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생활] 분단 후 북한냉면의 남한 토착화 과정에서 나타난 변화 양상과 그 원인

 1  [식생활] 분단 후 북한냉면의 남한 토착화 과정에서 나타난 변화 양상과 그 원인-1
 2  [식생활] 분단 후 북한냉면의 남한 토착화 과정에서 나타난 변화 양상과 그 원인-2
 3  [식생활] 분단 후 북한냉면의 남한 토착화 과정에서 나타난 변화 양상과 그 원인-3
 4  [식생활] 분단 후 북한냉면의 남한 토착화 과정에서 나타난 변화 양상과 그 원인-4
 5  [식생활] 분단 후 북한냉면의 남한 토착화 과정에서 나타난 변화 양상과 그 원인-5
 6  [식생활] 분단 후 북한냉면의 남한 토착화 과정에서 나타난 변화 양상과 그 원인-6
 7  [식생활] 분단 후 북한냉면의 남한 토착화 과정에서 나타난 변화 양상과 그 원인-7
 8  [식생활] 분단 후 북한냉면의 남한 토착화 과정에서 나타난 변화 양상과 그 원인-8
 9  [식생활] 분단 후 북한냉면의 남한 토착화 과정에서 나타난 변화 양상과 그 원인-9
 10  [식생활] 분단 후 북한냉면의 남한 토착화 과정에서 나타난 변화 양상과 그 원인-10
 11  [식생활] 분단 후 북한냉면의 남한 토착화 과정에서 나타난 변화 양상과 그 원인-11
 12  [식생활] 분단 후 북한냉면의 남한 토착화 과정에서 나타난 변화 양상과 그 원인-12
 13  [식생활] 분단 후 북한냉면의 남한 토착화 과정에서 나타난 변화 양상과 그 원인-13
 14  [식생활] 분단 후 북한냉면의 남한 토착화 과정에서 나타난 변화 양상과 그 원인-14
 15  [식생활] 분단 후 북한냉면의 남한 토착화 과정에서 나타난 변화 양상과 그 원인-15
 16  [식생활] 분단 후 북한냉면의 남한 토착화 과정에서 나타난 변화 양상과 그 원인-16
 17  [식생활] 분단 후 북한냉면의 남한 토착화 과정에서 나타난 변화 양상과 그 원인-17
 18  [식생활] 분단 후 북한냉면의 남한 토착화 과정에서 나타난 변화 양상과 그 원인-18
 19  [식생활] 분단 후 북한냉면의 남한 토착화 과정에서 나타난 변화 양상과 그 원인-19
 20  [식생활] 분단 후 북한냉면의 남한 토착화 과정에서 나타난 변화 양상과 그 원인-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식생활] 분단 후 북한냉면의 남한 토착화 과정에서 나타난 변화 양상과 그 원인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냉면의 발생배경과 남한에서의 토착화
1. 냉면의 발생
1.1. 평양냉면의 발생
1.1.1. 자연적 배경
1.1.2. 사회․문화적 배경
1.2. 함흥냉면의 발생
1.2.1. 자연적 배경
1.2.2. 문화적 배경

2. 냉면의 남한에서의 토착화
2.1. 평양냉면
2.1.1. 전쟁과 분단 후 평양냉면의 변화양상
2.1.2. 변화의 요인
2.1.2.1. 자연적 요인
2.1.2.2. 사회․경제적 요인
2.1.3. 남한에 정착한 평양냉면의 변화양상의 확인 - ‘우래옥’ 방문

2.2. 함흥냉면
2.2.1. 전쟁과 분단 후 함흥냉면의 변화양상
2.2.2. 변화의 요인
2.2.2.1. 자연적 요인
2.2.2.2. 사회․경제적 요인
2.2.3. 남한에 정착한 함흥냉면의 변화양상의 확인 - ‘반룡산’ 방문

2.3. 한국전쟁 후 탄생한 부산 밀면
2.3.1. 냉면의 주도권을 넘겨받은 밀면
2.3.2. 밀면의 발생요인 및 발달과정


Ⅲ. 결론
본문내용
1.2.2. 문화적 배경

함경도 음식의 생김새는 큼직하고 시원스러우며 장식이나 기교, 사치를 부리지 않는다. 간은 짜지 않으나 고추와 마늘 같은 양념을 강하게 써서 강한 맛을 즐기기도 한다. 다대기라는 말도 이 고장에서 나온 고춧가루 양념의 별칭이다. 한복진 125; 127.
함흥냉면 역시 이런 문화적 영향으로 인해 다대기로 매운맛을 내고 가자미를 장식으로 큼직하게 썰어 낸다.

2. 냉면의 남한에서의 토착화

서론에서 잠깐 언급하였듯이 한국전쟁에 의해서 냉면의 형태는 많은 변화를 거치게 되었다. 즉, 수많은 피난민들이 남쪽으로 이동하여 자기 고향의 음식을 만들면서 음식문화를 전파하거나 새로운 음식을 탄생시켰을 것인데, 북쪽에서 유명한 평양냉면과 함흥냉면도 남한에 정착하면서 많은 변화를 거치게 되었을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이러한 배경 속에서 전쟁 이후 평양냉면과 함흥냉면이 휴전선 이남의 다른 환경에서 어떠한 변화를 거치게 되었고 왜 그러한 변화를 거칠 수밖에 없었는지를 각각의 변화된 냉면의 형태와 남한의 지리적, 문화적, 사회적 환경을 통해서 규명해보고자 한다. 또한 전쟁 이후 남한에서의 평양냉면과 함흥냉면의 정착과정 중 특정 지역의 기호 및 사회 환경과 맞물려 새로이 탄생한 ‘밀면’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2.1. 평양냉면
2.1.1. 전쟁과 분단 후 평양냉면의 변화양상

평양냉면의 발생지는 평안도 지방이다. 이것이 전파와 토착화 과정을 거쳐 탄생한 남한 식 평양냉면은 원조 평양냉면과는 사뭇 다른 외관과 맛, 그리고 특성을 가지게 되었다. 우선 첫 번째로, 현재 남한에서 유명한 평양냉면은 동치미가 배제된 고기 육수만으로 만든 냉면이다. 그리고 육수를 내는 고기 또한 꿩고기 대신 소고기나 닭고기가 쓰인다. 두 번째로는 상업화 된 평양냉면의 경우 가격의 수준이 변화했다. 앞에서 살펴보았듯이 일제 강점기에는 냉면과 갈비의 가격이 같았다. 하지만 현재 갈비 집에서 파는 냉면은 갈비를 먹고 후식으로 먹는 개념으로 자리 잡아 갈비에 비해 가격이 저렴하다. 세 번째로 들 수 있는 것은 맛이다. 맛은 초기의 평양냉면에 비해 가장 많이 변한 점이라 할 수 있는데, 원조
참고문헌
단행본
김완배 등. 『북한의 농업현황 분석 및 남북한 농산물 적정 생산·배치에 관한 연구』.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2.
김종욱 등. 『지리부도』. 서울: 교학사, 2003
김찬별. 『한국음식 그 맛있는 탄생 : '우리가 몰랐던 우리 음식의 유래와 문화'』. 서울: 로 크미디어, 2008.
『우리말 큰사전』. 한글학회 편. 서울: 어문각, 1992.
윤덕노. 『음식 잡학 사전』. 서울: 북로드, 2007.
윤서석. 『우리나라 식생활 문화의 역사』. 서울: 신광출판사, 1999.
이용기. 『다시 보고 배우는 조선무쌍신식요리제법』. 옛음식연구회 편. 서울: 도서출판 궁 중음식연구원, 2001.
이장욱 등. 『배타적경제수열(EEZ) 주요 어업자원의 생태와 어장』. 부산: 해양수산부 국립 수산진흥원, 2000.
『자연과 정성의 산물, 우리 음식』. 국사편찬위원회 편. 서울: 두산동아, 2006.
장지현 등. 『한국음식대관』. 6권. 서울: 한림출판사, 2001.
『조선의 특산료리』. 평양출판사, 2005.
조은자. 『한국전통식품연구』. 서울: 성신여자대학교출판부, 2008.
한복진. 『팔도음식』. 서울: 주식회사 대원사, 1993.

학술정보
남성욱. 「북한의 수산업 현황과 효율적인 남북협력 방안」.『북한연구학회보』10.1 (2006): 149-178.
류시생 등. 「지난 일세기 동안의 한국인 식습관의 변화와 보건영양상태의 추이 분석」.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3.4(1998): 397-406.
윤형숙. 「지구화, 지역 토속 음식의 생산과 소비: 홍어를 중심으로」. 『도서문화』 32(2008): 211-238.

전자자료
국립수산진흥원. 「노랑 가오리」. 『제주자연환경생태정보시스템』. 2009. 11. 22 .
김지영. 「옛 고향의 맛, 함경도 가릿국밥」. 『매일경제』2007. 10. 13, 『파오인』. 2009. 11. 22 .
노형석. 「냉면과 파리 만국박람회의 관계는?」. 『한겨례21』721(2008). 2009. 11. 22 .
김영주. 「이 땅의 국수를 찾아서⑤평양냉면」.『중앙일보』2009. 6. 11. 『Joins』. 2009. 11. 24 .
김영주. 「이 땅의 국수를 찾아서④진주냉면」. 『중앙일보』2009. 5. 28, 『Joins』. 200 9. 12. 4 .
김영복. 「“맛있는 참살이”우리 전통음식 냉면(상)유래」.『경남도민일보』2007. 4. 26.『Id omin.com』. 2009. 11. 30 .
「메밀」. 『네이버 백과사전』. 2009. 11. 30 .
이명진. 「함흥냉면엔 메밀 없어도 적법」.『조선일보』2001. 6. 19.『조선일보 아카이브』. 2009. 12. 5 .
「이북음식」. 『전통향토음식문화연구원』. 2009. 12. 5 .
이석희. 「[백년명가②]함흥냉면 회, 아직도 홍어라고 믿니?」.『일간스포츠』2009. 7. 29. 『IS Plus 일간스포츠』. 2009. 11. 22 .
이석희, 조용철. 「이 땅의 국수를 찾아서⑥부산 밀면」. 『중앙일보』2009. 6. 25, 『Join s』. 2009. 12. 4 .
이효지. 「냉면」.『한국민속문화대백과사전』. 2009.11.30 .
조명숙. 「평양냉면」.『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009. 12. 5 .
홍수원. 「같은 재료 가지고 이왕이면 맛있게-조선요리강좌(2)」.『조선일보』1934. 5. 22. 『조선일보 아카이브』. 2009.11.30 .
“Deep Dish Pizza." Food Reference. Ed.James T. Ehler. 30 Nov. 2009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