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시아의 정치문화 -유교, 민족주의, 각국의 정치문화를 중심으로

 1  동아시아의 정치문화 -유교, 민족주의, 각국의 정치문화를 중심으로-1
 2  동아시아의 정치문화 -유교, 민족주의, 각국의 정치문화를 중심으로-2
 3  동아시아의 정치문화 -유교, 민족주의, 각국의 정치문화를 중심으로-3
 4  동아시아의 정치문화 -유교, 민족주의, 각국의 정치문화를 중심으로-4
 5  동아시아의 정치문화 -유교, 민족주의, 각국의 정치문화를 중심으로-5
 6  동아시아의 정치문화 -유교, 민족주의, 각국의 정치문화를 중심으로-6
 7  동아시아의 정치문화 -유교, 민족주의, 각국의 정치문화를 중심으로-7
 8  동아시아의 정치문화 -유교, 민족주의, 각국의 정치문화를 중심으로-8
 9  동아시아의 정치문화 -유교, 민족주의, 각국의 정치문화를 중심으로-9
 10  동아시아의 정치문화 -유교, 민족주의, 각국의 정치문화를 중심으로-10
 11  동아시아의 정치문화 -유교, 민족주의, 각국의 정치문화를 중심으로-11
 12  동아시아의 정치문화 -유교, 민족주의, 각국의 정치문화를 중심으로-12
 13  동아시아의 정치문화 -유교, 민족주의, 각국의 정치문화를 중심으로-13
 14  동아시아의 정치문화 -유교, 민족주의, 각국의 정치문화를 중심으로-14
 15  동아시아의 정치문화 -유교, 민족주의, 각국의 정치문화를 중심으로-15
 16  동아시아의 정치문화 -유교, 민족주의, 각국의 정치문화를 중심으로-16
 17  동아시아의 정치문화 -유교, 민족주의, 각국의 정치문화를 중심으로-17
 18  동아시아의 정치문화 -유교, 민족주의, 각국의 정치문화를 중심으로-18
 19  동아시아의 정치문화 -유교, 민족주의, 각국의 정치문화를 중심으로-19
 20  동아시아의 정치문화 -유교, 민족주의, 각국의 정치문화를 중심으로-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동아시아의 정치문화 -유교, 민족주의, 각국의 정치문화를 중심으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들어가는 말 : 동아시아 정치문화를 정의하며

1. 동아시아의 의미

2. 정치문화의 의미

Ⅱ. 한국의 정치문화

1. 한국의 유교문화


1) 권위주의 정치문화

2) 소외적 정치문화

3) 파벌주의 정치문화

4) 공동체의식과 충(忠)사상

2. 한국의 민족주의

1) 단일민족주의 : 종족적 민족주의

2) 민족주의와 세계화의 충돌 : 외국인노동자 문제

3. 한국 민주주의의 문제

1) 사회적 자본의 취약성

2) 엘리트의 고결성(Integrity) 문제

3) 정치 참여의 하락

4) 사회경제적 기반의 악화

5) 민주주의의 문제

Ⅲ. 중국의 정치문화

1. 중국의 유교문화

1) 강력한 중앙집권체제와 가부장적 가족주의

2) 현 중국의 모습

2. 중국의 민족주의

3. 중국적 사회주의

1) 개혁 개방의 부작용

2) 중국적 사회주의의 미래

3) 민주화운동, 인권

4) 파벌정치와 파워엘리트

5) 테크노크라트와 테크노엘리트

Ⅳ. 일본의 정치문화

1. 일본의 유교와 국가신도

1) 일본의 유교

2) 일본의 국가신도

3) 일본의 유교와 국가신도

2. 일본의 민족주의

1) 일본 민족주의의 전개

2) 21세기 일본의 민족주의

3. 파벌, 족의원, 후원회의 정치문화

1) 파벌의 정치문화

2) 족의원의 정치문화

3) 후원회의 정치문화

4) 파벌, 족의원, 후원회 정치문화의 영향


Ⅴ. 대만의 정치문화

1. 대만의 국가적 정체성, 민족주의

2. Ethnic

3. 유교

Ⅵ. 싱가포르의 정치문화

1. 싱가포르의 유교문화

2. 싱가포르 국민들의 민족주의 : 발달 미약

3. 권위주의적 경제발전

Ⅶ. 맺는 말




본문내용
3) 정치 참여의 하락
앞에서 논한 엘리트의 부패는 정치적 참여의 하락과 , 사회 경제권의 악화와 연관되어 있다. 민주화 이후 대선, 총선, 지방선거를 막론하고 투표율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으며, 다른 분야에서의 정치적 무관심도 증가하고 있다. 대선의 경우 1987년 89.2%에서 2007년 63.0%로 떨어졌으며, 총선은 1988년 75.8%에서 2004년 60.6%까지 떨어졌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역대선거정보시스템.
현재로서는 어떤 선거든 투표율을 올리기 쉽지 않아 보인다. 사회는 갈수록 다원화되고 파편화되며, 합리적 선택 이론으로 볼 때도 유권자가 많으면 개인이 투표를 하지 않는 것이 기회비용을 따졌을 때 합리적일 수 있다. 투표 효용보다 기회비용이 더 크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개인적으로 합리적인 것이 집단적으로 합리적인 것은 아니다. 개인적 선택이 사회적 선택으로 전환될 때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며, 그에 따라 선거에 참여할 시민적 의무감을 갖게 하는 것이 정부와 언론 등 민주주의 제도를 뒷받침하는 행위자들의 역할일 것이다.
한국 사회는 정치를 회복해야 한다. 신자유주의의 침투와 함께 탈정치화 담론이 형성되면 기득권의 최대 이익구조가 유지될 뿐이고, 정치의 견제로 사회에 기여할 수 있다면 정치의 질을 높여야 한다. 정치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민의를 효과적으로 대변할 수 있는 정당 구조를 확립하고 선거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한다. 정치는 멀리 있는 것이 아니라 우리의 삶을 결정하는 것이고, 선거는 정치의 핵심이기 때문이다.

4) 사회경제적 기반의 악화
한국의 사회 경제권은 1987년 민주화 이후 지속적으로 악화되고 있다. 이익대표체계는 약화되고 성장의 결과는 불균등하게 분배되고 있으며, 그로 인해 불평등이 심화되고 사회구조 유지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민주화 이후 국가 코포라티즘(Corporatism)은 해체되어 왔으나, 자유 코포라티즘의 부재로 사회 각 분야의 이익을 대변할 수 있는 체계가 부족하다. 협애한 이념 구조 속의 정당들은 이런 문제를 더 심화시키고 있다. 노동부의 자료에 따르면 노조 조직률은 1989년 18.6%로 최고점을 기록했다가 지속적으로 하락, 2006년에 10.0%의 수치를 보였다. 이런 수치는 OECD의 다른 국가들과 비교해 보았을 때 최저수준이다. OECD, Employment Outlook 2004.
노조조직률이 가장 높은 아이슬란드의 경우는 80%가 넘으며, 스웨덴, 핀란드, 덴마크, 벨기에가 그 뒤를 잇고 있다. 단체협약 적용률을 비교해 봤을 때도 오스트리아나 프랑스를 비롯해 앞에서 언급한 국가들은 90%에 달하나 한국은 20%도 안 되는 저조한 수치를 기록하고 있다.
기업과 개인, 자본과 노동 간 소득 불균등은 더욱 심해지고 있다.

1980년대
1990~1997
2000~2004
2004
경제성장률
개인소득증가율 임금소득 + 소규모 자영업자 소득

기업소득증가율
8.7
10.6
7.8
7.9
7.0
6.5
5.6
2.4
18.9
4.7
2.6
38.7
노동소득분배율 소규모 자영업자 소득을 노동소득으로 간주.

자본소득분배율
81.9
181.1
81.6
18.4
74.7
25.3
68.4
31.6

한국은행.2005. 「가계와 기업의 성장양극화 현상」.

참고문헌
이희완, 이헌경, “한국 유교정치문화가 관료의 권위주의 성격형성에 미친 영향”, 2007
전정희, “한국정치문화에 나타난 유교적 요소”
Wanki paik, “Korean Administraive Culture” (Korea University Press 1990)
설동훈, 최홍엽, 한건수, “외국인노동자의 가족과 한국에 대한 인식”, 2002 : 202에서 인용
장동진, 황민혁, “외국인 노동자와 한국 민족주의” (21세기정치학회보 제17집), 2007
“백인 아니면 안됩니다. ‘영어학원 인종파별 실태’”, (동아일보, 2007년 7월 10일자)
이효영, “동아시아 경제발전과 유교문화의 역할” (국제지역연구 제12권 제1호), 2009
최해진, “유교사상의 경영적 의의” (인적자원관리연구 제15권 제3호), 2008
송경재, “동아시아 국가의 사회적 자본과 민주주의” 「사회이론」(한국사회이론학회) 2007 가을/겨울, 2007
이희창 외, “사회자본이 집단가치에 미치는 영향: 한, 일 양국간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정책과학학회보」(한국정책과학학회) 12, 2008
박성진, “한국 사회 신뢰의 악순환과 민주주의의 공고화.” 「동향과 전망」(한국사회과학연구소) 58, 2003
삼성경제연구소, “사회적 자본 확충을 위한 정책과제.” 「CEO Information」 722, 2009
안승국, “아시아에 있어서의 사회적 자본과 민주주의.” 「아시아연구」(한국아시아학회) 10-2, 2007
Putnam.R, 「사회적 자본과 민주주의」, 박영사, 2000
장수찬, “신생 민주주의의 사회적 함정: 엘리트 계급의 부패와 사회적 신뢰 구축의 실패.” 「세계지역연구논총」(한국세계지역학회) 26-3, 2008
이상환, “아시아 국가들의 반부패 현황과 전망: 세계화, 민주화, 반부패 간 상관관계에 대한 경험적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정치외교사논총」(한국정치외교사학회) 2 9-2, 2008
R.Inglehart and C.Welzel, 「Modernization, Cultural Change, and Democracy: the Human Development Sequence」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
신광영, 정철희, “한국사회의 전통적 민주주의.” 「한국사회학」(한국사회학회) 36-3, 2002
김영명 편, 「동아시아의 정치체제」, 한림대아시아문화연구소, 1998
서진영·김인성 공편, 「세계화시대 동아시아의 민족주의와 민주주의」, 오름, 2006
서진영, 「현대중국정치론: 변화와 개혁의 중국정치」, 나남출판사, 1997
이건우, 「중국을 말하다 : 마오쩌둥에서 후진타오까지」, 지상사, 2009
김낙진, 「동아시아에 있어서 유교의 근대적 변용」, 『아세아연구(통권106호)』, 2001
차남희, 「일본의 시민종교와 신도:메이지초기의 국가신도를 중심으로⌟, 『담론201(12/1)』, 2009
박규태, 「국가신도란 무엇인가-근대 일본 국민국가와 종교」, 『종교연구(2002겨울)』, 2002
具見書, 「일본민족주의의 행방」, 『日本學報(第59號)』, 2004
김혜승, 「21세기 동아시아 공동체 모색과 한일관계」, 『日本思想(第8號)』, 2005
김세걸, 「일본의 정당민주주의 : 역사·구조·쟁점」, 『사회과학연구(11집)』, 2003
김종식, 「일본의 정치문화와 정치부패 - 파벌, 족, 후원회를 중심으로」, 『한국부패학회보』, 2002
지은주, 「대만의 독립 문제와 정당정치」, 나남출판사, 2009
지은주, “민주화 이후 대만의 독립 문제와 정당 체제의 재편성”, 「한국정치학회」, 2009
왕푸창, 「갈등의 정체성」, 나남출판사, 2008
이승환, “대만과 중국의 유교 담론과 아시아적 가치” 「New Asia 26호」, 2001
David Hitchcock, 「Asian Values and the United States : How Much Conflict?」 (Washington D.C. : Center for Strategic and International Studies), 1994
이상수, 「이광요의 국가경영 리더십」, 한국학술정보, 2006
이와사키 이쿠오, 「아시아 국가와 시민사회」, 을유문화사, 2002
이승환, 「아시아적 가치」, 전통과현대, 1999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