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미술] 관객참여와 행위미술

 1  [현대미술] 관객참여와 행위미술-1
 2  [현대미술] 관객참여와 행위미술-2
 3  [현대미술] 관객참여와 행위미술-3
 4  [현대미술] 관객참여와 행위미술-4
 5  [현대미술] 관객참여와 행위미술-5
 6  [현대미술] 관객참여와 행위미술-6
 7  [현대미술] 관객참여와 행위미술-7
 8  [현대미술] 관객참여와 행위미술-8
 9  [현대미술] 관객참여와 행위미술-9
 10  [현대미술] 관객참여와 행위미술-10
 11  [현대미술] 관객참여와 행위미술-11
 12  [현대미술] 관객참여와 행위미술-12
 13  [현대미술] 관객참여와 행위미술-13
 14  [현대미술] 관객참여와 행위미술-14
 15  [현대미술] 관객참여와 행위미술-15
 16  [현대미술] 관객참여와 행위미술-16
 17  [현대미술] 관객참여와 행위미술-17
 18  [현대미술] 관객참여와 행위미술-18
 19  [현대미술] 관객참여와 행위미술-19
 20  [현대미술] 관객참여와 행위미술-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현대미술] 관객참여와 행위미술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들어가기


Ⅱ. 행위미술의 개념과 특징

1. 행위미술의 개념과 발생배경
1) 존케이지(Jone Cage)로부터의 영향
2) 액션페이팅(Action Painting)에 대한 극복
3) 앗상블라쥬(Assemblage)와의 접목

2. 행위미술의 특징


Ⅲ. 행위미술의 양상과 실연

1. 행위미술의 양상
1) 해프닝(Heppening)
2) 플럭서스(FLUXUS)
3) 퍼포먼스(Performance)

2. 행위미술의 실연


Ⅳ. 대표 작가와 작품분석

1. 알렌카프로(Allen kaprow)의 예술특성
2. 이브클라인(Yves Klein)
3. 요셉보이스(Joseph Beuys)
4. 백남준
5. 그 밖의 한국의 행위미술가들


Ⅴ. 나가기

참고문헌

본문내용
5) 열린공간-공간성
행위예술의 구조적 특징인 공간성은 객체의 분리가 어렵다는데 있다. 공간적 구조의 특징인 마당성, 현장성은 주체와 객체간의 울타리를 허물고 관객참여를 유발시킨다는 점에서 제의와 축제에 그 연원을 두고 있음을 알 수 있는데, 이때 두 개의 대립적 집단을 결속시키는 매체는 연행성의 개념이다. 즉 전통 공연 예술 형식에서와는 달리 배우들의 입장과 퇴장이 관객들 사이로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며 심지어는 배우와 관객이 되기도 한다. 이때 관객은 종래의 관조적 태도에서 역동적 참여자로 전이되는 것이다.

6) 행동성-행동주의적 경향
행위미술가들은 현실적인 삶의 공간 하에서 작업하기 때문에 극복해야 할 여러 가지 문화적, 정치적, 사회적 상황들을 맞게 된다. 이에 행위미술가들은 직접적인 정치적 상황들까지도 수용하여 적극적으로 작업의 영역 안으로 뛰어들게 된다. 이런 행위미술가들의 행동 양식은 개인적 행동 양식으로 이루어지고 보다 큰 범주, 즉 예술과 현실의 이원화를 극복하는 방향으로 나아가려고 하기 때문이다. 홍오봉, 「퍼포먼스의 다양한 예술적 특성에 관한 연구」, 홍익대 교육대학원 학위논문, 1999, pp.21~41

Ⅲ. 행위미술의 양상과 실연

1. 행위미술의 양상

1) 해프닝(Heppening)
1958년 A.렌 카프로(Allan Kaprow)가 뉴욕에서 이라고 명명한 리사이틀을 개최하였는데, 이로부터 해프닝이라는 명칭이 이러한 운동의 전반을 가리키게 되었다. 미술개념으로서의 해프닝이란, 시각 예술과 연극의 환경적 통합이라 불리는 표현 형식으로부터 비롯한다. 정확히 규정할 수는 없으나 독일의 W.포스텔은 ‘해프닝은 활기 있는 팝 아트이다.’라고 정의하고, 예술을 감상하는 입장에 있는 사람을 예술적 사건 속에 끌어들인다는 성격을 강조 하였다. 충격적인 언동, 어이없는 행동, 과격한 행위, 파괴행위, 지나치게 일상적인 행위 등을 해프닝을 일으키는 수단으로 보며, 현대소비 사회의 모순이나 물상화 현상을 현재화하는 의미를 갖는 수도 있다.
해프닝은 사건들을 비논리적인 꼴라쥬 같은 관련 속에다 서로 무관한 현실생활의 요소, 즉 음향이나 시간의 지속성, 제스처, 촉각 등의 요인 등을 병행시킨다. 알렌 카프로도 해프닝을 하나의 시간과 장소에서 인식되고 공연된 사건의 조합 에드워드 루시 스미스(Esward Lucie-Smith). 임영방. 김춘일 역, 『전후의 현대미술』, 서울: 장학사, 1983, p.171
이라고 말한다. 또한 형체가 없고 우연성에 의해서 즉시에 이루어지는 모든 것이라고 볼 수 있다. 그리고 해프닝의 현대적 특성이란 시간적이고 변화되는 것이며, 고정적이 아니고 가변적이다. 보들레르. 윤영애 역, 『화가와 시인』, 서울: 열화당, 1979, p.31

해프닝은 1959년 알렌카프로에 의해 처음 시도된 이래로 미국과 일본 그리고 유럽 등 세계 각지에서 많은 작가들이 이 새로운 형식의 예술에 참여하여, 매우 진취적이면서도 활동적인 조직으로서의 회화적 변형을 시도하게 된다. 특히 알렌카프로는 전시장 내부의 이미 설정된 공간의 한계를 벗어나고자 했다. 그의 이러한 전통적 예술에 대한 왜곡은 마르셀 뒤샹이나 잭슨폴록의 선례를 뛰어 넘는 것으로, 이는 완결된 작업이 아닌 실질적인 공간 제시로, 여기서 그는 환경에 바탕을 둔 하나의 이벤트로서의 예술이었다.
그 후 해프닝은 즉흥적인 행위를 바탕으로 독특한 자발성과 진취성을 내포한 채 전개되기 시작하면서 예술가들의 단독 표현에 의한 독창적인 조형 어법을 낳기도 하고, 협력을 통한 불 확정된 집단적 결정론에 도달하기도 하는데, 이에 관객의 감각 또는 수준에 따라서는 작
참고문헌
단행본

보들레르. 윤영애 역, 『화가와 시인』, 서울: 열화당, 1979
H. H.아나슨(Arnason), 장화진 역, 『현대미술사』, 서울: 형설출판사, 1979
에드워드 루시 스미스(Esward Lucie-Smith). 임영방. 김춘일 역, 『전후의 현대미술』, 서울: 장학사, 1983
윤진섭,『행위 예술 감상법』, 서울: 대원사, 1995
Herbert Ree, 윤일규, 『예술이란 무엇인가』, 서울: 을서문고, 1969


논문

박대근, 「추상표현주의와 행위예술에 있어서 행위성에 대한 연구 : 행위개념을 중심으로」, 강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2
정윤선, 「행위미술의 특성에 관한 연구 : 1960년대를 중심으로」,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1
홍오봉, 「퍼포먼스의 다양한 예술적 특성에 관한 연구」, 홍익대 교육대학원 학위논문,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