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학] 명청대의 신유학에 대한 비판

 1  [역사학] 명청대의 신유학에 대한 비판-1
 2  [역사학] 명청대의 신유학에 대한 비판-2
 3  [역사학] 명청대의 신유학에 대한 비판-3
 4  [역사학] 명청대의 신유학에 대한 비판-4
 5  [역사학] 명청대의 신유학에 대한 비판-5
 6  [역사학] 명청대의 신유학에 대한 비판-6
 7  [역사학] 명청대의 신유학에 대한 비판-7
 8  [역사학] 명청대의 신유학에 대한 비판-8
 9  [역사학] 명청대의 신유학에 대한 비판-9
 10  [역사학] 명청대의 신유학에 대한 비판-10
 11  [역사학] 명청대의 신유학에 대한 비판-11
 12  [역사학] 명청대의 신유학에 대한 비판-12
 13  [역사학] 명청대의 신유학에 대한 비판-13
 14  [역사학] 명청대의 신유학에 대한 비판-1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역사학] 명청대의 신유학에 대한 비판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명말의 진보주의 사상
1. 진보주의 사상의 등장배경
2. 진보주의 사상의 특징
3. 태주학파(泰州學派)와 동림학파(東林學派)
4. 진보주의 사상의 한계점

Ⅲ. 청초의 삼유로(三遺老)의 경세학
1. 청의 건국과 청의 중국지배
2. 경세학의 형성
3. 대표적인 인물
4. 경세학의 한계점

Ⅳ. 청 중기의 대진(戴震)의 고증학
1. 청중기의 중국사회
2. 고증학의 형성
3. 대진(戴震)과 고증학
4. 고증학의 한계점

Ⅴ. 결 론
본문내용
Ⅰ. 서 론

원(元)을 멸망시키고 등장한 명(明)의 시급한 과제는 유목민족의 문화인 몽골풍을 없애고 한(漢)의 문화를 부흥시키는 일이었다. 이러한 시도로 태조는 전통문화의 부흥을 위하여 유학을 장려하고, 송대의 과거제도를 부흥하여 주자학을 시험과목으로 채택하였다. 더불어 성조(成祖)는 칙명으로 《오경대전(五經大全)》, 《사서대전(四書大全)》, 《성리대전(性理大全)》을 편찬하여, 이를 뒷받침하였다. 이로 인하여 송대 이래 발달한 신유학인 주자학은 확고한 관학(官學)의 위치를 고수하여 사상계의 주류를 이루었다. 그러나 이것은 이학(異學)의 금지와 문화계의 창의력을 결여시키고 사상의 자유로운 발전을 저해 명대의 복고주의적 문화경향은 과거시험에서도 등장하는데, 유교경전인 《사서오경(四書五經)》만으로 시험범위를 정하였다. 더불어 답안은 팔고문(八股文)으로 답안을 작성해야 했다. 팔고문은 형식이 까다롭고 엄격하여 자유로운 사상과 감정의 표현을 제약하여 자유롭고 창의적인 노력이 제한되었다.
하였다.
이러한 사상계의 침체는 새로운 사상인 양명학을 등장시켰다. 명 중기에 등장한 양명학은 주자학 일변도의 획일화된 문헌주의(文獻主義)적 학문경향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주장하여 종래의 유학사상의 권위에 비판을 가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양명학 또한 유교가 지니고 있던 정치적․사회적 개혁을 위한 본래의 속성에서 벗어나 명말에 이르면 차츰 나라의 위기와 백성들을 돌보지 않고, 불교의 공무(公無) 공무(空無) : 대우주 삼라만상은 아무 것도 없이 텅 비어 있어 어느 한 물건도 실재(實在)한 것이 없다는 이론.
이론을 제창하여 유교를 포기하고 선문(禪門) 선문(禪門) : 불문(佛門)에 들어간 남자.
에 들어가서 현실을 도피하는 자가 많아 심학횡류(心學橫流)라는 비난을 받았다.
즉, 명대의 대표적인 사상은 바로 주자학과 양명학을 중심으로 하는 신유학이다. 이러한 신유학의 사상적인 문제점에 대하여 전면적인 비판하면서 새로운 학풍이 열리게 되었고 새로운 인물들이 등장하였는데 이러한 사상은 명말에서 청 중기까지 이루어진다. 즉, 이러한 비판적인 사상은 세 시기로 구분하여 살펴볼 수 있다. 제1기는 명말의 진보주의 사상, 제2기는 청초의 삼유로(三遺老)의 경세학, 제3기는 청 중기의 대진의 고증학으로 구분할 수 있다. 지금부터 이들의 신유학에 대한 비판에 대하여 각 시기별로 구분하여 살펴보도록 하자.

Ⅱ. 명말의 진보주의 사상

신유학에 대한 비판적인 사상은 급격하게 나타날 수 없었다. 명대에 주자학은 명의 관학의 지위에 머물러 사상계에서 확고한 지휘를 획득하고 있었다. 또한 양명학은 독자적인 사상체계를 확립하고 강학(講學)을 통하여 사상을 전파하는데 힘을 아끼지 않은 결과 명의 사상계를 통제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 신유학에 대한 도전은 성학(聖學)을 반대하는 것으로 인식에 되기에 이르렀고 결국 신유학은 당시에 지배적인 이데올로기로서 지위를 획득하였다.
그러나 신유학은 이후 명말의 혼란한 사회를 해결할 능력을 가지고 있지 못했다. 따라서 명말에 등장한 진보주의 사상은 명나라 말기 혼란한 사회 위기가 초래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즉, 이 당시 등장한 태주학파와 동림학파는 혼란한 사회에 큰 관
참고문헌
1. H.G. Creel, 『중국사사의 이해』, 서울경문사, 1980.
2. 갈영진, 「청대 실학사조의 역사적 변천」, 『동아문화』 제28집, 서울대, 1990.
3. , 「중국실학간론」, 대동문화연구원, 제4회 동양학 국제 학술회의 논문집, 1990.
4. 석근지, 「동림학파와 명말청초의 실학사조」, 대동문화연구원,
제4회 동양학 학술회의 논문집. 1990.
5. 오금성, 《명말․청초사회의 조명》, 서울 : 한울아카테미, 1990.
6. 장유교, 《중국근대철학사》, 서울 : 서광사. 1989.
7. 후외려 , 《중국철학사》, 일월서각, 서울 : 일월서각, 19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