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직행동론] 골드만 삭스(Goldman Sachs) 조직구조와 이직률 분석

 1  [조직행동론] 골드만 삭스(Goldman Sachs) 조직구조와 이직률 분석-1
 2  [조직행동론] 골드만 삭스(Goldman Sachs) 조직구조와 이직률 분석-2
 3  [조직행동론] 골드만 삭스(Goldman Sachs) 조직구조와 이직률 분석-3
 4  [조직행동론] 골드만 삭스(Goldman Sachs) 조직구조와 이직률 분석-4
 5  [조직행동론] 골드만 삭스(Goldman Sachs) 조직구조와 이직률 분석-5
 6  [조직행동론] 골드만 삭스(Goldman Sachs) 조직구조와 이직률 분석-6
 7  [조직행동론] 골드만 삭스(Goldman Sachs) 조직구조와 이직률 분석-7
 8  [조직행동론] 골드만 삭스(Goldman Sachs) 조직구조와 이직률 분석-8
 9  [조직행동론] 골드만 삭스(Goldman Sachs) 조직구조와 이직률 분석-9
 10  [조직행동론] 골드만 삭스(Goldman Sachs) 조직구조와 이직률 분석-1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조직행동론] 골드만 삭스(Goldman Sachs) 조직구조와 이직률 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1 조직소개 ‘Goldman Sachs'
1.2 조직도
2. 골드만삭스의 문제점
2.1 업무 과부하에 따른 스트레스
2.2 심리적 계약의 파괴

3. 이론적용
3.1 work stress 적용 - stress 모형 적용
3.2 psychological contract 적용

4. ACTION PLAN
1) 자택근무의 활성화
2) 사원 수 확충
3) 아웃 소싱
4) 성과급제도 도입과 초과수당 지급

5. ACTION PLAN 분석

Ⅲ. 결론


본문내용
2.1 업무과부하
모든 증권회사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골드만 삭스에서도 많은 업무량은 항상 문제가 되어 왔다. 오늘날의 업무는 너무 빠르게 진행되고 복잡해져서 자신의 업무 할당량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전 보다 더 많은 시간을 업무에 할애해야 한다. 이러한 현상은 하루 이틀에 그치는 것이 아니고 한 개인이 그 집단에 소속되어 있는 기간 동안 계속 지속되고 이로 인해 누적된 스트레스와 육체적 피로가 발생한다. 이러한 업무과부하는 업무효율성을 떨어뜨리고 근태율을 증가시킬뿐더러 이직률까지 증가시키는 등 많은 문제를 야기한다. 한 사람들이 더 많은 임무를 완수할수록, 기업은 이윤을 남기게 된다. 때문에 경제적으로 이점을 누리고 있지만, 이를 위해 어떠한 대가를 치루고 있는가? 일단 골드만 삭스는 증권회사에 특성상 다른 기업보다 업무량이 상당히 많다. 이 많은 업무를 모두 수행하기 위해 한사람에게 분해된 업무량역시 상당히 많다. 따라서 근무시간동안 정해진 업무량을 모두 처리하지 못할 경우가 많이 발생하고 이는 초과업무의 필요성을 가중시킨다. 인터뷰에 의하면 업무를 처리할 시간이 부족해 식사도 나가서 먹는 것보다는 자기 자리에서 음식을 배달 시켜서 먹는 경우도 많다고 한다. 또한 과다한 업무량 때문에 일과 자기 생활과의 적절한 균형이 이루기도 매우 힘들다고 한다. 퇴근시간이 늦기 때문에 퇴근 이후의 활동, 예를 들어 운동이나 자기개발활동을 하기도 매우 힘들다고 한다. 이렇게 과한 업무량 때문에 골드만 삭스에서 일하는 사람들은 보통 30대 이상의 나이에 이 일을 지속하기는 힘들 것이라고 말한다.

2.2 심리적 계약의 파괴
누구나 처음 조직에 들어갈 때 자신이 그전까지 생각해온 조직에 관한 생각, 혹은 환상 같은 것이 있기 마련이다. 포춘에서 선정하는 일하기 좋은 기업에서 몇 년째 상위랭크를 유지하고 있는 골드만 삭스에 들어가는 사람은 더더욱 그럴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기대를 안고기업에 입사한다고 하더라도 과도한 업무량으로 인해 사람들은 스트레스를 받게 될 것이고 이는 심리적 계약 파괴에 가장 큰 이유가 될 것이다.
그리고 부과적으로 그렇게 많은 일을 하더라도 개인이 낸 성과와 결과(보상)간의 관계가 불확실하였기 때문에 이 점 역시 개인의 심리적 계약이 파괴를 야기하게 되었다. 한 나라를 넘어서 전세계에 지사를 둔 대기업임에도 불구하고 한국 골드만 삭스에 연봉은 그다지 높지 않다. 물론 직원들의 업무환경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는 하나 복지수준도 다른 기업에 비해 월등히 높다고 할 수는 없고 한국지사의 연봉은 한국의 타 투자증권이나 은행보다 오히려 더 낮은 수준이다. 이는 대기업이라면 더 많은 봉금, 더 높은 연봉을 받을 수 있다는 많은 사람들의 생각과는 다른 것이므로 이 부분에 대해서 실망을 한다고 한다. 게다가 성과급이 없다는 것도 이 문제를 가중시키고 있다. 다른 증권회사에 입사한 사람들은 연말에 성과급으로 한 달치 월급에 상응하는 금액을 회사에서 받게 되나 골드만 삭스의 경우 이러한 성과급이라는 것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높은 금전적 보상을 기대하고 입사한 많은 사람들은 여기서 큰 실망을 하게 된다.

3. 이론 적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