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경영] 바트와 폭락과 아시아 금융위기

 1  [국제경영] 바트와 폭락과 아시아 금융위기-1
 2  [국제경영] 바트와 폭락과 아시아 금융위기-2
 3  [국제경영] 바트와 폭락과 아시아 금융위기-3
 4  [국제경영] 바트와 폭락과 아시아 금융위기-4
 5  [국제경영] 바트와 폭락과 아시아 금융위기-5
 6  [국제경영] 바트와 폭락과 아시아 금융위기-6
 7  [국제경영] 바트와 폭락과 아시아 금융위기-7
 8  [국제경영] 바트와 폭락과 아시아 금융위기-8
 9  [국제경영] 바트와 폭락과 아시아 금융위기-9
 10  [국제경영] 바트와 폭락과 아시아 금융위기-10
 11  [국제경영] 바트와 폭락과 아시아 금융위기-11
 12  [국제경영] 바트와 폭락과 아시아 금융위기-12
 13  [국제경영] 바트와 폭락과 아시아 금융위기-13
 14  [국제경영] 바트와 폭락과 아시아 금융위기-14
 15  [국제경영] 바트와 폭락과 아시아 금융위기-15
 16  [국제경영] 바트와 폭락과 아시아 금융위기-16
 17  [국제경영] 바트와 폭락과 아시아 금융위기-17
 18  [국제경영] 바트와 폭락과 아시아 금융위기-18
 19  [국제경영] 바트와 폭락과 아시아 금융위기-19
 20  [국제경영] 바트와 폭락과 아시아 금융위기-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국제경영] 바트와 폭락과 아시아 금융위기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序

Ⅱ.외환위기의 이론적 모델

1.경제위기의 종류 및 개념

2. 외환위기의 이론적 모델

Ⅲ.아시아 외환위기

1. 동아시아의 경제성장

2. 동아시아 외환위기의 배경

3. 동아시아 외환위기의 전개

Ⅳ.한국의 외환위기

1.우선 동아시아 외환위기 국가들의 주요 거시경제지표를 살펴보자.

2.헤지펀드로 대표되는 국제자본의 군집현상

3.이 시기를 전후한 한국의 국내사정은 어떻게 돌아가고 있었나.

4.외환위기와 김영삼 정부

5.외환위기의 위기

6.IMF의 주요 영향

Ⅴ. 한국과 비슷한 사례 : 멕시코

Ⅵ. 맺음말


본문내용
2. 외환위기의 이론적 모델

외환위기를 설명하는 이론으로는 1세대 모델(Frist Generation Model)과 2세대 모델 (Second Generation Model), 그리고 도덕적 헤이모델(Moral Hazard Model)등이 있다.

1) 1세대 모델

외환위기의 원인을 경제펀더멘탈의 악화에서 비롯된다고 보며 중남미 국가들의 반복적 외환위기의 이론적 배경을 제공한다. 즉, 저성, 재정적자의 확대, 과다한 통화팽창 및 경 상 수지 적자의 누적, 부족한 외환보유고 및 고정환율제의 유지 등 중장기적으로 지속될 수 없는 경제정책과 기본적인 경제여건의 문제로 인해 시장의 기대가 한 방향으로 형성될 경우 회환위기기 불거질 수 있다.

2) 2세대 모델

1세대 모델로 설명이 불가능한 92년 유럽 선진국들의 외환위기를 설명한다. 유럽 외환 위기 당시 해당국들은 대부분 선진국들로서 국제자본시장에서 자금조달이 가능했기 때문 에 중남미 국가들과는 달리 재정적자를 화폐발행을 통해 보전할 필요가 없었고 인플레이 션도 안전적인 수준을 유지하고 있었다.
92년 유럽 위환위기는 경제펀더멘탈이 양호하다고 해도 시장참여자들이 향후 정부 정책 변화에 대한 예상 등을 토대로 새로운 균형점을 향해 동시에 움직일 경우 자기실현적 예 상으로 외환위기가 초래될 수 있음을 잘 보여 주었으며 이는 1세대 모델과 본질적인 차 이가 있다.

3) 도덕적 해이 모델

금융기관의 도덕적 해이가 기업의 과잉투자를 초래하고 결국 금융기관의 부실로 이어져 금융위기 및 외환위기가 발생 할 수 있음을 설명한다. 이모델이 시사하는 점은 외환 및 금융위기의 예방을 위해서는 정부가 암묵적 지급보증 및 도덕적 해이의 가능성을 최소 화해야한다는 것이다. 감당 할 수 없을 정도로 부실이 누적됐을 경우 원칙적으로 해당 기업과 금융기관의 퇴출을 제도화하고 구조조정 등을 통해 부실이 구조적으로 해소될 수 있도록 하며 부실화 책임을 끝까지 물을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는 것이 필요 하다.

4) 금융공황 모델
일시적 유동성 부족에 의해 일어나는 금융공황 모델은 금융기관의 구조적으로 부실화 되 지 않더라도 특정요인에 의해 일시적으로 유동성이 부족할 때 언제든지 부도(위기)에 직 면 할 수 있음을 강조한다.
금융기관들은 신용도를 바탕으로 비교적 금리가 낮은 자금을 단기로 빌려와 기업들에게 장기로 대출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예금자 혹은 투자자들이 어떤 상황에서 공포에 질려 한꺼번에 예금 혹은 투자자금 회수를 요구할 경우 유동성 부족으로 인해 부도에 직면 할 수 있다. 이모델이 시사하는 바는 외환위기가 대내적인 측면보다 해외투자자들의 군집행 동에 의한 동시적 상환요구 등 대외적 요인에 의해 불거질 경우 외화 유동성 문제의 해결 에 주력하는 것이 최상책이라는 것이다.

5) 호황- 붕괴 사이클 모델(Boom-bust Cycle)

붐-버스트 사이클 모델은 외자유입에 의한 개도국의 거품형성과 무역적자 누적등 ‘스페 인 질병’이라 불리는 자본시장 개방의 후유증을 핵심적인 내용으로 담고 있다. 금융자유 화와 자본자유화 등 과다차입 및 과잉투자, 외자유자의 촉진을 통해 붐-버스트 사이클을 심화시키고, 결국 거품붕괴가 시작될 때 은행도산 및 외자유출에 외환위기가 악순환적으 로 나타날 수 있다.
참고문헌
서적
세계는 어디로 가는가 이철희 저, 시대와조류
외환․금융위기와 IMF 경제정책평가 김인준, 이영섭 저, 한국은행 심포지움 1999
외환위기 이후 신용경색현상에 대한 분석, 김현의 저, 한국은행 조사월보 2000
외환위기의 발생 및 대응 전략, 임준환 2000
한국의 금융위기의 원인과 대응, 신상기, 서울사회경제연구소 심포지움, 1998
최신 외환시장, 무역경영사, 신상기, 2000
태국 및 인도네시아 외환위기 대응과정, 한국은행, 조사연구자료 98-1, 1998
아시아 주요국 경제의 문제점과 정책대응, 한국은행 1999


네이버 블로그
http://blog.naver.com/timestide?Redirect=Log&logNo=20019916019

네이버 백과
변동 환율제

위키 백과
헤지펀드, 조지소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