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의이해] 고려가요의 민중적 정서

 1  [고전의이해] 고려가요의 민중적 정서-1
 2  [고전의이해] 고려가요의 민중적 정서-2
 3  [고전의이해] 고려가요의 민중적 정서-3
 4  [고전의이해] 고려가요의 민중적 정서-4
 5  [고전의이해] 고려가요의 민중적 정서-5
 6  [고전의이해] 고려가요의 민중적 정서-6
 7  [고전의이해] 고려가요의 민중적 정서-7
 8  [고전의이해] 고려가요의 민중적 정서-8
 9  [고전의이해] 고려가요의 민중적 정서-9
 10  [고전의이해] 고려가요의 민중적 정서-10
 11  [고전의이해] 고려가요의 민중적 정서-11
 12  [고전의이해] 고려가요의 민중적 정서-12
 13  [고전의이해] 고려가요의 민중적 정서-13
 14  [고전의이해] 고려가요의 민중적 정서-14
 15  [고전의이해] 고려가요의 민중적 정서-15
 16  [고전의이해] 고려가요의 민중적 정서-16
 17  [고전의이해] 고려가요의 민중적 정서-17
 18  [고전의이해] 고려가요의 민중적 정서-18
 19  [고전의이해] 고려가요의 민중적 정서-1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고전의이해] 고려가요의 민중적 정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I.서론
II.본론
1)고려가요란 무엇인가?
2) 고려가요의 민중적 정서
-서정성(정읍사, 가시리)
-주술성(처용가)
-이상성(청산별곡)
-퇴폐성(쌍화점, 만전춘별사)
-사친성(상저가 사모곡)
3)고려속요의 재조명
-“고려속요는 저속한가?”
-“고려속요는 상류층이 만들었다?”
- 작품을 통해 알아본 해석의 다양성
(정읍사), (청산별곡)
III.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다. 이상성

이상이란 ‘현실에는 존재하지 않는 초월적인 규범이나 가치를 가리키는 말’ 뜻을 가진 말로 전 시대에 아울러 사람들이 추구했던 것이다. 물론 그것은 시대와 상황 그리고 환경에 따라 다른 방법이나 모습으로 나타나기는 하였으나, 통시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예로는 유토피아나, 공산주의, 민주주의처럼 인간의 삶에 가장 좋은 모습으로 나타나지만, 현실적인 것과 대치되어 완벽하게 발휘되지는 못하는 특징을 지닌다. 하지만 이상이라는 것을 통해 한 시대의 사람들의 통념이나 생각 그리고 당시 사회 분위기를 유추할 수 있다. 청산별곡을 통해 당시 시대상을 읽어볼 수 있다.

1.

청산별곡은 어떤 젊은이가 속세를 떠나 청산과 바닷가를 헤매면서 자신의 비애를 노래로 이는 당시 사람들의 이상향을 잘 표출해 주고 있다. http://100.naver.com/100.nhn?docid=12944
여기서의 청산과 바다는 속세를 벗어난 도피처, 혹은 이상향을 의미하고 있다. 이는 당시 사회상과 연관될 수 있는데, 당대의 시대상이 간접적으로 반영되어 (척신의 전횡, 무신의 횡 포, 몽고군의 잦은 침략) 같은 당시 사회가 잦은 혼란으로 인해 사람들이 자신의 삶의 비애를 잊고자 청산과 바다라는 자신의 재산과 지위와 같은 모든 것들을 버려야 하는 장소로 들어가 현실적 고통을 극복하려 할 만큼 부정적 상황 현실을 의미하고 있다. 2연에 나타나듯이 새가 울고 있다는 감정이입을 통해 자신의 부정적 상황을 표현해 현실을 도피하고 싶음을 강조하고 있다. 또 날아온 돌에 대해 화를 내는 것이 아닌 체념적 모습을 통해 당시 사람들의 힘든 삶을 유추해 볼 수 있다. 즉 현실도피를 꿈꾸는 것으로 보아 청산과 바다로 가고 싶다 http://bakundong.com.ne.kr/sosu/inmul/chuk/guandong.html
즉 어떠한 이상향을 꿈꾸고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 노래의 화자가 무엇인가에 대한 강한 슬픔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상향으로의 이동을 통해 부정적 상황을 극복하고자 함을 나타내고 있다. 이를 통해 당시 사람들이 자연(바다와 청산) 속에서 유유자적하고, 머루, 다래, 굴, 조개와 같은 소박한 것을 통해 삶을 연명하는 안분지족 하는 삶을 꿈꾸었을 것이다. 박재민 ,최절 석주 고려가요(2003)이회,

하지만 3연의 갈던 밭과 장비를 본다는 것, 4연에서 사람이 없어 외롭다는 것 그리고 마지막 연에서 술을 마시는 행위를 통해 부정적 상황을 극복하려한다는 점을 통해 이상향에 존재하고 살아가고 있지만, 결국 현실에 미련을 버리지 못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상’이라는 것의 모습을 잘 드러내고 있다
.
살어리 살어리랏다
청산애 살어리랏다
멀위랑 다래랑 먹고
청산에 살어리랏다

우러라 우러라 새여
자고 니러 우러라 새여
널라와 시름 한 나도
자고 니러 우니노라

가던 새 가던 새 본다
믈 아래 가던 새 본다
잉 무든 장글란 가지고
믈 아래 가던 새 본다

이링공 뎌링공 하야
나즈란 디내와손뎌
오리도 가리도 업슨
바므란 또 엇디호리라
어듸다 더디던 돌코
누리라 마치던 돌코
믜리도 괴리도 업시
마자셔 우니노라

살어리 살어리랏다
바라래 살어리랏다
나마자기 구조개랑 먹고
바라래 살어리랏다

가다가 가다가 드로라
에졍지 가다가 드로라
사사미 짐ㅅ대예 올아셔
해금을 혀거를 드로라

가다니 배브른 도긔
설진 강주를 비조라
조롱곳 누로기 매와
잡사와니 내 엇디하리잇고


참고문헌
이임수, , 《고려가요·악장연구》, 한국어문학회편, 태학사, 1997
박노준, . 《고려가요·악장연구》, 한국어문학회편, 태학사
김상훈/청산에 살어리랏다/2008/보리
이영태/고려속요와 기녀/2004/ 경인문화사
김완진/향가와 고려가요/2000/서울대학교출판부김은미, 이화여대 석사학위 논문, 고려속요의 문학 교육적 지도방안(1999)
박병채, 국학자료원(1994),고려가요의 어석 연구
민족문학사연구소(2009),창비,새민족문학사 강좌

최철,연세대학교 출판부(1996),고려국어가요의 해석

박재민 ,최절 석주 고려가요(2003)이회

임재해, 시용향악보 소재 무가류시가연구,

김진욱, 鄕歌 와 高麗歌謠 의 比較 硏究, 2006 11면

최철, 고려시가의 불교적 고찰, 7면,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1997

박재민 ,최절 석주 고려가요(2003)이회,

민족문학사 연구소/새 민족문학사 강좌 01/2009/창비
김완선/향가와 고려가요/2001/서울대학교 출판부

최철,『고려국어 임형택,고미숙, 창비.

한국고전시가선(1997)가요의 해석』, 연세대학교 출판부, 1996, p.266

김은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학위 청구논문(1998),고려속요에 나타난 해석의 다양성을 중심으로

박재민 ,최절 석주 고려가요(2003)이회

이임수, , 《고려가요·악장연구》, 한국어문학회편, 태학사, 1997 -p.80
박노준, . 《고려가요·악장연구》, 한국어문학회편, 태학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