌화가 (獻花歌), 서동요 (薯動謠)를 대상으로」, 『한국시가연구』, Vol.5, 한국시가학회, 1999,
박노준, 『향가여요의 정서와 변용』, 태학사, 2001
원용문, 「향가 명칭에 대한 논의」, 『청람어문학』, Vol.14, 청람어문교육학회, 1995
조동일, 『한국문학통사1』, 지식산업사, 2005
이윤선, 「향가와 고려의 인물 변이 양상과 그 의미」, 『문학과 언어』Vol.31, 2009

■ 참고사이트
http://mybox.happycampus.com/tngusdlek99/718808
http://www.seelotus.com/frame_g.htm
http://blog.daum.net/ed-kwn/8914318
http://www.seelotus.com/frame_g.htm
http://blog.dreamwiz.com/kssu85/12485687
http://cafe.naver.com/munhakac.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62
SBS 서동요 홈페이지
(http://wizard2.sbs.co.kr/resource/template/contents/tpl_iframetype.jsp?vProgId=1000162&vVodId=V0000318149&vMenuId=1002804 )
http://blog.naver.com/i1bthere?Redirect=Log&logNo=40003312622
http://blog.naver.com/jisimy/10016631816
울산 처용 월드뮤직페스티벌, 축제 인사말(http://www.cheoyong.or.kr)

■ 인터넷 기사
불교신문(2390호/2008.1월1일자), 신년특집, 임나정 기자
(http://www.templestay.com/newsevent/temple_news_view.asp?cat_seq=7&news_seq=85022&page=21’, / )
모아진(2004), ‘창작가곡의 밤’으로 제 109회 정기연주회를 갖는 서울시합창단, 박지혜 기자
(http://olv.moazine.com/rviewer/index.asp)
데일리안 (2008.11.07), 처용가-황조가 대중가요로 다시 탄생, 이충재 기자.
(http://www.dailian.co.kr/news/news_view.htm?id=133066)
한국경제(2000,06.20) ‘테크노 세상’에 온 월명스님..연출가 이윤택 신작 뮤지컬 ‘도솔가’ 공연, 장규호 기자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15&aid=0000246431)
익산시민뉴스, 초등생이 펼치는 ‘서동요’ 마당극
(http://blog.naver.com/uritown?Redirect=Log&logNo=60025157808)
연합뉴스(2009.05.20), [스테이지2010] 처용의 이야기 , 강일중 기자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POD&mid=tv&oid=001&aid=0002669101)
국립극장 기자단, 처용의 노래 : 처용설화의 재해석, 진실한 사랑의 노래 - 세계 국립극장 페스티벌 국내우수작, 김주희 기자
(http://blog.naver.com/nbkmm/10069270904)
연합뉴스(2010.03.11), 울산 처용문화제 ‘처용 비보이’ 공연, 서진발 기자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3163365)
스포츠칸&경향닷컴(2007.02.11), 주몽‘男男커플’시청자도 축복, 강석봉 기자
(http://sports.khan.co.kr/news/sk_index.html?cat=view&art_id=200702112128423&sec_id=540201)
연합뉴스(2006.09.15), 울산 대표축제 처용문화제 개막, 서진발 기자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POD&mid=tv&oid=130&aid=0000011154)
코카 대학생 블로그 기자단, 귀신쫒는 남자, 처용설화, 임동국 기자
(http://blog.naver.com/kocca2008?Redirect=Log&logNo=60058164772&vid=0)

*각주에서 인터넷 기사는 주소를 표시하지 않고 참고문헌에서만 표시했습니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