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구직자가 지각한 취업장벽이 취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1  여성구직자가 지각한 취업장벽이 취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1
 2  여성구직자가 지각한 취업장벽이 취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2
 3  여성구직자가 지각한 취업장벽이 취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3
 4  여성구직자가 지각한 취업장벽이 취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4
 5  여성구직자가 지각한 취업장벽이 취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5
 6  여성구직자가 지각한 취업장벽이 취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6
 7  여성구직자가 지각한 취업장벽이 취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7
 8  여성구직자가 지각한 취업장벽이 취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8
 9  여성구직자가 지각한 취업장벽이 취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9
 10  여성구직자가 지각한 취업장벽이 취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10
 11  여성구직자가 지각한 취업장벽이 취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11
 12  여성구직자가 지각한 취업장벽이 취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12
 13  여성구직자가 지각한 취업장벽이 취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13
 14  여성구직자가 지각한 취업장벽이 취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14
 15  여성구직자가 지각한 취업장벽이 취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1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여성구직자가 지각한 취업장벽이 취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1. 여성의 취업

2. 취업장벽과 지각된 취업장벽

3. 자아존중감

4. 선행연구 고찰

III. 연구 방법

1. 연구 가설 및 연구 모형

2. 연구 대상 및 자료수집방법

3. 변수의 측정 및 조작적 정의

1) 취업여부

2) 취업 장벽 요인

3) 자아존중감

4) 통제변수

4. 분석 방법

IV. 연구 결과

1.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

2. 주요 변수들의 특성

3. 연구모형 검증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본문내용
3. 변수의 측정 및 조작적 정의

1) 취업여부
종속변수인 취업여부는 미취업은 0, 취업은 1로 코딩하여 2006년도 미취업자를 대상으로 2007년도 취업지위변화여부를 파악하였다. 근로능력이 없는 미취업자는 변수에서 제외시켰으며 근로능력이 있는 미취업자를 미취업 상태로 파악했고 임금근로자, 자영업자, 고용주, 무급가족종사자를 취업으로 파악했다.

2) 취업 장벽 요인
독립변수인 취업 장벽 요인은 사회통념상 차별요인, 인적자본요인, 가사관련요인, 일자리관련요인, 정보관련요인 등 다섯 가지로 이루어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복지패널1,2차년도 자료에서 사용한 구직과정에서의 어려움에 관한 문항들을 본 연구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3) 자아존중감
조절변수인 자아존중감은 로젠버그(Rogengerg)가 1965년에 개발한 척도를 전병재가 1974년 번안한 총 10문항의 4점리커드식 척도를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문항의 구성은 자기존중을 측정하는 10문항으로 이 가운데 5문항은 역문항으로 처리하여 점수가 높을수록 자존감이 높은 것으로 보았다.(Cronbach α= .946)

4) 통제변수
연령, 학력, 직업경력, 결혼상태의 네 가지를 통제변수로 측정하였다. 직업경력은 15세 이후 3개월 이상 취업한 경험유무로 측정하였으며 학력은 초등학교부터 대학원까지의 졸업여부를 변수값으로 측정하였다. 또한 결혼여부는 미혼은 1, 결혼은 2로 코딩하여 변수값을 측정하였다.

4. 분석 방법

본 연구에서는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SPSS 12.0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조사대상자의 일반적인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의 기술적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지각된 취업 장벽이 취업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서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Logistic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IV. 연구 결과

1.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

참고문헌
김유선. (2004). 비정규직 취업결정 요인에 대한 연구 -KLI 노동패널(가구조사) 분석을 중심으로. 경제와 사회, 61: 166-183.
김은영. (2001). 한국대학생 진로탐색 장애검사(KCBI)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노경란,정희숙. (2008) “고령인구 인적자원 개발을 위한 정부지원 고령자취업프로그램의 효과분석”, 인력개발원, 2609-134
민경희. (2003).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성역할과 이주를 중심으로. 한구여성학, 19(2): 97-143.
민현주. (2008). 여성취업의 두 갈래길. 경제와 사회. 78: 223-255
박미경, 이현림.(2007). 진로장벽이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와 진로의식성숙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15(5): 239-259.
박미경, 김영숙, 이현림. (2008). 여대생의 사회적 지지, 진로장벽, 자아정체감, 진로결정 수준의 구조적 분석, 직업교육연구, 27(2): 1-26.
박수미. (2002). 한국여성들의 첫 취업 진입․퇴장에 미치는 생애사건의 역동적 영향, 한국사회학, 36(2):145-174.
(2003). 한국여성들의 두 번째 노동시장 이행에 관한 종단적 연구. 한국여성학, 19: 43-80.
서명선. (2002). 도시 저소득 모자가정 여성가구주의 취업 영향요인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성효용,김민경. (2003). “여성의 미취업탈출요인에 관한 연구: 성별 비교를 중심으로-” 여성연구, 2: 117-148. 한국여성개발원.
안재희. (2006). 대졸 여성의 취업에 대한 제도적 사회자본의 영향. 교육사회학연구, 16(2): 85-110.
양승주. (1995). 기혼여성의 노동공급 행태분석, 한국인구학, 18(1): 63-87.
유성경, 이항심, 황매향, 홍세희. (2007). 학업우수 여학생의 부모애착, 성역할 정체감, 자아존중감 및 진로장벽의 관계, 한국청소년연구, 18(3): 357-380.
윤성호. (2008). 여성가구주의 노동시장 참여와 지위, 한국가족복지학, 22: 67-94.
윤흥식, 김광혁. (2006). 여성과 남성 공공근로사업 참여자의 (재)취업 결정요인. 사회복지젇책, 24:89-116.
이성식, 정철영. (2007). 여대생이 인식한 진로장벽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및 진로결정수준의 인과모형.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39(4): 83-109.
이은희, 제미경, 신상헌. (2001). “생활설계사의 업무관련 변수와 자아존중감이 직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39(6): 61-77.
이정원. (2001). 저소득 모자가정 가구주의 취업형태 결정요인.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현림. (2007). 진로상담. 서울: 양서원.
정현지. (2004). 여성가구주의 자녀양육부담이 취업에 미치는 영향-취업의 불안정성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탁진국, 이기학. (2001). 직업결정척도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디지털 경영 연구, 1(1): 167-180.
허준수. (2006). ‘도시지역 미취업 노인들의 취업의사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291~318).
황수경. (2002). 기혼여성들의 경제활동 참여에 관한 연구. 서울: 한국노동연구원.

Betz, N. E. (1994). Basic issues and concepts on career counseling for women. In W. B. Walsh & S. H. Osipow(Eds.) career counseling for women. 237-261. Hilsdale. NJ: Erlbaum.
Betz, N. E. & Fitzgerald, L. F. (1987). The career psychological of women. San Diego, CA: Academic Press.
Crites, J. O. (1969). Vocational Psychology. New York: AcGraw- Hill.
Fitzgerald, L. F., Fassinger, R. E., & Betz, N. E. (1995). Theoretical advances in the study of women's career development. In W. B. Walsh & S. H. Osipow(Eds.) Handbook of vocational psychology: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67-110. M몾모, NJ: Erlbaum Association
Luzzo, D. A. (1997). Correlates of Mexican American college student's perception of career-related barriers.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Chicago. IL.
Polachek, S. W. (1979). "Occupational sew segregation among women: Theory, evidence, and a prognosis" C. Lloyd, E. Andrews and C. Gilriy(eds.) Women in th Labor market.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1981). "Occupational self-selection: A human capital approach to sex differences in occupational structure" the Review of economics and statistices, 63(1).
Super, D. E. (1990). A life-span approach to career developing. In D. Brown, L. Brooks, Associates (Eds.), Career choice and development (3rd ed., pp. 121-178). San Francisco: Jossey-Bass
Swanson, J. L., & Daniels, K. K. (1995). The career barriers inventory-revised. Unpublished manuscript,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Carbondale.
Swanson, J. L. & Toker, D. M. (1991). Development and initial validation of the career barriers inventory.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39: 344-361.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